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선
라인
실
열
행렬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줄
"(으)로 총 5,164건 검색되었습니다.
2. 무한 복제의 꿈
과학동아
l
200509
병에 걸리는 확률이 높다는 말이 나오면서 복제동물을 가축으로 쓰려는 연구는 점점
줄
어들었다.다음으로 눈을 돌린 것이 애완동물이었다. 토끼와 열대어가 대표적이다. 이번에 복제된 개는 의학과 애완동물, 멸종동물 복원에 쓰일 전망이다.•1996년 : 세계 최초의 복제양 돌리. 조로 논란을 낳으며 ... ...
도전! 판타스틱4
과학동아
l
200509
장면에 만족하련다. TOP SECRET 4 : 하늘을 나는 불꽃다른 이들은 자신의 초능력에 어쩔
줄
몰르지만 이 남자, ‘파이어’는 다르다. 가는 곳에는 언제나 미녀가 가득하고 스키면 스키, 오토바이 곡예면 곡예, 익스트림 스포츠를 즐기느라 바쁘다.불꽃을 내뿜는 기술이야 화염방사기를 쓰면 지금도 ... ...
"떨어지는 속도를
줄
여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8
펼쳐져 공기 저항을 크게 할 수 있었지.아무튼 시간의 차이는 있었지만 떨어지는 속도를
줄
인 덕분에 모든 프루프 모형들은 땅에 떨어진 이후에도 처음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할 수 있었어. 아마 그냥 곧바로 땅에 떨어졌다면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찌그러졌을 지도 몰라.과학해결사들이 ... ...
북한 전력 사정이 위험 요소
과학동아
l
200508
220, 110kV로 상대적으로 낮다. 남한의 전기를 북한에 보내려면 중간에 전압을 낮춰
줄
변압시설을 세워야 한다.송전 방식도 새로 정해야 한다. 먼 곳까지 싼 값에 전기를 보내기 위해 송전전압은 보통 교류를 사용한다. 하지만 북한의 불안정한 전력사정을 감안하면 교류 송전은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 ...
미션 투 스페이스
과학동아
l
200508
나타났다 사라지는 혜성의‘보물창고’가 무엇인지, 딥임팩트가 그 수수께끼를 풀어
줄
단서를 찾는데 성공했다. 인간의 열정과 끈기로 이뤄낸 무한 우주 도전 스토리를 소개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우주왕복선 다시 우주로 향하다 Ⅱ. 한여름밤 혜성의 누드쇼 미션 투 스페이스 Ⅰ. ... ...
Ⅰ. 노장 디스커버리의 우주 행진곡
과학동아
l
200508
디스커버리다. 7년 뒤 이제 디스커버리 차례가 됐다. 디스커버리가 노장의 저력을 보여
줄
날이 다가오고 있다.디스커버리, 누가 타나?- 선장 : 아일린 콜린스(49). 미 공군 대령. 1999년 미국 여성 최초로 우주선장에 임명돼 컬럼비아호 키를 잡았다. 이번이 그녀의 4번째 우주 비행.- 조종사 : 제임스 ... ...
바다의 왕자 로봇 물고기
과학동아
l
200508
높고 신속한 작전이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바닷가재 로봇은 이런 문제를 해결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바닷가재 로봇은 로봇 물고기에 비해 비교적 제작이 쉽고 작동이 상대적으로 단순하며 바닥을 탐사하는 데도 매우 효과적이다.넙치처럼 몸이 납작한 로봇 물고기도 있다. 이런 모양의 로봇 ... ...
그들이 닮은 이유
과학동아
l
200508
두 사진은 마치 한 사람의 얼굴을 보는 듯해 누리꾼들로부터 ‘진짜 소지섭인
줄
알았다’며 뜨거운 호응을 얻었다.조 교수는 두 경우 모두 닮은 요인으로 눈을 꼽았다. 에릭과 민영익의 경우에는 눈과 눈 사이가 넓다는 점이 비슷하다. 소지섭과 이황은 눈동자에서부터 눈꼬리까지 거리가 길다는 ... ...
1. 이보다 무서울 순 없다
과학동아
l
200508
공포를 일으키는 중요한 요인이다. 처음 보는 음식을 선뜻 먹기 꺼려하고, 컴퓨터를 다룰
줄
모르는 사람이 컴퓨터를 두려워하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귀신의 실체가 밝혀지면 누가 공포를 느낄 것인가. 실체를 알 수 없을 때 두려움이 생긴다.† 차를 몰던 남자. 피할 겨를도 없이 갑자기 나타난 ... ...
02. 이공계 진로지도 해법은 없나
과학동아
l
200508
필요하다. 신종호 교수는 대표적인 것으로 ‘모델링’(modeling)을 꼽았다. 최근 배아
줄
기세포 복제에 성공한 황우석 교수처럼 자신의 분야에서 뛰어난 성취를 보인 사람을 진로선택의 모델(본보기)로 삼고 노력하는 것을 말한다.닮고 싶은 모델을 찾아라신 교수는 “스스로 ‘나는 누구처럼 훌륭한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