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천공
천계
창공
공중
허공
공간
스카이
d라이브러리
"
하늘
"(으)로 총 3,744건 검색되었습니다.
4. 번개의 신 제우스 동상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최고의 신 제우스가 비바람은 물론 천둥과 벼락을 만드는 신이라고 믿었다. 벼락은
하늘
에서 내린 신의 징벌로 생각했기 때문에 제우스신의 노여움을 피하기 위해 도시마다 제우스신을 모신 신전을 짓고 성대한 제사를 지냈다. 그 중에서도 압권은 아무래도 그리스 반도에서 가장 유명한 장소 중 ... ...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발휘했다. 그런 과정에서 기하학이 생겼는데 그들은 땅을 재는 것뿐만 아니라 바다와
하늘
까지 영역을 넓혔다.’천문학적으로 볼 때 의심할 수 없는 사실은 고대 이집트인들이 임의적으로 방위를 알아낼 수 있었다는 것이다. 쿠프의 피라미드는 방위의 평균 오차가 3′6″으로, 매우 미소하다 ... ...
고인돌 유적에서 발견된 별자리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나타나는 남두육성을 비롯한 여러 별자리가 그려져 있다. 고구려인이 독자적으로 밤
하늘
을 보고 별자리를 관측했음을 알 수 있다.이번에 확인된 청동기시대 돌판의 별그림은 이런 고구려의 천문지식에 대한 뿌리를 제공한다.또한 우리나라의 천문지식이 중국천문학의 전래에 의해서만 시작된 ... ...
첨단 토목공학이 건설한 한국 최장의 다리 서해대교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설계됐기 때문에 교통제한 없이 문제가 있는 케이블만 교체할 수 있다.사장교는 힘차게
하늘
로 솟은 주탑과 케이블의 배치가 어우러져 직선적인 남성미가 돋보이는 다리이다. 더욱이 서해대교는 뛰어난 조형미를 자랑하는데, 사장교의 주탑은 충남 아산시 소재 보물 537호인 당간지주를 본떠 ... ...
안드로메다 은하 찾기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저녁 남서쪽
하늘
에서는 아직 가을철별자리를 찾아볼 수 있다. 밤
하늘
의 거대한 창문, 페가수스 사각형의 왼쪽 위에 있는 별 알페라츠에서 안드로메다자리가 시작된다. 안드로메다은하는 공주의 오른쪽 무릎에 해당하는 뉴(v)별 근처에 있는데, 맨눈으로 보면 희뿌연 구름 같아 보이지만 2천억개가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거리가 약 5천3백광년 떨어진 별인데 맨눈에 볼 수 있는 가장 먼 별 중 하나다. 이 별은
하늘
에서 가장 붉게 보이는 별로 천왕성 발견자인 윌리엄 허셜이 진홍빛을 띠는 ‘석류석 별’로 이름을 붙인 것으로 유명하다. 태양과 비슷한 노란색 별로는 마차부자리 카펠라와 쌍둥이자리 폴룩스가 있다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가장 격렬한 에너지를 내는 천체는 어떤 것일까.
하늘
어디에선가 하루에 한번 꼴로 일어나는 고에너지 빛의 미스터리한 플래시.고에너지를 갖는 감마선을 폭발적으로 내놓는 감마선 폭발천체가 그 주인공이다. 감마선 폭발천체는 순간적으로 강한 빛을 내고는 약해지는데 어떤 것은 몇번에 걸쳐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환각이었다고 정의할 수 있다면 말이다.이런 환각들은 종종 텔레파시로 의사소통을 하는
하늘
로부터 날아온 이상한 존재들이 한밤중 벽을 뚫고 침실로 찾아드는 식으로 정형화됐는데, 구체적인 스토리는 그때그때 문화적 수준에 발맞춰 변형돼 왔다. 칼 세이건은 이런 체험을 하지 않은 다른 ... ...
꿈의 차세대 반도체 메모리F램 기술 선도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때, 발로 책상 아래의 전원코드를 잘못 건드려 컴퓨터 전원이 꺼져버린 적이 있다. 꼭
하늘
이 무너지는 듯한 기분이 든다. 잠시 멍하게 있다가 혹시 자동저장기능을 해놓았을지도 모른다는 희망을 가지고 컴퓨터를 켠다.그런데 그 기대마저 허사로 돌아가 버린 것을 확인한 후에는 컴퓨터 전원이 ... ...
천왕성을 찾아보자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충돌이 일어났기 때문에 자전축이 많이 기울어진 것으로 짐작된다.천왕성은 11월 밤
하늘
에서 5.7등급 정도로 빛나므로 쌍안경으로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주어진 성도에는 11월 한달 동안의 천왕성의 위치가 나와있다. 주변 별의 위치를 비교해가며 찾아보자. 천왕성의 겉보기 지름이 최대 3.9″에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