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연합
협회
합동
합작
협력
연맹
교제
d라이브러리
"
공동
"(으)로 총 4,032건 검색되었습니다.
비만: 세계적인 주요 건강 문제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않다 우리나라도 지난 90년 전자통신연구소를 중심으로 삼성 금성 현대 등 반도체 3사가
공동
개발에 성공, 양산단계를 눈앞에 두고 있다 16메가D램은 93년부터 본격적인 시장이 형성될 것으로 보이는데 개당 1백80달러에 이르는 고부가가치 상품이다1827년 영국의 식물학자 브라운은 꽃가루를 물 위에 ... ...
② 난산 끝에 태어난 소 · 돼지 1백마리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김진회 교수는“최근 동물복제 전문가들이 의학자나단백질 분야의 생명과학자들과
공동
연구를 많이 하고 있어 곧‘고부가가치 복제동물’이 탄생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컬럼비아호 참사와 관련된 내열타일
과학동아
l
2003년 03호
디지털화를 극명하게 보여주는 뉴미디어 세계 각 지역들의 크고 작은 네트워크들이
공동
의 전송조절 프로토콜과 인터넷 프로토콜(TCP/IP)을 통해서 연결된 네트워크의 네트워크컴퓨터로 제어되고 만들어지는 가상세계통신 시민을 뜻하는 전자통신시대의 세계인언론사의 데스크처럼 기사나 ... ...
① 인간과 정보의 경계 허무는 인터페이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개발하는 등 연구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2년 10월에는 이스트만코닥과 산요전기가
공동
으로 15인치 HDTV용 유기EL을 개발하는 등 전세계적으로 개발 경쟁이 가속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2001년 10월, 발표 당시 세계에서 가장 큰 15.1인치 유기발광 패널을 개발하는 등 세계 1위로 도약할 수 있는 ... ...
③ 배아복제 금지법은 세계 어디에도 없다?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유엔은 이 문제를 올해 9월 회기로 넘겼다.오는 2004년 시행을 목표로 독일과 프랑스가
공동
제안한 국제협약안 초안은 아기를 출산하기 위한 인간복제만을 금지하고 있다. 반면 남미의 카톨릭 국가 등 36개국의 지원을 받은 미국의 제안은 자녀 출산을 목적으로 한 인간복제뿐만 아니라 의학연구 및 ... ...
[KAIST] 운전자까지 포함한 원전 디지털화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동시에 수행중이다. 또 개발된 장비가 실제로 원전에 사용되도록 원자력 발전소와
공동
으로 연구를 벌이고 있다.대형사고 막기 위해 인지공학 동원한편 연구실의 목표는 계측제어 시스템을 디지털 방식으로 교체하는 것에 그치지 않는다. 운전자를 고려한 디지털 계측제어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도 ... ...
2 제2의 달로 변신하는 소행성
과학동아
l
2003년 02호
LINEAR)팀에 의해 처음 발견됐다. 그후 미국, 캐나다, 핀란드 등 다국적 천문학자들이
공동
으로 그 궤도특성을 조사했다. 2002 AA29는 궤도 공유 소행성이지만, 때때로 준위성이 될 수 있는 특이한 소행성으로 밝혀졌다.축구장만한 크기의 소행성 2002 AA29는 실제로 매년 지구처럼 태양을 한바퀴씩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가까운 동물이기 때문에 2000년 1월 미국 오리건 영장류연구센터와 오리건 건강과학대학
공동
연구팀이 ‘테트라’라는 이름의 암컷 원숭이를 복제한 것은 인간복제의 서막이라고 볼 수 있다. 테트라는 복제양 돌리와 달리 정상 원숭이의 수정란을 4개로 쪼개 각각의 배아로 만든 방식으로 태어났다 ... ...
③ 친자 관계 규명하는 새로운 법 요구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자식들과의 관계에서 형제자매의 지위를 가질 수 있을까.더욱이 체세포 제공자가 부인과
공동
으로 유언장을 남겨 상속하는 경우는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 아무런 관련이 없는 부인과 복제인간의 친족관계를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만약 제공자가 사망한 후 그의 부인이 복제인간을 자기 자식이라는 ... ...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단백질 분자는 각각 서로 다른 분자를 인지할 수 있고, 적절한 상황에서 서로 결합해
공동
작업을 펼친다. 따라서 단백질 같은 부품이 어떻게 조립돼 있어 이들이 생명체의 역동적인 기능을 하게 되는지, 이들이 질병과는 어떻게 관련돼 있는지를 밝히려면 단백질 사이의 네트워크를 규명하는 일부터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