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온
안녕
안전
고정
평정
안락
침착
d라이브러리
"
안정
"(으)로 총 3,456건 검색되었습니다.
물리- 안전만점 나무젓가락 다리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몸을 지탱할 수 있습니다.이와 같이 재료를 세개 연결하여 만들어진 삼각형 구조는 매우
안정
합니다. 이를 기본 삼각형 트러스라 합니다(그림). 실제로 만들어보니 시간도 꽤 걸리고 쉽지 않다는 걸 알았을 겁니다. 다리 구조는 크게 덮개인 상판과 다리를 세로로 지탱해주는 교각으로 나눌 수 ... ...
장기 기억력 갖춘 신종 파리 생산 성공
과학동아
l
1995년 06호
뒤 과실파리의 배(embryo)에 넣고 수세대를 거치게 했더니(조작된 CREB가 염색체 내에
안정
되게 자리잡을 때까지) 장기 기억력이 뛰어난 과실파리가 얻어졌다.한편 콜드 스프링스 하버 연구소의 알시노 실바박사팀은 포유류인 생쥐에 CREB 유사유전자를 주입했으나 생쥐의 장기 기억능력은 향상되지 ... ...
에이즈를 극복하는 사람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차이점은 장기생존자가 이 수를 오랫동안 유지한다는 것이다.그렇다면 CD4세포의 수를
안정
시키지 못하면 그의 운명은 절망적인 상태에 이르게 되는가. 현 시점에서 누구도 이 질문에 대해 자신있게 대답하기 어렵다. CD4세포의 숫자가 2백개 이하인 상태에서도 적지않은 사람들이 수년간 건강하게 ... ...
1. 생물종, 30년내 4분의 1 사라진다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가능한 한 무리의 생물군을 말한다. 생태계는 이러한 종이 다양하게 모여 이루어질수록
안정
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를 종다양성이라 한다. 근래 들어서는 종보다 한차원 넓은 개념으로 생물다양성을 거론하기도 한다. 이는 유전자, 종, 생태계의 3단계로 파악할 수 있다.위기의 지구-매년 수만종의 ... ...
귀화 식물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일반적으로 문명화로 인한 자연파괴가 되지 않은 산이나 들판에는 자생식물로 이루어진
안정
된 자연생태계가 유지되고 있으나 인간에 의해 파헤쳐진 땅이나 파괴된 생태계에는 어김없이 귀화식물이 무리지어 살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러므로 귀화식물이 많은 곳은 자연생태계가 파괴된 곳이며 ... ...
놀라운 기능성 페인트의 세계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등의 역할을 한다. 방충도료에는 방충효과가 좋고 인체에 해가 없으며 환경에 대한
안정
성과 경제성, 피도물에 악영향을 주지 않을 것 등의 조건이 필요하다. 살충 도료는 합성수지에 유기 인산계 살충제를 첨가해 제조한다.원치않는 해충의 침입을 방지하는 도료와 달리 수산 영양 도료처럼 생물의 ... ...
"상대성이론 창안 1등공신은 부인 밀레바"
과학동아
l
1995년 05호
공회당에서 조촐한 결혼식을 치르고 임시직이 아닌 특허청 공무원이 되면서 생활의
안정
을 찾고 연구에 몰두한 결과 1905년 그는 특수상대성이론을 발표하면서 학계에 혜성처럼 등장하게 된다. 여러 대학에서 초빙을 받아 교수가 된 그는 제네바 대학에서 명예박사학위를 받았는데, 그 소식이 신문에 ... ...
2 우주의 지름길 웜홀 통해 과거여행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되면 토론의 여지가 남아있다. 필자와 미국의 천체물리학자인 손이 증명한 양자론적인
안정
성에 대하여 호킹은 반론을 폈다. 소위 '시간 순서 보호'라는 가설을 통하여 "누군가가 타임머신을 만들려고 한다면 그 장치가 타임머신이 되기 전에 양자론적인 진공에너지의 교란이 그 장치를 둘러 싸 ... ...
1 기초과학은 현대산업의 쌀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출발한다. 양자론이란 자연의 기본적인 원리가 시사하는 바에 따라서 원자의 준불
안정
상태(population inversion)를 실현하고 이를 외부에서 자극함으로써 지극히 강한 빛을 만들어낸다. 이는 결이 맞는 빛이기에 보통 전지와 같은 광원과는 달리 퍼지지 않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달나라까지 능히 갈 수 ... ...
1 첨단시설 연구소 버리고 내키지 않는 대학 발걸음
과학동아
l
1995년 04호
한다.대학, 만능 아니다현재 우리나라는 이공계 고급인력의 80% 가량이 대학에 몰려 있다.
안정
된 신분에다 시간도 많고 보수도 많고 자율성이 보장되기 때문이다. 국내외를 막론하고 학위와 포스트닥을 마친 고급인력들이 시간을 허비하면서까지 교수자리를 기다리는 안타까운 일이 벌어지고 있는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