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가능"(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 학생부의 의미와 중요성, ‘학종’ 선발 왜 늘어나나과학동아 l2018년 01호
- 모습을 보였다면 성실성과 지적 열정을 지닌 학생이기에 다음 학기에도 성적이 상승될 가능성이 높다고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비교과 또한 마찬가지다. 봉사 시간과 독서 목록의 숫자가 중요한 것이 아니다. 어떤 마음가짐으로 봉사를 했고, 무엇을 느꼈는지, 독서를 하게 된 이유와 읽고 난 뒤 ... ...
- Part 1. 포커 인공지능의 승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마음까지 꿰뚫어 볼 수 있던 걸까. 수학으로 분석하고 프로그래밍할 수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 포커 AI는 두 가지 방법으로 만든다. 첫 번째는 상대의 성향을 분석해 약점을 파악하고 그에 대한 전략을 찾는 방법을 쓰는 AI다. 다시 말해 학습하는 AI로 경기를 할수록 이길 확률이 높다. 이번에 경기한 ... ...
- 전세계에 수학덕심 퍼뜨리기 전염병주식회사수학동아 l2018년 01호
- 높여보죠. 처음에 MATH LOVE VIRUS는 천연두처럼 침으로만 전염되지만, 이제 공기 감염도 가능하도록 진화시킵니다. 그럼 환자는 자기도 모르게 비행기 속 공기에 바이러스를 남기고 떠날 거예요. 바이러스는 비행기를 타고 세계로 퍼지겠죠. 이외에 감염자가 구토를 하도록 진화시켜도 전염 확률이 ... ...
-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7 UN청소년환경총회’에서 미래의 에코리더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되기 위해 ‘UN청소년환경총회’에 참석했어요. 이번 총회의 주제는 ‘기후변화와 지속가능 발전’이에요. 저는 6개 위원회 중 ‘물순환 위원회’에서 참여했어요. 본격적인 본회의가 시작하기 일주일 전인 11월 4일, 5일에는 워크숍이 열렸어요. 빗물저장 기술과 적정기술 등에 대한 강연을 듣고 ... ...
- Part 3. 지진에 버티는 건물을 지어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아시아 국가의 도시 였어요. 선진국들에 비해 건물이 약해서 지진을 버티지 못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지요. 건물이 무너지면 많은 사망자와 부상자가 생기기 때문에 지진 피해가 커진답니다. 우리나라는 6층 이상의 건물을 지을 때 반드시 지진에 버티는 ‘내진설계’를 하도록 1988년에 법으로 ... ...
- Part 2. 미리 알고 대비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반면, 지진은 움직임이 작고 많은 사람들이 한꺼번에 움직이기 때문에 구분이 가능하지요. 앱이 지진을 감지하면 이를 지진관리시스템에 전송해서 지진의 규모와 위치를 파악하고 주변 사람들에게 경고 메시지를 보낸답니다. 또한 미국 지질조사국에서는 스마트폰의 ●GPS를 이용해서 지진을 ... ...
- Part 2. [드라큘라의 저주 2] 초능력이 생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4호
- 최면술로 다른 사람의 생각을 조종할 수 있는 초능력이 생겼지! 이런 초능력이 실제로 가능한 일일까? 로봇을 입으면 나도 슈퍼우먼!로봇을 입으면 마치 초능력이 생긴 것처럼 빨리 달리거나 엄청 무거운 물건을 들어 올릴 수 있어요. 많은 과학자들이 힘을 더 강하게 만드는 ‘입는 로봇’을 ... ...
- Part 1. 기후변화를 막아라, 전세계의 약속!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3호
- 확산시키고 있어요. 1950년대 이후 모기가 옮기는 급성 열성 질환인 뎅기열이 전파될 가능성은 9.5% 증가했답니다. 지구온난화로 모기의 활동 반경이 넓어지고 서식 기간도 길어졌기 때문이지요. 보고서에는 금세기 말 해수면 상승으로 10억 명 이상이 살던 곳을 떠나야 한다는 경고도 실렸어요. ... ...
- Part 1. 남미산 개미가 부산항에 나타났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최근 일본에 외래 붉은불개미가 나타났거든요. 이 때문에 우리나라는 지난 7월부터 발견 가능성이 높은 항구를 1, 2주마다 조사했지요. 정부는 사건 발생 다음날 바로 최초 발견지역 부근 100m에 있는 컨테이너를 전부 소독했어요. 그리고 감만부두를 포함해 전국의 주요 항만 34개소를 모두 검사하기 ... ...
- Part 3. 외래 붉은불개미의 습격, 과연 끝났을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22호
- 북쪽으로도 점점 뻗어나간다는 거예요. 이 연구에서 부산은 외래 붉은불개미가 정착할 가능성이 높은 지역으로 분류됐지요. 지난 3월, 세계 40여 개 연구소의 과학자들은 지구온난화 때문에 많은 생물들이 이동을 하면서 큰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다고 경고했어요. 생태계에 교란을 일으킬 뿐만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