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단체
그룹
team
소집단
선수
티임
편
뉴스
"
팀
"(으)로 총 4,906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어처리 챌린지 대상에 GIST 석사과정 박동주 씨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광주과학기술원(GIST)는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석사과정 박동주 씨(사진)가 네이버에서 개최한 ‘자연어 처리(NLP) 챌린지’의 개체명 인식(NER) 부문 ... 대한 시상은 지난달 28일 네이버 그린팩토리에서 진행된 워크숍에서 진행됐다. 수상
팀
에겐 네이버 채용에 지원할 때 혜택이 주어진다. ... ...
LG도 애플과 손 잡았다…인공지능 TV에 '에어플레이' 연동
연합뉴스
l
2019.01.08
LG전자 제공 LG전자는 8일 자사 인공지능 TV에 애플의 무선 스트리밍 서비스·스마트홈 플랫폼을 연동한다고 밝혔다. LG전자 미국법인
팀
알 ... 만델라베이 호텔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2019 LG 프레스 컨퍼런스에서 LG전자 미국법인
팀
알레시(Tim Alessi) HE제품마케팅담당이 발표하고 있다. 2019.1. ... ...
스트레스 호르몬 실시간 검출하는 ‘몸 속’ 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8
이 센서는 체내에서 9주 이상 안정적으로 작동했으며, 조직의 손상도 별로 없었다. 연구
팀
은 이 기술을 이용해 스트레스 호르몬 과다 분비로 고통 받는 환자의 이상 코르티솔 분비를 실시간으로 감지하고, 내분비 기관 연구에 응용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했다. 호르몬이 비정상적으로 ... ...
사진도,사람 말도 잘 이해하는 AI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7
별로 데이터 크기를 미리 줄인 뒤 전송해 통신량을 줄여 속도를 높인 것이다. 연구
팀
은 이 방식을 모두 적용해 이미지 처리 속도는 그대로 유지하면서 자연어 처리 속도를 기존보다 최대 6배 높이는 데 성공했다. 연구 결과는 3월 독일 드레스덴에서 열릴 시스템 분야 국제학회 ‘유로시스(EuroSys ... ...
교통 체증이 알레르기 심하게 만든다
과학동아
l
2019.01.03
최대 71m 멀리 흩어졌다. 야생에서는 돼지풀 씨앗이 반경 1m 내에서만 확산된다. 연구
팀
은 “이번 연구는 외래종 확산에 교통량이 얼마나 영향을 주는지 확인한 첫 연구”라며 “유해 외래종은 씨앗이 퍼지기 전에 뿌리째 제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영국생태학회가 발행하는 ... ...
“우주에서 떨어지는 ‘초고에너지 우주선’ 기원은 거대질량블랙홀”
동아사이언스
l
2019.01.03
확인했다. 또 그 부근에 은하 필라멘트가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이를 바탕으로 연구
팀
은 초고에너지 우주선이 처녀자리 은하단 내에서 강한 전파와 입자(제트)를 방출하는 은하(처녀자리A 전파은하)에서 태어난 뒤, 은하 필라멘트를 따라 떠돌다 일부가 튀어 지구로 날아왔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 ...
“실생활 활용하는 고난도 AI 겨룬다” R&D그랜드 챌린지 개최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공시된 뒤 1단계 대회가 올해 6월 개최된다. 1단계에서 분야별 상위 1~3위를 차지한 12개
팀
은 7월부터 시작되는 다음 단계 도전을 위해 4억~6억 원씩의 후속 연구비를 지원 받게 된다. 권용현 과학기술정보통부 지능정보사회추진단 부단장은 “시장에서의 경쟁을 통해 최고 수준의 기술력을 확보해 AI ... ...
[인사]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동아사이언스
l
2019.01.02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부산연구개발특구본부장 오영환 ▽
팀
장 △과학벨트지원단 개발관리총괄
팀
임만혁 △〃 강소특구지원
팀
김대현 △광주연구개발특구본부 기획경영
팀
배준성 △부산연구개발특구본부 기획경영
팀
손민구 ...
연구자 주도 '자유공모연구' 등 정부지원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01
기반 실험실 창업을 활성화하기 위해 시장연계 창업탐색 지원
팀
을 기존 60개에서 70개
팀
으로 확대하고 여성 대학원생을 위한 창업지원 트랙도 신설할 예정이다. ... ...
완전 분해 ‘친환경 플라스틱’ 가능할까
2018.12.31
미생물로 분해하는 연구도 활발하다. 2016년 요시다 쇼스케 일본 교토대 연구원
팀
이 재활용 폐기물 시설 부근에서 우연히 PET를 분해하는 미생물을 발견하고 효소 두 개를 분리해 ‘사이언스’에 발표하면서 관련 연구가 시작됐다. 이상엽 교수는 올해 1월 이 미생물 효소의 구조를 밝혀 PET를 분해하는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