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신경섬유
섬유
안면신경
앞면신경
안면
치수
d라이브러리
"
신경
"(으)로 총 3,720건 검색되었습니다.
시각정보 전달 과정 밝혀져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대해 이처럼 잘 적응할까. 눈의 망막 기능에서의 핵심은 광자들이 광수용체 세포에서
신경
신호로 바뀌고 뉴런에 그 신호들을 전달하는 것이다. 이번 연구의 핵심은 눈의 광수용체 세포들이 신호전달을 위해 화학물질인 글루탐산염을 내놓고 뉴런은 글루탐산염을 수용해 정보가 전달된다는 것을 ... ...
화학물질로 본 사랑3단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페닐에틸아민이 분비되면서 감정은 급격히 상승곡선을 그린다. 페닐에틸아민은 중추
신경
을 자극하는 천연각성제 구실을 한다. 이때는 이성으로 제어하기 힘든 열정이 분출되고 행복감에 빠진다. 이때쯤 되면 사랑하는 사람을 껴앉고 싶은 충동이 일어나면서 시상하부의 뇌하수체에서는 ... ...
2. 과학으로 해부한 6가지 사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우리 신체의 어디에 숨어있을까. 심장일까, 두뇌일까. 이에 대해 김중술교수(서울대
신경
정신과)는 생리학적인 사랑의 근원으로 뇌의 변연계를 든다. 이곳은 일종의 정서적 두뇌로서 인위적인 자극에 대해 울거나 웃거나 하는 정서적 반응을 유발한다. 물론 이 부분이 손상되면 적절한 정서적 반응은 ... ...
세계의 밀레니엄 로봇 퍼레이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기계로 바꾼 것. 여기에서는 마이크로컨트롤러에서 나오는 펄스가 바퀴벌레의 근육과
신경
을 자극해 움직이도록 만든다. 곤충을 외부에서 조작해 움직이는 기술은 미래의 생물학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스모로봇대회1992년부터 일본 소니사가 개최하는 스모(일본씨름) 로봇대회. ... ...
인간과 더불어 사는 신세대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좇는 허리와 머리(눈)의 운동도 있지만, 중심은 팔과 다리의 운동. 로봇이라면 가장
신경
을 쓰는 부분이다. 그런데 로봇을 처음 본 사람들은 실망하고 만다. SF 만화나 영화에 길들여져 있기 때문이다.현재 로봇 팔은 인간의 팔과 유사하게 만들 수 있다. 인간의 경우 어깨관절(상하, 좌우, 회전 등 ... ...
고추의 매운맛은 자손 퍼뜨리는 수단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수용체와 결합하면 세포의 이온채널이 열려 이온들이 안으로 들어오게 되고, 이로써
신경
의 전기적 충격이 촉발돼 뇌는 이를 고통으로 인식하는 것이다.연구자들은 애리조나 남부의 칠레고추밭을 비디오테이프로 녹화한 결과, 개똥지빠귀와 같은 새들만 칠레고추를 먹고 선인장 쥐나 다른 종류의 ... ...
④ 인간 대신 난치병 앓는 누드쥐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포배기의 수정란은 몸의 어느 부위로 발달할지 정해지지 않은 단계의 세포 덩어리다. 즉
신경
이나 근육 어느 부위로 분화될지 정해지지 않은 상태다.이 세포의 일부를 떼어내 배양한 것을 ‘배간(胚幹) 세포’(embryonic stem cells)라 부른다. 배간 세포는 시험관에서 끊임없이 분열을 거듭한다. 이 ... ...
프로게이머 슬기팀이 추천하는 여름나기 톱게임3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화면진행이 느리면 그래픽이 뒤쳐져 보이지 않느냐고 묻겠지만, 그래픽에도 상당히
신경
을 써서 사실적인 면을 많이 느끼게 한다.그 외에도 이 게임에는 흥미를 느끼게 하는 여러가지 요소가 있다. 우선 수집광들이나 어렸을 때 BB탄이 들어가는 모형소총으로 서바이벌 게임을 해 본 사람들은 누구나 ... ...
IBM왓슨 연구소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재고상황은 인터넷을 통해 유통회사와 생산자에게 전해진다.왓슨연구소에서 가장
신경
을 쓰는 부분은 지금까지 맹위를 떨쳐온 PC가 사라질지 모른다는 것. 사실 PC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만큼 단순하지 않고 휴대하기도 불편하다. 그런데다가 최근 괄목할 성장을 하고 있는 이동통신기기들이 인터넷 ... ...
우주여행의 파이어니어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나이가 어렸고 키도 1백70cm를 넘지 않는 단신이었다.우주비행사를 선발할 때 가장 크게
신경
을 쓴 부분은 심리적인 안정감. 첫 우주비행이기 때문에 행여 발사 후 졸도라도 하면 큰일이었던 것이다. 보스토크의 조종을 우주비행사에게 맡기지 않고 컴퓨터에 의해 자동적으로 작동하도록 만든 것도 이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