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잠재력
가망
우발성
실행 가능함
성공 여부
그럴 듯함
서광
뉴스
"
가능성
"(으)로 총 11,23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은 지금] UNIST, 국제적 수소 공급망 최적화 방법 확인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2.02
접근할 수 없는 '약으로 만들지 못했던' 신규 표적의 정확도 높은 치료법을 개발할
가능성
을 열었다고 설명했다. 디옥시리보핵산(DNA)은 메신저 리보핵산(mRNA)을 통해 복사 및 번역 과정을 거쳐 단백질로 발현된다. PTM은 최종 단백질로 번역까지 일어난 이후 추가로 생기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기존 ... ...
"코로나 백신과 사지마비 유발 급성횡단척수염 인과성 인정"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연구 결과 판단을 보류했던 급성횡단척수염은 코로나19백신 접종과의 인과성이 있을
가능성
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그는 “여러 질환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를 통해 과학적 인과성에 있어 더욱 정확한 결과를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덧붙였다 ... ...
"사슴, 코로나 바이러스 저장소...알파·감마 변이 진화"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흰꼬리사슴. 연합뉴스 제공 사슴이 신종코로나바이러스(COVID-19 코로나19)의 변이를 축적해 새로운 변이를 만들어내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 의미한다"며 "변이 바이러스는 야생 동물에게 더 큰 위험을 초래하는 방식으로 진화할
가능성
도 있다"고 밝혔다 ... ...
[과기원은 지금] 포스텍, 세포 밖에서 단백질 아닌 '고분자' 합성 밝혀
동아사이언스
l
2023.02.01
이준구 교수는 "단백질 번역과정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생화학분자들이 의외로 수정
가능성
이 크다는 것을 시사한다"며 "새로운 의약품 합성 기술뿐만 아니라 정밀 고분자 및 특성 섬유 생산으로 이어질 것을 기대한다"고 말했다 ... ...
[이덕환의 과학세상] 수출용 라면 속 유해물질...허용기준은 제한속도와 같아
2023.02.01
지킨 제품이라고 누구에게나 안전한 것도 아니다. 유해물질에 의한 부작용이 나타나는
가능성
은 사람에 따라 편차가 매우 큰 것이 일반적이다. 더욱이 허용기준은 실제 인체 독성을 걱정해야 하는 ‘안전기준’보다 충분히 낮게 설정한다. 급성독성이 의심되는 유해물질의 경우에는 더욱 엄격하게 ... ...
과식 방지에 도움…쉽게 포만감 느끼는 식습관은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조절하기 위한 포만감과 관련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무의식적인 과식을 유도할
가능성
이 가장 높은 음식물로는 에너지 밀도가 특히 높은 쿠키, 치즈가 꼽혔다. 쉽게 포만감을 느끼면서 건강에 도움이 되는 음식물에는 시금치, 당근, 사과가 해당했다. 이번 연구에 참여한 테라 파지노 미국 ... ...
AI가 외계생명체 발견?…지금까지 볼 수 없었던 신호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3.01.31
AI가 분석한 전파망원경에서 수집된 신호 데이터. AI는 이 8개 신호를 '생명체가 생성했을
가능성
이 있는 신호'로 분류했다. 외계지적생명탐사(SETI) 연구소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시대가 질병을 만든다
2023.01.31
이야기하자면 담배는 폐암의 원인이 아니라 위험인자라 해야 옳다. 하지만 폐암 발생
가능성
을 크게 증가시키고, 폐암이 인체에 치명적인 질병이므로 그 위험성을 강조한다는 뜻에서 “담배가 폐암의 원인”이라는 표현도 사용하곤 한다. 미세먼지도 여러 가지 질병의 원인이라 해도 큰 문제가 ... ...
공공기관 지정해제 과기원…해외석학 유치 길 열렸다
2023.01.30
규모 큰 KAIST만 좋은 일" 지적도 다만 과기정통부가 인건비 지급에 제약을 둘
가능성
이 커 지켜봐야 한다. 비슷한 사례로 한국예탁결제원은 올해 1월 공공기관에서 지정 해제됐지만 여전히 주무부처인 금융위원회의 인건비 규제를 받고 있다. 과기원 관계자는 "공공기관 지정 해제가 끝이 아니라 ... ...
정기석 "마스크 의무 전면 해제 5월경 가능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3.01.30
전국민 중 약 3000만명은 면역력이 없는 상태로 언제든 코로나19에 감염되고 전파할
가능성
이 있다는 의미다. 정 단장은 "현재 국내에서 유행하는 변이에는 개량백신이 잘 듣는다"며 "고위험군은 이번 유행이 끝나기 전에 개량백신을 맞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이 안전하다"고 말했다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