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강아지
개새끼
강아지새끼
도그
개봉
첫상연
잡종개
d라이브러리
"
개
"(으)로 총 16,270건 검색되었습니다.
[한페이지 뉴스] 나비에게 배우는 ‘완벽한 검은색’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표면의 미세구조를 응용하면 기존에 사용하던 탄소나노튜브를 대체할 수 있는 소재를
개
발할 수 있을 것”이라며 “더 얇고 더 쉽게 생산할 수 있다는 게 장점”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3월 10일자에 발표됐다. doi: 10.1038/s41467-020-15033- ... ...
신문에 이런 기사가? 만우절 ‘뻥’ 같은 진짜 기술 3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VSC)를 이용해 휘발되거나 탈색돼 내용을 읽을 수 없는 국가기록물 528점을 2019년 4월부터 8
개
월에 걸쳐 복원했다. 이를 통해 그간 내용을 파악할 수 없었던 형사사건부 문서 153장과 감사원 문서 375장이 되살아났다. 연구팀이 복원한 형사사건부 문서는 조선총독부 시기(1910~1945년)에 만들어진 문서다. ... ...
[그래도지구는돈당 기호2 김교수] 과학기술 전문가를 국회로!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기초 연구에 대한 지원이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며 “기초과학 연구
개
발 관련 정책이
개
선돼야 한다”고 말했다. “지역 인재 양성 정책 나와야”이공계 인재의 지역 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 인재 육성과, 이공계 인재의 취업 및 다양성 확보를 위한 벤처 창업 지원 등이 필요하다는 의견도 나왔다. ... ...
아로코스, 행성 탄생 이론 뒤집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0억 년 전에 완성됐다고도 덧붙였다. doi: 10.1126/science.aay3999 스펜서 교수는 논문에서 “두
개
의 둥근 천체가 만난 지점이 납작한 형태를 띠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극과 적도가 나란히 있는 형태는 행성 형성 과정이 긴 시간을 두고 질서정연하게 이뤄졌음을 의미한다”고 설명했다. 달도 천천히 ... ...
영화 ‘다크 워터스’로 본 과불화화합물의 진실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한 종류로 방수용 코팅제와 계면활성제 등으로 많이 쓰인다. 이 둘의 공통점은 8
개
의 탄소를 기본 골격으로 각 탄소에 불소가 결합한 형태라는 점이다. 다만 PFOA의 경우 작용기로 카르복시기(-COOH)를 갖지만, PFOS는 술폰산기(-SO3H)를 갖고 있다.PFOS는 PFOA보다 일찍이 그 유해성이 밝혀져 2009년 스톡홀름 ... ...
스마트폰 100배 줌해도 화질 선명한 이유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사용하면 약 1km 거리에 떠 있는 배의 기관실에 사람이 있는지 없는지 식별할 수 있다고 소
개
했다. 1km면 보통 속도로 걸어서 10분 정도 걸리는 거리다. 게다가 20배 줌까지는 화질 저하도 전혀 없었다. 메이트 30 프로에 적용된 줌 렌즈용 이미지 센서는 800만 화소다. 박 교수는 “갤럭시 S20 울트라는 ... ...
[과학동아X긱블] 지난겨울 시작된 '레게노'스토리, 붕어빵 자동 조리 장치
과학동아
l
2020년 04호
Y 플로터 레일이라는 장치로 구현할 수 있습니다. X-Y 플로터 레일에는 헤드가 X축과 Y축을
개
별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두 쌍의 봉이 있습니다. 이를 통해 코딩으로 입력된 값에 따라 헤드가 영역 내의 모든 곳으로 이동할 수 있습니다. 헤드를 움직이기 위한 동력으로는 위치를 아주 정밀하게 ... ...
[수학뉴스] 코로나19에 대한 거짓 소문, 수학으로 잡는다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각각의 소집단으로 나눈 것입니다. 그만큼 현실의 복잡한 관계를 잘 반영할 수 있죠.새로
개
발한 모형을 이용하면 소문이 급속도로 퍼지는 시점도 비교적 간단하게 예측할 수 있습니다. 베스피냐니 교수는 “소문이 퍼지는 다양한 경로를 파악하면 거짓 소문에 대한 현실적인 대비를 할 수 있다”고 ... ...
[수학뉴스] 꿀벌의 수학적 인지능력, 수학 모형으로 원리를 밝히다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활동전위를 뉴런이 학습할 수 있다고 가정했습니다. 이 가정을 인공 뉴런에 적용해서 1
개
의 인공 뉴런만으로 벌의 인지능력을 신경망 형태로 재현하는 단순한 수학 모형을 만들었습니다.나우로트 교수는 “이 모형을 인공지능의 학습 알고리듬에 적용하면 전보다 훨씬 효율적일 것”이라고 ... ...
[주접 평론가 피터팍의 아이돌 수학] 네트워크 이론과 BTS의 영향력
수학동아
l
2020년 04호
★몇 다리만 건너면 뷔와 나도 친구, 좁은 세상 현상★그래프 이론과 관련한 유명한
개
념이자 뷔와 피터팍을 연결할 희망적인 이론이 있다. ‘6단계 분리’ 이론이다. 1967년 스탠리 밀그램 미국 하버드대 심리학과 교수는 서로 모르는 사람이 몇 단계 만에 연결될 수 있을지 확인하기 위해 실험을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