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박사"(으)로 총 7,652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물리학상 - 힉스에 대한 치명적인 오해5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참고로 ‘힉스 입자’ 라는 이름이 붙은 계기로는 세계적인 입자물리학자였던 고 이휘소 박사가 처음 써서라는 설이 유력하다.오해 5 | 힉스 입자는 하나다?올해 4월 말 방한한 롤프-디터 호이어 CERN 소장은 과학동아와의 인터뷰에서 “이번에 발견한 힉스 입자가 유일한 힉스일지, 여러 힉스 중 ... ...
- 나를 키운 건 팔할이 소변이었다 (정희선 전 국립과학수사연구원 원장 / 충남대 분석과학기술대학원장)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말했다. 아직도 회한이 남아 있는 목소리였다. 국과수에서 숙명여대를 다니며 석•박사 학위를 받은 정 원장은 영국 런던대의 킹스 칼리지에 1년 동안 연수를 다녀온다. 어렵사리 영국 정부의 장학금을 받았는데 공교롭게도 연구소의 반대에 부딪혔다. 아직 여자가 1년동안 해외에 나가서 공부하고 ... ...
- 우주에 ‘우리별’을 띄우다 (박성동 쎄트렉아이 대표)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인물이다. 서울대 전기공학과를 졸업한 그는 미국 유학길에 올라 스탠퍼드대에서 공학 박사 학위를 받은 뒤 휴렛팩커드 연구원, 미국항공우주국 제트추진연구소 연구원으로 활동했고, 귀국 후 한국전기통신연구소(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신) 초대 소장, 체신부 장관, KAIST 초대 학장 등을 역임했다. 1 ... ...
- 신기한 바람개비 진동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생기는 진동이 더 커지지 않을까요?나는 더 빨리 긁어 볼래. 그러면 더 빨리 돌지 않을까?박사님, 오늘 재미있는 실험을 통해 진동의 힘을 배웠어요. 만들어 쓸 수 있는 에너지가 이렇게 가까이에 있다니 정말 신기한걸요?저도요. 주위에서 또 에너지를 만들 수 있는 방법이 없나 눈을 크게 뜨고 ... ...
- PART 3. 실험하지 않고도 화학반응 예측한다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즐겼다는 것뿐이다.세계적인 석학들과 함께하는 토크콘서트로버츠 박사와 요나트 박사를 비롯해 노벨상을 받은 과학자들이 한국을 방문해 강연을 펼친다. 고려대와 분자과학연구재단이 함께 준비한 ‘미래과학콘서트’는 세계 정상의 석학 열한 명을 초청해 과학 꿈나무들에게 노벨상의 꿈을 ... ...
- [life & Tech] 동물은 어떻게 커플이 되었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여러 암컷을 거느리는 일부다처 새다. 독일 막스플랑크 조류학연구소의 바트 켐페네어스 박사팀이 이새를 7년간 관찰한 결과, 잠을 덜 자는 수컷일수록 짝짓기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잠을 덜 자면서 암컷을 감시해 다른 수컷이 다가올 틈을 주지 않기 때문이었다. 김주황은 마음을 굳혔다. ... ...
- 초원의 시간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물었다. “네?”“아이를 데려가요. 지금 당장. 다음 기회는 없어요. 알잖아요.”유수프 박사의 얼굴에 뭐라 설명할 수 없는 묘한 표정이 만들어졌다. 큰비가 내리기 전 초원의 하늘 같은 표정이었다. 이상한 기류를 감지한 아이의 부모가 숨죽이고 그 순간을 함께했다. 윤희나가 말했다.“이유는 ... ...
- 꿈꾸는 삶이 아름다운 삶이다 (정형민 건국대 의학전문대학원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위해서는 인간관계를 맺는 방법을 잘 알아야지요. 지금 공부하는 학생들에게, 특히 석박사 과정 학생들에게 바라고 싶은 것은 동료, 선후배 관계를 소중하게 생각하라는 겁니다. 지금 옆에 있는 이들은 연구현장에 나가서 같이 경쟁하고 일할 수 있는 동료 과학자들이기 때문입니다.” 그가 연구하는 ... ...
- 남들이 하지 않은 길을 찾아 희열 느낀다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현택환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초음파를 이용해 물질을 분석해 내는 분야다. 지금 연구와 전혀 상관없는 전공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것인데, 쓸데없이 시간을 보냈다는 후회가 되지 않냐는 질문을 던져봤다.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당시 지도교수는 네이처 논문 하나를 던져주고 네가 아이디어를 내서 새로운 연구를 ... ...
- 걷고, 뛰고, 춤추는 두발 로봇 ‘휴보’를 만들다 (오준호 KAIST 교수)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됐다. 결국 오 교수는 박사과정을 공부하러 미국 캘리포니아대학교(UC 버클리)로 떠났다.박사과정 때도 오 교수의 전공은 기계공학이었다. 그 중에서도 특히 CNC(수치제어) 분야에 흥미를 느꼈다. 쉽게 말해 컴퓨터 프로그래밍 기법을 이용한 자동화 분야를 연구하기 시작한 것이다. 지금은 흔히 쓰는 ... ...
이전2692702712722732742752762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