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다음다음"(으)로 총 8,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시사] 물질의 수 체계수학동아 l2014년 11호
- 우주를 이루는 입자는 크게 두 가지로 나뉜다. 그 중에 보통 물질은 쿼크(Quark)와 전자 같은 페르미온(Fermion)의 결합으로 생긴다. 이런 물질의 미세한 물리량이 19세기에 발견된 클리퍼드 수를 값으로 갖는다는 사실은 20세기 과학의 중요한 발견이었다.그라스만 수 복습 기하학에서 가장 중요한 수 ... ...
- [career] “세계 10대 기업 절반이 에너지 기업”과학동아 l2014년 11호
- Q 에너지자원공학은 어떤 분야로 이뤄져 있나요?A 크게 탐사, 개발, 처리의 세 분야로 나눌 수 있습니다. 탐사는 땅 아래 있는 자원을 찾는 일입니다. 충격파의 속도나 전기저항이 변하는 정도를 보면 지하에 어떤 물질이 있는지 알 수 있죠. 다음은 개발입니다. 석유나 가스 같은 유체자원인지 석탄 ... ...
- [hot science] 전생에 삼엽충이었던 분을 찾습니다~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얼마 전, 티벳의 정신적 지도자인 달라이 라마가 “더 이상 후계자는 없다”고 발언해 논란이 일었습니다. 아시다시피 달라이 라마는 환생이라는 방식을 이용해 대대로 자리를 계승합니다. 달라이 라마가 죽으면 유언에 따라 환생자를 찾은 뒤 그 사람을 차기 달라이 라마로 추대하지요. 달라이 라 ... ...
- [knowledge] 우주멀미는 괴로워과학동아 l2014년 11호
- 오늘은 모든 화성 탐사 대원에 대한 하우스 박사의 정기 건강검진이 있는 날이다. 내 차례가 오길 기다리다, 화성에 오는 도중 우주 공간에서 겪었던 여러 가지 신체의 변화가 생각났다. 견디기 쉽지만은 않았던 그 순간의 당혹스러움과, 이를 효과적으로 치료했던 하우스 박사의 놀라운 의술도.정 ... ...
- 비정상 회담 한국어 유창한 G11 비정상인가요?수학동아 l2014년 10호
- “외국인이 한국말을 잘해도 비정상이라고요? 아닌데에~? 처음에는 외국인이 한국말도 잘 한다고 칭찬해 주시더니, 요즘은 외국인이 한국말을 너무 잘하는 거 아니냐며 이상하게 보기도 해요. 10월 9일 한글날을 맞이해서 안건으로 상정합니다. 한국인만큼이나 한국말이 유창한 저희 G11, 비정상인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실러캔스는 부챗살 같은 가슴지느러미와 배지느러미에 살집이 있다. 이들 일부가 뭍으로 올라오면서 지느러미가 다리로 진화했다는 게 현재 진화론의 정설이다. 그리스 철학자 아리스토텔레스는 세상에 약 550종의 동물 이 살고 있다고 믿었다. 당시에는 그것도 많은 숫자였다. 2000년이 지나 18 ... ...
- [hot science] 아침사용설명서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생각해보면 등교 시간이 조금 빠르긴 하다. 대학교에서도 어지간한 수업은 9시, 혹은 9시 30분에 시작하고, 회사는 ‘9 to 6’, 9시에 출근해서 6시에 퇴근한다. 오직 학교만 9시 이전에 가야하는 셈이다. 8시 반까지 등교하던 수많은 학생들이 아침에 최소 30분 여유가 생겼다. 이 여유가 얼마나 큰지 경 ... ...
- PART 2. 신종헌터 블루오션국과학동아 l2014년 10호
- "전 세계에서 가장 큰 신종일 겁니다."미국 뉴욕주립대 환경및삼림과학과 도날드 스튜어트 교수가 보내온 e메일에는 자신감이 묻어나왔다. 스튜어트 교수는 작년 4월 아마존에서 몸길이 3m, 무게 220kg에 이르는 물고기, '아라파이마'의 신종을 발견했다. 그동안 한 종만 있다고 알려져 있었는데, 스튜 ... ...
- [knowledge] 야생담배의 매력에 빠지다과학동아 l2014년 10호
- 미국 중서부의 건조한 사막, 그레이트 베이신. 해마다 이곳에는 다양한 전공을 가진 과학자들이 모여 정성껏 밭을 일군다. 20여 년 전부터 사람의 관심을 받기 시작한 야생담배의 생존비결을 밝히기 위해서다. 혹한 환경을 견디며 연구에 전념하는 과학자들의 여정을 현장 연구자가 직접 소개한다. ... ...
- [knowledge] 우주는 무한대과학동아 l2014년 10호
- 1957년 4월 미국 프린스턴대에서 휴 에버렛 3세의 박사학위 논문이 통과됐다. 에버렛은 이 논문에서 양자역학에 대한 새로운 해석방법을 제시했다. 논문이 통과되기 1년 전, 지도교수였던 존 휠러가 양자역학의 대가 보어를 방문해 논문을 소개했다. 하지만 보어의 반응은 냉담 그 자체였다. 양자역학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