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위
향기
경향
방면
냄새
방침
진로
d라이브러리
"
방향
"(으)로 총 4,844건 검색되었습니다.
컬럼비아호 잔해 2만개 조각맞추기
과학동아
l
200304
다른 예로는 악티노마이신)도 고리모양 펩티드라 부르는 수가 있다 다이오드 4개를 같은
방향
으로 고리모양으로 이은 것 복평형변조기라고도 한다 말단이 없는 고리모양 두 사슬 DNA의 일부가 절단된 DNA 개환상(開環狀) DNA라고도 한다 절단되지 않은 고리닫힘(閉環狀) DNA에는 비틀림이 있지만 ... ...
5년 뒤 우리의 생존수단은?
과학동아
l
200304
지난 3월 20일 과학기술부는 청와대 업무보고를 통해 앞으로 과학기술계가 나아갈
방향
에 대한 청사진을 제시했다.이번 발표는 과학기술계의 부활을 외치는 대통령과 과학자 출신의 젊은 장관, 새로이 신설된 청와대 정보과학기술보좌관 등 과학기술계 내외를 둘러싼 신선한 변화에 힘입어 많은 ... ...
차세대 정밀유도폭탄
과학동아
l
200304
페놀에테르에 시안화수소와 염화수소를 작용시켜
방향
족에 알데히드기를 도입하는 반응
방향
족 화합물(芳香族化合物)에 포르밀기(基)를 도입하는 방법 1890년 독일의 화학자 L 가터만에 의해 발견되었다 직류의 제어전류를 써서 교류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장치 트랜스덕터라고도 한다 사각형의 ... ...
바빌론에서 바그다그까지 문명의 요람 이라크
과학동아
l
200304
크기는 기후에 좌우되며 뇌운(雷雲)이 접근했을 때는 커지고 경우에 따라 전기장의
방향
이 역전해서 상향이 되는 수도 있다 광학공명기의 일종으로 두 구면반사거울의 곡률이 같고, 간격이 곡률반지름과 같은 파브리페로 공명기 곡률이 일정하면 이 간격에서의 회절손실이 최소화 되지만 ... ...
5 분자생물학 만능시대 극복하는 통합생물학
과학동아
l
200304
이를 연구하는 단위도 같은 구조를 지녀야 한다. 이것이 통합생물학이 추구하는 두번째
방향
이다. 물리학과 화학을 기저에 두고 생화학, 세포학, 유전학, 생리학, 생태학 등 그동안 평면적으로 나열돼 있던 모든 생물학 분야를 수직적 또는 피라미드 형태의 위계구조로 쌓아 올린 것이 바로 ... ...
또다른 내가 무한개 우주에 살고있다
과학동아
l
200304
훨씬 이상한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큐브2에 등장하는 몇몇 방에서처럼 중력의
방향
이 반대이거나 시간이 흐르는 속도가 다를 수 있다.어떤 사람은 우리우주 밖에 다른 우주가 존재한다는 생각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느낄 수 있다. 우리우주는 무한할 수도 있다. 그렇다면 다른 우주들은 어디에 ... ...
화성에서 축구공은 반대로 휜다
과학동아
l
200303
그러면 공은 분자가 튀어나간
방향
과 반대로 힘을 받는다. 바로 지구에서 휘는
방향
과 반대가 되는 것이다. 지구와 화성의 중간쯤 되는 공기 밀도에서는 분자의 충돌 효과와 마그누스 효과가 평형을 이뤄 회전을 준 공이 휘지 않게 된다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03
태양의 동 서 어느 쪽에 있는가에 따라 동구와 서구로 나뉜다행성이 서에서 동으로(공전
방향
으로) 이동하는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적경이 증가한다행성이 동에서 서로 이동하는 상태이며 적경은 감소한다순행에서 역행으로, 또는 역행에서 순행으로 옮겨가기 직전 잠시 천구상에서 움직이지 않고 ... ...
3. 난분해성 폐수 걸러내는 나노막
과학동아
l
200303
않다는데 있다. 세가지 요소가 모두 상호보완적 관계에 있지 않고 밀접하게 상호반대
방향
으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투과도를 높이려면 분리막 전체가 다공성이면서 얇아야 물질이 이동할 때 걸리는 저항을 최소화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구조에서는 높은 선택도와 기계적 강도를 기대할 ... ...
로또 공 무게를 엄격히 규제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0303
크기만이 중요하지만 실제로는 입자의 성질이나 자극의 종류에 따라 큰 입자의 움직임
방향
이 달라진다.2001년 미국 레하이대 재미과학자 홍종한 교수팀은 이 현상에 대한 좀더 구체적인 이론을 제시했다. 그는 이전의 경우보다 복잡한, 즉 크기뿐 아니라 밀도가 다른 입자들로 이뤄져있는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