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은혜
은덕
도움
덕
공덕
덕성
덕택
d라이브러리
"
덕분
"(으)로 총 3,856건 검색되었습니다.
아이폰으로 ‘별자리’ 본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별자리를 볼 수 있는 건 아이폰에 장착된 GPS(위성위치확인시스템)센서와 나침반센서
덕분
이다. GPS센서와 나침반센서가 실내외 구분 없이 현재 위치를 찾아주기 때문이다.포켓유니버스를 설치하는 방법은 간단하다. 홈 화면에서 ‘앱스토어’ 아이콘을 누른 뒤 검색창에 ‘포켓유니버스(pocket universe ... ...
위풍당당 아라온호의 남극 쇄빙시험일지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충분히 검증됐다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아라온호는 발리니 군도에서 미리 빠져나온
덕분
에 뉴질랜드 크라이스트처치항에 당초 도착예정일이었던 2월 19일보다 하루 먼저 도착했다. 그리고 지난 3월 15일에는 무사히 모항인 인천항에 닻을 내렸다.쇄빙 과정에서 여러 번 시행착오를 겪고 준비했던 ... ...
진화론을 컴퓨팅에 접목하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외국 교수도 해마다 늘고 있다. IEEE 진화연산 분과 에디터로 활동하는 그의 연구역량
덕분
이다.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진화연산 전문가이면서 협력연구를 주도하게 된 이유는 좋은 연구가 여러 배경지식이 합쳐질 때 가능하다는 그의 지론 때문이다.“레오나드로 다빈치는 건축, 예술, 과학 등 다양한 ... ...
숫자 4의 탄생과 성장
수학동아
l
2010년 04호
신기한 생각에 몸을 굽히는 순간 총알이 머리 위를 스쳐 지나갔다고 한다. 네잎클로버
덕분
에 목숨을 건진 셈이다. 이때부터 네잎클로버뿐 아니라 숫자 4는 행운의 상징이 됐다.시계에서 Ⅳ 대신 ⅡⅡ로 쓰는 이유로마 숫자에서 4는 5(Ⅴ)에서 하나를 뺀다는 뜻에서 Ⅳ로 쓴다. 그런데 시계에는 Ⅳ가 ... ...
화성 대기 사라지는 이유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 현상은 지구에서는 발생하지 않는다. 자기장 보호막이 지구를 안전하게 감싸고 있는
덕분
에 태양풍의 영향을 직접적으로 받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화성과 금성의 상황은 지구와는 사뭇 다르다. 화성의 경우 자기장의 세기가 지구의 250분의 1로, 대기가 태양풍의 충격에 그대로 노출된다.레스터 ... ...
과학으로 쓰는 걷기 예찬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큰 엉덩이가 먼저 출현해 우리가 직립보행을 할 수 있었느냐 반대로 직립보행을 한
덕분
에 멋지고 큰 엉덩이를 갖게 됐느냐 하는 문제이다. 과학자들은 아직까지 이 문제에 대해 결론을 내리지 못하고 있다. 집에서 백두대간까지 걸어서 간다 산림청은 남녀노소 누구나 가볍게 걸어가면서 각 ... ...
“국내 최고 과학자들의 창의적 연구성과 즐기러 오세요!”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챙겨야 할 일이 하나 더 생겼으니 그런 면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2002년 연구단에 선정된
덕분
에 그동안 좋은 연구결과를 많이 낼 수 있었으니까 1년 임기 동안 열심히 일할 생각입니다. 협의회에 소속된 47개 창의연구단이 조금이라도 더 좋은 환경에서 연구에 몰두할 수 있게 하는 데 보탬이 됐으면 ... ...
허블, 새로운 눈으로 우주를 담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네 번째 수리임무를 마지막으로 퇴역이 예상됐지만, 계속 유지하자는 여론
덕분
에 NASA는 2009년 5월 광시야카메라(WFC3)와 우주기원분광기(COS)를 새로 장착했다. 이 수리로 허블우주망원경은 자외선에서 민감도가 10배 증가했다. 앞으로 차세대 우주망원경과 함께 행성과 은하 탄생의 비밀을 밝히는 ... ...
지진도 폭풍처럼 몰아친다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이유로 들었다. 칠레는 그동안 지진 피해가 잦아 건물에 내진 설계가 잘 돼 있는 편.
덕분
에 큰 지진에도 건물들이 견딜 수 있었다. 반면 아이티의 건물은 내진 설계는커녕 소금기 있는 모래와 함량 미달의 철근으로 지어 규모 7.0의 지진에도 힘없이 무너져 내렸다. 건물이 무너지면서 사상자가 크게 ... ...
그들은 왜 큰 몸집을 택했나
과학동아
l
2010년 04호
대왕고래가 코끼리보다 14배 몸집이 무거워도 바다에서 잘 생활하는 이유도 부력
덕분
이다. 고래들이 종종 뭍으로 밀려왔다가 다시 바다로 돌아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자신의 몸무게에 짓눌려 질식하기 때문이다. 초식공룡 가운데 몸집이 가장 컸던 브라키오사우르스도 육지로 올라오기 전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