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8,276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중력이 만든 1cm 헬륨 결정
과학동아
l
201301
초유동성이란 액체헬륨이 극저온 상태에서 점성을 잃어버리는 성질을 말한다. 다카하시
교수
는 “결정 발달과 관련한 물리적 성질을 밝히는데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실험의 의미를 강조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학술지 ‘뉴 저널 오브 피직스’ 2012년 12월 13일자에 공개됐다 ... ...
진시황이 찾던 불로초는 야자수?
과학동아
l
201301
야자수의 세포가 생명체의 세포 중에서 가장 수명이 길지도 모른다고 주장했다.톰린슨
교수
는 “야자수에 불사의 비밀이 있다고 확언할 수는 없지만 다른 나무와 야자수가 왜 뚜렷하게 다른 특징을 갖게 됐는지 자세히 알아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 ...
태양보다 100만 배 밝은 빛, 통신혁명 가져올까
과학동아
l
201301
한 번에 더 많은 빛을 보낼 수 있다면 속도와 전송량 모두를 끌어올릴 수 있다.주
교수
는 “이번 기술은 적은 공간에 더 많은 빛을 모을 수 있다는 점에서 광통신 분야에 활용 가치가 높다”고 설명했다 ... ...
통신 기술을 밝힐 나노 태양!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1
훨씬 밝은 ‘미니 태양’이 반도체 위에 떠올랐어요. 미국 캘리포니아공과대학교의 주혁
교수
를포함한 국제 연구팀은 빛을 아주 작은 점에 집중해 태양 표면보다 100만 배나 밝은 빛을 만들어냈답니다. 이 ‘미니 태양’의 크기는 100제곱 나노미터(㎚, 1㎚=1억 분의 1m). 머리카락 굵기의 1억 분의 ... ...
PART 2. 새로운 시대가 열린다 - 네오 DNA
과학동아
l
201301
변이에 대한 논쟁이 시작되다’라는 기사를 통해 이런 학계 분위기를 빠르게 전했다.청
교수
와 다른 연구자 사이의 논쟁이 아직 뜨거운 가운데, RNA 자체 변이에 대한 논문은 계속 나오고 있다.2012년 네이처 바이오테크놀로지에는 한 명의 개인 유전체에서 2만 2000여 개에 이르는 대규모 RNA 자체 ... ...
왼손잡이는 정말로 천재인가
과학동아
l
201301
학업성취도가 더 떨어진다는 연구도 있었다. 마이크 니콜스 호주 플린더스대
교수
는 5살 난 호주 어린이 5000명의 학교 생활을 관찰한 결과 집단 전체 평균만으로 비교하면 왼손잡이 어린이가 오른손잡이보다 수행능력이 못하다는 통계 결과를 내놓기도 했다.왼손잡이와 오른손잡이 중 누가 더 ... ...
'마의'처럼 말과 교감하는게 중요해요
과학동아
l
201301
길어지고 재활도 끈기있게 해야 합니다. 마의가 되려면 이런 점을 배워야 하죠.”한
교수
는 학교에서 강의를 하는 것 외에도 일주일에 한번씩 한국마사회 소속 수의사들과 함께 경주마들을 진료하고 있다. “다른 수의사들과 말에 대해 이야기하며 함께 일하는 게 무척 즐겁고 좋은 경험”이라고 ... ...
[수학동아] 프랙탈 구조로 더 가벼운 건축물 만드는 법
수학동아
l
201301
노팅엄 대학의 용 마오
교수
연구팀은 무거운 철근 기둥 대신 속이 비어 있는 고체 형태의 프랙탈 구조물을 이용해 가벼우면서도 튼튼한 건축물을 만드는 방법을 연구했다. 이를 위해 우선 다양한 반지름을 가진 속이 빈 고체 기둥을 만들고, 이것을 ‘0단계’라고 이름붙였다. 그리고 이 고체 기둥을 ... ...
2013, 수학으로 머피의 법칙을 탈출하라!
수학동아
l
201301
2013년 새해가 밝았다. 하지만 막강한 힘으로 세계를 지배하려는 영화 의 주인공 피치는 전 세계 어린이들에게 두려운 마음을 주려는 음모를 꾸미고 있다. 그 첫 대상으로 눈을 내리는 능력을 지닌 잭 프로스트를 선택해, 그에게 머피의 법칙을 불어 넣었다. 하루 종일 불운의 기운에 사로 ... ...
2013 눈길을 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301
움직이는 방법을 계산해 냈다. 캐나다 몬트리올 대학교 경영대학 안젤리카살라저 아귈라
교수
팀은 도로의 넓이와 제설차 능력을 계산에 넣고 도로가 만나는 모든 지점에 좌표를 찍어서 최소 구간을 찾았다.이번 연구의 핵심은 제설차 430대가 개미나 꿀벌처럼 유기적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기존에는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