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현존
존재
생존
현재
d라이브러리
"
기존
"(으)로 총 4,799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돌목의 거센 물살로 전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8년 04호
조건을 변화시키며 수문의 성능을 시뮬레이션했더니 수문 바닥의 모양만 변화시켜도
기존
수문보다 물을 30% 정도 잘 통과시켰다”고 말했다. 이 연구결과는 가로림만과 인천만 조력발전소에 적용될 수 있다.이들은 양식장의 피해를 걱정하던 주민들에게 방조제로 바닷물을 막으면 물살이 잔잔해져 ... ...
1977년 칼 우스 교수의 고세균 제안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메탄으로 환원시키는 특이한 대사를 하는 미생물이다.이런 결과를 토대로 우스 교수는
기존
의 5계 분류 체계를 대폭 수정했다. 즉 원계(原界, urkingdom)라는 계보다 상위의 분류체계를 도입해 생명체를 3가지 원계, 즉 진정세균, 고세균, 진핵생물로 분류했다. 진정세균(eubacteria)이란 ‘진짜’ 세균이란 ... ...
민부리고래, 목구멍으로 소리 듣는다?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온라인판 2월 4일자에 발표했다. 이는 음파가 고래의 아래턱뼈를 거쳐 귀에 전달된다는
기존
학설과 배치된다.크랜포드 박사팀은 민부리고래의 머리 부분을 컴퓨터 단층촬영한 뒤 이를 컴퓨터에서 입체구조로 나타냈다. 연구팀은 해부학적인 구조는 물론 뼈와 조직 밀도 같은 물리적인 특성도 ... ...
내 몸에 흐르는 디지털 파일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감지해 송신기에서 보낸 데이터를 식별한다.NTT는 감도가 뛰어난 크리스털 덕분에
기존
인체통신 장치보다 10배 이상 빠른 10Mbps의 데이터 전송속도를 얻었다. 하지만 이 장치를 바로 상용화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값비싼 크리스털을 사용할 뿐만 아니라 레이저를 쏘는데 전력을 많이 소모하기 ... ...
질병 진단의 신예 적혈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수는 없다”고 전제하면서도 “임상 결과가 축적된다면 적혈구를 활용한 질병 진단이
기존
혈액 검사의 부족한 점을 메워줄 가능성도 충분하다”고 말했다. 다발성 골수종*면역 단백질인 글로불린을 만드는 세포가 암세포로 바뀌는 혈액암의 일종 ... ...
'경칩'에 움츠러든 개구리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서식한다.생태, 형태적으로 육상에 적응한 특징이 있고 고유한 유전자를 가진 종으로
기존
에 분류됐던 미주도롱뇽과의 도롱뇽들과 생물진화학적 측면과 생물계통지리학적 측면에서 연관성을 연구하는 학술적 가치가 있는 종이다. 우리나라에 서식하고 있던 도롱뇽과(Hynobiidae) 종들과는 형태와 ... ...
2. 기업의 또 다른 힘 멘토링
과학동아
l
2008년 03호
근무만족도를 높인다는 목표를 설정했다.주로 경영진이나 신입사원으로 한정했던
기존
멘토링에서 벗어나려는 노력도 있다. 벨 캐나다는 온라인 멘토링 ‘멘토 매치’를 가동해 회사 전체 사원이 참여할 수 있도록 만들었다. 커진 사업조직 내에서 지역별, 부서별로 일관된 조직문화를 퍼뜨리면서 ... ...
21세기 청진기, 의료영상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넣을 필요 없이 가상 아바타의 소화기 내벽을 보는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김 교수는 “
기존
의 내시경은 화면이 진행하는 방향을 중심으로 180° 영상만 볼 수 있으므로 나머지 180°에서 벌어지는 일은 의사가 알아챌 수 없다”며 “가상내시경을 이용하면 영상을 360°로 자유롭게 돌려가며 장 속을 ... ...
행복의 과학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개인주의 성향이 강하다는 것입니다. 문화의 틀에 잘 적응한 사람이 행복할 거라는
기존
의 생각이 틀린 거지요.”개인의 행복과 문화의 관계를 밝히는 연구를 주도해오고 있는 연세대 심리학과 서은국 교수의 설명이다. 결국 한국에서 행복하게 살려면 개인주의 성향과 사회적 요구 사이에 줄타기를 ... ...
양성자 있어야 변비 안 걸린다
과학동아
l
2008년 02호
조르젠슨 교수는 “양성자가 또 하나의 새로운 신경전달물질일 가능성이 있다”며 “
기존
신경전달물질이 신경세포에서 근육세포로 배출되면서 근육을 수축시키는 역할을 하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