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치
비정상
전형
꿈
포부
미래상
희망
d라이브러리
"
이상
"(으)로 총 10,479건 검색되었습니다.
배다리 항문다리 가슴다리를 보라
과학동아
l
201107
있는 바구미 애벌레나 입에 붙어 진딧물을 잡아먹는 구더기 형태의 꽃등에 애벌레는 더
이상
다리가 필요 없다.곤충 애벌레의 다리는 그들이 선택한 생존 방법에 맞도록 다양하게 변화해왔다. 곤충마다 비교적 정형화 된 형태적 특징이 다리이므로 이들을 잘 살펴보면 어떤 곤충의 애벌레인지를 ... ...
익스트림 에너지공학
과학동아
l
201107
경우 물체의 표면에 닿으면 국소적으로 폭발이 일어난다. 이때 순간적으로 압력이 1만 배
이상
증가하고 온도가 수 만℃에 이른다. 이처럼 익스트림 에너지공학에서는 소량의 에너지원으로 큰 힘을 얻을 수 있는 현상을 연구한다. 그리고 유용한 방향으로의 이용 가능성을 탐색한다.2 어디에 ... ...
미래도시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07
불어도 도시가 순식간에 모래 속에 잠겨버릴것이라는 상상력에서 출발했다.다들 기대
이상
이군! 모두 도시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면서 개성이 있어.게다가 이미 미래형 도시 건설이 시작되고 있다니, 벌써부터 설레는 걸! ‘어린이과학동아’ 친구들이 보기엔 어때? 친구들이 생각하는 최고의 ... ...
Part 2. 꿀벌에게 무슨 일이?
과학동아
l
201107
자리가 바뀌어 있는 일을 반복해 겪는다. 혼란을 겪지는 않을까. 벌의 예민함은 상상
이상
이다. 농촌진흥청 자료에 따르면 일벌 중 꿀을 따는 젊은 벌(대략 성충이 된 지 2주쯤 된 벌이 맡는다)은 하루 평균 40~50회 일하러 나간다. 그런데 기억력이 좋아서 처음 꿀을 딴 꽃의 종류와 색을 기억해 두고 ... ...
[life & tech] 집중호우 예측, 64배 섬세해진다
과학동아
l
201107
물이 도로 위에 넘실대고 차들이 오도 가도 못하는 상황이 곳곳에서 일어났다. 1만 가구
이상
이 침수됐으며 총 5만 4410명의 이재민이 발생했다. 2명의 안타까운 생명이 빗물에 사라졌다. 6시간 동안 광화문에 내린 비의 양은 242mm. 1년간 서울에 내리는 강수량의 18%에 해당하는 양이었다. 평화로운 추석 ... ...
“인류 최초의 비행기 복원했어요”
과학동아
l
201107
그대로 적용돼 있어 놀랐다고 한다.“라이트 형제는 플라이어 1903을 설계하면서 3000번
이상
실패와 도전을 반복했습니다. 특히 비행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장치에 대해 고민을 많이 했어요. 결국 그들은 플라이어 1903에 꼬리처럼 방향타를 달았는데, 오늘날 여객기 뒷부분의 수직 날개로 응용됐죠 ... ...
휴대전화가 뇌종양 위험 높인다?
과학동아
l
201107
정도까지 안전한지를 조사하는 연구도 추가돼야 한다”며 “정확한 수치를 정하고 그
이상
의 전자파가 나오지 않는 휴대전화를 생산하도록 규제하는 것이 가장 합리적인 방법”이라고 연구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교수는 “더 안전한 휴대전화를 개발하는 것은 기술적으로 얼마든지 가능하다”며 ... ...
눈으로 배우는 화학!
과학동아
l
201107
원소만 등재 조건을 만족했다고 밝혔다. 이제 주기율표 상의 원소 수는 ‘113개 또는 그
이상
’이 됐다(93번 넵투늄부터 시작되는 초우라늄 원소 중 일부는 불안정해서 아직 인정 여부에 논란이 많다) ... ...
생명 살리는 작은 분자를 찾아서, GIST 신약표적 연구실
과학동아
l
201107
교수의 가설대로 24시간 후 근육이 단일 세포로 돌아갔다. 하지만 이렇게 얻은 세포는 더
이상
분열하지 못했다. 세포 속 p21 유전자가 세포분열을 막고 있기 때문이었다. 연구팀은 또 다른 물질을 넣어 이 세포를 억지로 분열시켜 보기로 했다. siRNA를 뿌려 p21의 기능을 망가뜨렸더니 세포는 다시 ... ...
대소변 가리기도 경쟁하는 세상
과학동아
l
201107
위해서는 두 가지 다 필요하다. 만일 우반구와 좌반구를 잇는 구조인 뇌량을 자르면 더
이상
창조성을 발휘하지 못한다. 뇌 연구학자인 마이클 코발리스는 “좌반구가 과학이라면 우반구는 자연”이라며 “두 기능이 적절히 합쳐져서 능력을 발휘할 때 최고의 창조력이 생겨난다”고 말했다. 문제는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