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책과 연애하는 행복한 번역가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활동하고 있다. 과학독서아카데미는 매달 한권의 과학 관련 도서를 선정해 읽고, 그 분야
전문가
의 강연을 듣고 토론하는 모임이다. 과학 관련 도서라고 하지만 그 범위는 넓고도 다양하다. 더구나 모임을 꾸려가는 책임자로서 독서에 대한 부담도 만만치 않을텐데, 전공 이외의 책들은 어떻게 ... ...
1백m 길이 탄소나노튜브 만드는 기술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형성되는 나노튜브들 사이에 막대를 회전시켜 기다랗게 꼬인 실 형태를 얻었다.
전문가
들은 이 방식을 이용할 경우 싼값으로 1백m 이상의 탄소나노튜브를 제작할 수 있다고 평가했다.이 탄소나노튜브를 플라스틱에 심는다면 비행기 우주선 등에 현재보다 튼튼한 복합재료로 쓰일 수 있다 ... ...
손에 들고 쓰는 컴퓨터 태블릿PC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태블릿PC는 편리한 휴대성과 성능에도 불구하고 한동안 제자리를 찾지 못했다. 높은 가격과 낮은 서체 인식률로 노트북과 PDA에 밀려 호응을 얻을 수 없었기 때 ... OS와 태블릿 전용 디스플레이 기술이 나오면 전체 시장에서 태블릿PC의 위상은 더 올라갈 것으로
전문가
들은 분석하고 있다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수출 물량은 물론 국내 소비량 전체가 외국계 기업 수중에 넘어갈 수밖에 없다고
전문가
들은 진단한다. 한마디로 위기라는 것이다.센서와 통신 기능을 가진 전자태그는 사람으로 따지면 일종의 말초신경 역할을 한다고 할 수 있다. 전자태그 기술의 발전은 사람이 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모든 ... ...
② 영화의 완성도, 과학자가 책임진다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에너지로 바꾸는 현상인 ‘음파발광’(sonoluminescence)을 소재로 했다. 물론 제작진은 관련
전문가
들로부터 자문을 받았고, 영화 촬영도 사실적 장면을 연출하기 위해 1995년에 미국 시카고 부근 아르곤국립연구소에서 진행됐다.음파발광은 지금도 핫이슈다. 지난 3월 3일 ‘뉴욕타임스’는 ... ...
21세기형 동물원, 생태동물원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대해 반대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그것은 매우 근시안적인 사고라 생각된다. 야생동물
전문가
집단을 보유하고 있으며 가장 많은 동물자원을 가진 동물원이 그 역할을 하지 않으면 복원계획은 휴지조각에 지나지 않기 때문이다.정부당국과 동물원이 상호협력해 역할분담을 하고 함께 노력하지 않으면 ... ...
1. 복제양 돌리와 줄기세포의 만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삽입해 배아를 만들어냈다. 이 배아는 6세포기까지 분열하다가 죽어버렸다. 그래서 복제
전문가
들에게 배아를 세번까지 분열시킨 8세포기는 ‘마의 장벽’으로 통했다.최근에는 아예 인간 배아 복제와 이를 통한 줄기세포 배양이 인간과 같은 영장류에서는 불가능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오기도 했다. ... ...
고교생도 연구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개선한다면 영재교육의 내실화는 물론 과학 대중화에 긍정적으로 작용하리라는 게
전문가
들의 견해다. 제2차 창의적 사사연구과제는 3월 중 시작될 예정이다 ... ...
로켓 공격도 막아주는 첨단 방탄차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위해 육군사관학교 무기공학과 김희재 교수를 찾았다. 우리나라 최고의 방탄공학
전문가
인 김 교수는 이 분야 연구만 15년 이상 해온 베테랑 과학자다.육군사관학교 교수답게 군복을 멋지게 차려 입고 기자를 맞이한 김 교수는 한 손엔 신형 방탄헬멧을 들고 친절하게 방탄공학의 세계로 안내한다. ... ...
4배 빠른 차세대 초고속 D램 개발
과학동아
l
2004년 03호
PC 하드디스크 드라이브 저장용량인 50GB(기가바이트) 분량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는 뜻.
전문가
들은 램 처리속도를 초당 6.4기가비트(6.4Gb)까지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이번에 개발된 XDR D램은 램버스 D램의 계보를 잇는 차세대 메모리로 D램 반도체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자랑한다 ... ...
이전
270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