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산타는 소시지 포장을 좋아해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좀 더 빽빽하게 배열하는 게 더 낫다. 그러니까 4차원 문제의 경우 소시지
방식
과 벌집
방식
을 구분하는 경계가 5만 개에서 10만 개 사이 어딘가에 있다는 얘기다.5차원부터는 어떨까. 여기서도 어느 범위까지만 소시지 포장법이 최고일까. 기하학에 능통한 헝가리의 수학자 라슬로 페에스토트는 1975년 ... ...
상상력의 마술사, 피카소와 몬드리안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충실하게 묘사하는 모범적인 그림이 주를 이뤘어요. 하지만 피카소는 전혀 새로운
방식
으로 대상을 표현했답니. 그는 “나는 보이는 것을 그리지않고 알고 있는 것을 그린다.”라고 말하곤 했어요.을 보면 오른쪽 두 여인은 아프리카 가면을 썼고, 몸은 단순한 평면으로 ... ...
마트와 적립카드, 수학으로 엮인 사연은?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쾌적한 공간을 제공하고 놀이공간과 식당을 적절히 배치하는 식이다. 변화하는 생활
방식
과 수학으로 분석한 결과를 고려해 더 나은 설계로 바꾸는 것이다. 편의점 계산대의 비밀요즘 어느 가게를 가더라도 계산대에 컴퓨터 비슷한 단말기가 하나씩 있다. 바로 POS라 불리는 판매시점관리 단말기다.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보는 재미를 더한다. 두 작품은 모두 18세기에 같은 주제를 두고 그려졌지만,구도나 표현
방식
등에서 완전히 달라 비교하며 보는 재미가 있다. 김홍도가 남긴 의 또다른 특징은 배경 없이 인물만으로 구성해 여백의 미를 살렸다는 데 있다. 배경도 없고 채색도 거의 하지 않아 ... ...
PART 2. 타임머신 터미널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할 것이다.]2011년에 불가능한 이유리처드 고트 프린스턴대 교수는 이런 미래 여행
방식
이 가능하려면 지금까지 가장 높은 출력을 가진 새턴 5호 로켓의 4000배에 달하는 물질-반물질 로켓을 만들어야한다고 계산했다. 물질-반물질 에너지 저장 탱크와 엔진이 녹지 않게 냉각하는 기술, 우주선에 ... ...
암세포만 찔러 죽이는 바이러스 항암제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뺏긴 암세포는 더 증식하지 못하고 죽었다. 바이러스는 다시 다른 암세포로 가 같은
방식
으로 암세포를 파괴했다. 이 순환을 반복하며 주위의 암세포를 모두 죽였다. 남은 바이러스는 몸속 면역세포가 없앤다.반면 이 바이러스는 정상 세포 속에서는 자랄 수 없다. 대부분의 정상세포는 더 이상 ... ...
우리는 개를 이해하고 있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심리를 가장 자세히, 그리고 재미있게 풀어 놓은 책으로 꼽을 만하다. 저자가 비슷한
방식
으로 다른 동물을 소개한 ‘고양이에 대하여’, ‘말에 대하여’도 모두 번역돼 있다.개를 궁금해 한 것은 200년 전 다윈 역시 마찬가지였다. 못 말리는 애견가였던 다윈의 ‘개 사랑’을 추적하며 그의 ... ...
대한민국 여성 과학인재를 키운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입학은 어떤
방식
으로 이뤄지는가?일반고 후기전형
방식
이다. 과학고처럼 선발
방식
이 아니다. 과학중점과정을 지원한 학생들을 추첨 배정받는다. 단, 자율형 공립고를 배정한 후 일반 고등학교보다 앞서서 배정받는다. 추첨 배정은 2차로 나뉜다. 1차는 관내 지원자 중 과학중점과정 정원의 50%를 ... ...
뇌는 알고 있다 오르가슴의 비밀을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보고한 개별적인 사례를 제외하고는 제대로 알 수가 없었다. 방대한 규모의 사례연구
방식
을 신뢰하던 킨제이는 이 논쟁마저 자신의 과감하고 ‘통 큰’ 데이터로 끝장을 내버렸다.킨제이는 다섯 명의 산부인과 의사들을 통해 약 900명의 여성들을 대상으로 직접 질과 자궁경부를 자극하는 실험을 ... ...
“정글 성큼성큼 걷는 거대로봇 만들 겁니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홍 교수는 “로봇이 이동하는데 장애물을 피하는 게 골칫거리지만 키가 10m나 되면 이동
방식
이 완전히 달라진다”며 “장애물을 피하는 게 아니라 그냥 넘어가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로봇은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지원을 받아 개발한다.만나자마자 로봇 이야기를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