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레벨
규격
표준
계급
스페셜
"
수준
"(으)로 총 3,46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
2019.05.30
아무런 설명 없이 이런 말을 쓰는 이유는 현대의 교양인으로 살아가려면 이 정도
수준
의 말은 알아야 한다는 암묵적인 합의가 깔려 있기 때문이다. 과학에는 그런 합의가 없다. 몇 년 전 나는 유력 일간지 기고문에 ‘쿼크(quark)’라는 단어를 썼다가 데스크에서 ‘데스킹’ 당한 적이 있었다. 쿼크는 ... ...
[개발자 아빠의 교육실험](끝)최종 보고서, 코딩교육 정말 필요한가?
2019.05.28
컴퓨터에게 명령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알게 됐고, 스스로 조합하여 결과물도 내놓는
수준
까지 이르렀다. 사실 이 정도만으로도 아홉 살 아이에겐 기대 이상이라고 할 수 있다. 겉보기가 그렇다고 코딩 교육 의무화가 타당하다 결론짓기는 섣부르다. 의무화 배경에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걸맞은 ... ...
5G·우주인터넷 내세운 통신업계, 천문·기상학계와 한판대결 벌어지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5.28
주 미국 의회 청문회에서 “5G의 기상자료 간섭이 예보 정확성을 30% 떨어트려 1980년대
수준
으로 되돌릴 것”이라고 말했다. 스타링크 위성의 상상도다. 태양광 패널이 빛을 반사시켜 보이는 것에 대한 우려 외에도 위성이 쏘는 전파가 전파천문학 연구에도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 ...
바이오마커가 못찾은 약효 통할 환자 52%…국산 의료AI 면역항암제 효과 입증
동아사이언스
l
2019.05.27
서범석 루닛 대표는 “AI를 활용하면 정밀의료를 한 단계 더 끌어올려 의료 서비스의
수준
을 높일 수 있다"며 “앞으로도 다양한 연구 파트너십을 통해 AI을 활용한 정밀의료기반 암 치료와, 환자 예측 연구를 가속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게임몰입 청소년 10명中 6명 스스로 정상 되찾아…기대·간섭 많은 부모일수록 위험
과학동아
l
2019.05.27
정 교수팀은 해마다 과도하게 게임을 즐기는 학생들 가운데 50~60%는 자연스럽게 정상
수준
으로 회복되는 현상도 확인했다. 게임에 빠진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의학적인 조치를 하거나 게임을 하지 못하게 제약을 두지 않았는데도, 청소년 절반 이상은 게임 이용에 대한 자기 통제력이 생겼다. 게임에 ... ...
[표지로 읽는 과학] 통합으로 번성한 유럽 과학기술, 갈림길에 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5.25
분석했다. 2008년 있었던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스페인과 같은 국가들이 이전의 연구 지출
수준
과 과학자 수를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게 큰 이유다. 특히 새로운 EU 회원국 중 일부는 국내 연구에 대규모 투자를 꺼리고 있는 추세다. 여기에 브렉시트를 비롯해 포퓰리즘과 민족주의가 만연하면서 EU가 ... ...
'이름만이라도' 화성行 선택한 335만명…북한도 347명 신청
동아사이언스
l
2019.05.24
실리콘 칩에 새겨 화성으로 보낼 예정이다. 글자 선의 굵기는 머리카락의 1000분의 1 굵기
수준
인 75나노미터(㎚, 10억분의 1m)다. 작은 동전 크기의 칩 하나에 100만 명 이상의 이름을 새길 수 있다. NASA 측은 “칩은 유리 덮개를 씌워 로버에 실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열기는 뜨겁다. 신청을 받은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보이지 않는 기술자
2019.05.24
아무리 손 기술이 좋지 않은 학생이라도 어느 정도의 성공을 보장하는 정도의
수준
이 될 수는 있다. 문제는 그 다음이다. 이렇게 성공적으로 유전자를 제거한 배아세포는 암컷 생쥐에 착상시켜야 한다. 바로 이 과정이 전문적인 경험과 기술이 요구되는 곳이다. 아무리 유전자를 잘 클로닝해서 ... ...
NASA 관계자 "2033년 美 화성 유인탐사 계획 실현가능성 떨어져"
동아사이언스
l
2019.05.20
단방향으로 통신이 가능하다. 메시지를 한번 보내고 받는데 약 4분에서 24분정도 걸리는
수준
이다. 로빈슨 수석연구원은 또 “우주인들이 우주에서 2년간 고립됐을 때 나타나는 심리적 압박감을 어떻게 이겨낼지에 대해서도 방안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다. 제니퍼 헬드먼 NASA 행성학 연구원은 ... ...
"로켓·위성만 보면 안되는데…AI·로봇이 우주산업 이끌 것" 한불 우주포럼
동아사이언스
l
2019.05.17
나스르 사장은 “에어버스의 A320 항공기는 개발 초기만해도 1년에 몇 대 생산하는
수준
이었지만 지금은 하루에 수 대를 생산할 만큼 기술이 발전했다”며 “이런 기술 역량을 응용해 인공위성을 수 시간 안에 600대 생산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다른 분야와의 협력도 중요하다고 역설했다. ... ...
이전
269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