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상
추측
가상
몽상
구상
팬시
허구
d라이브러리
"
상상
"(으)로 총 3,427건 검색되었습니다.
화성운하의 진실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하면 누구나 화성인을
상상
한다. 문어 같은 모습을 한 화성인을 영화나 그림 속에서 본 적이 있기 때문이다. 화성인의 모습은 우리들의 머리 속에서 나온 것이다. 우리보다 더 발달한 생물이 있다면 이들은 머리와 손발이 크게 진화했을 것이라고 생각한 것이다.코페르니쿠스 이전에는 화성인의 ... ...
미디어왕국 꿈꾸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야심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될 것이다.소프트웨어 뿐 아니라 정보 기술 분야에서 마이크로소프트의 영향력은 이미
상상
을 초월한다. 예전에는 하드웨어가 먼저 있고 소프트웨어가 그를 지원했으나 이제는 마이크로소프트가 먼저 있고 하드웨어가 이에 맞추는 세상이 된 것이다. 이제 마이크로소프트는 그 영향력을 정보 기술 ... ...
SF예언력은 어느 정도?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상당 부분 SF에서 묘사되는 미래의 다양한 모습들에서 힘입는 바가 크다. 이처럼 SF적
상상
력은 단순히 미학적 차원이나 오락적 기능 이상의 중차대한 의미를 지니고 있는 것이다.우리는 이제까지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많은 변화를 겪으리라고 전망된다. 예측 불허로 치닫는 국제 정세나 문화 ... ...
다이어트 거울로 날씬한 몸매를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속에 비친 내 모습을
상상
해보자. 요술거울은 빛을 어디로 유도하는가?매일 자신의 모습을 보여주는 거울, 그러나 조명이 없는 깜깜한 밤에는 거울 속에 비친 모습을 볼 수 없다. 왜냐하면 반사될 빛이 없기 때문이다. 빛의 반사를 잘 이용하면 거울 속에 비친 홀쭉한 내 모습을 볼 수도 있다는데, ... ...
상상
물 전시회
과학동아
l
1997년 11호
또 모를까.”“그럼 제품이란 말은…”“아, 그거요? 백년 뒤에는 그렇게 기발한
상상
물들을 보는 게 유행하거든요. 말 그대로 이런 것들은 시간이 지나면 흔적도 남지 않을 수 있어요. 아까 제가 말했을텐데 못 들으신 모양이군요.”그들은 희원이 사람들 속으로 사라지는 것을 멍하니 바라보았다. ... ...
공룡의 피부색은 어떤 색?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쥐라기공원’에 나오는 공룡의 피부색은 현재 지구상에 살고 있는 파충류를 보고
상상
해 낸 것이다. 그러나 이것은 확실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금은 멸종돼 유사종이 없는 고생물의 피부색은 알아내기가 더욱 어렵다. 최근 오스트레일리아의 연구진은 고생물의 피부색을 정확히 알아내는 방법을 ... ...
Ⅰ. 대피라미드와 돌항아리의 비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그리니치 천문대는 각각 정확히 자오선(어떤 지점에서 정북과 정남을 따라 천구에
상상
으로 그은 선)과 일치하도록 설계됐다. 하지만 실제로 측정한 결과 각 천문대는 자오선 방향에 대해 6호분과9호분씩 틀어져 있었다. 이에 비해 대피라미드는 3호분 남짓 어긋나 있을 뿐이다.또 오늘날 레이저빔을 ... ...
화성 생명체를 기다리며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없다. 이에 비해 외계인은 모두 한결같은 얼굴과 신체를 가졌다. 제작비의 문제만으로 ‘
상상
력의 빈곤’에 대한 화살을 피할 순 없다.화성생명체와의 전쟁을 다룬 영화보다 더욱 흥미로운 영화는 화성을 식민지로 점유한 인간들이 화성을 무대로 싸우는 영화들이다. 폴 베호벤 감독의 ‘토탈 ... ...
Ⅳ. 금도금의 수수께끼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가졌다고 볼 수는 없지 않을까. 이집트나 메소포타미아에서 현대인들이 볼 때도 도저히
상상
할 수 없는 수많은 개발품과 역작이 있을 수 있다. 그러나 이들이 만든 어떤 기술도 계속 이어지지 못하고 단절됐다면 그것은 당시의 한 아이디어에 그칠 뿐이다 ... ...
성은 왜 존재하는가.
과학동아
l
1997년 10호
다양한 곤충들이 나돌아다니고, 지렁이가 축축한 대지를 기어다니는, 뒤엉킨 강둑을
상상
하는 것은 흥미로운 일이다”에서 인용하여 붙인 명칭이다. 이 이론에 따르면, 뒤엉킨 강둑처럼 각양각색의 생물이 밀집한 서식지에서는 무성생식이 불리하고 다양한 자식을 낳는 유성생식이 유리하다.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