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치수
사이즈
부피
넓이
규모
칫수
용적
d라이브러리
"
크기
"(으)로 총 6,184건 검색되었습니다.
컴퓨터로 공기 잡는다
과학동아
l
200707
변을 20km까지 줄인 SNU 모델을 완성했다. 세계적으로 대부분의 기후모델이 채택한 격자의
크기
가 300km인 점을 감안하면 초고해상도 기후모델인 셈이다. 강 교수는 “이 모델을 사용하면 태풍 같은 기상 현상을 훨씬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다”며 ‘메이드 인 코리아’ 기후모델을 자랑했다 ... ...
화성이 뒤집혔어요?
과학동아
l
200707
이동에 따른 지각변동 때문”이라며 “화성 표면의 3분 1에 해당하는 면적(지구의 태평양
크기
)이 원시 바다였다”고 주장했다.페론 교수는 “과거에 있었던 물이 지금은 어떻게 지각에 묻혔는지 밝히는 일이 마지막 수수께끼가 될 것”이라며 “원래 물이 있었던 곳은 적어도 20억년 전에 ... ...
전기도 무선으로 전송한다
과학동아
l
200707
바깥쪽 피하조직에 기생하고, 감염 부위에는 유충에 의한 비후(肥厚)가 일어나 지름 5cm
크기
의 결절(結節)이 생긴다이 피부병에 의해 가축은 육질(肉質)이 떨어진다나자식물 은행류(類)에 속하는 화석식물 주로 중생대 지층에서 나오며 오늘날의 은행잎과 닮은 화석에 부여된 이름(器官屬名 ... ...
PART2 생체 에너지 공장
과학동아
l
200707
혈액 속 당분을 빨아들여 로봇 속에서 산화시켜 에너지를 만든다는 사실이다. 나노
크기
로 매우 작은 시스템이기 때문에 소량의 에너지를 지속적으로 공급해야 하는데, 현재 연료전지 기술에서는 이것이 불가능하다. 만약 인체 내에 존재하는 당분을 활용해 에너지를 만들 수 있다면 나노로봇을 ... ...
토네이도 대해부
과학동아
l
200706
여기에 포함된다 천구상에서 태양 · 달 · 행성 · 항성 등 천체의 겉보기 위치나 운동 ·
크기
· 표면에 나타나는 모양을 조사하여 전체의
크기
, 그 곳까지의 거리 및 공간의 운동 등을 연구한다 도형을 세분하여 구분된 면적이나 체적을 구하고, 다시 이들의 합을 구한 다음 한없이 세분했을 때의 ... ...
PART1 퍼즐처럼 연결된 초분자
과학동아
l
200706
자기조립의 원리에 한 발짝 다가섰다. 분자조각을 잘 설계하면 자발적으로 모여 다양한
크기
와 모양을 지닌 나노캡슐을 형성한다는 사실을 알아냈고, 이 나노캡슐을 다양한 목적에 활용할 수 있다는 점도 밝혔다.하지만 아직 자기조립으로 이뤄진 나노 구조체가 몇 개나 되는지, 나노 입자들을 ... ...
동양식 피타고라스 정리
과학동아
l
200706
거리는 틀린 값이다. 하지만 고대인들은 구와 고가 만드는 직각삼각형을 갖고 우주의
크기
도 알아낼 수 있다고 믿을 정도로 구고의 원리를 우주의 비밀을 푸는 열쇠라고 생각했다.자와 컴퍼스를 든 신 중국 한나라 때 돌에 새긴 여러 그림 속에는 복희(伏羲)와 여와(女)로 알려진 두 신이 공통적으로 ... ...
무기자 메디컬 취재노트 엿보기
과학동아
l
200706
현실이다. 하지만 자궁과 관련된 질환의 대부분이 차일피일 미루다 병을 키울 위험이
크기
때문에 그만큼 조기검진이 중요하다. 특히 자궁근종은 여러 개가 동시에 생길 확률이 높고 젊을수록 진행되는 속도가 빠르다. 아랫배가 뻐근하거나 생리기간이 아닌데도 출혈이 있다면 일단 용기를 내 ... ...
원자세계 직소퍼즐 주기율표
과학동아
l
200706
사실이 알려졌다. 2년 뒤인 1864년 영국의 화학자인 존 뉴랜즈는 35개의 원소를 원자량의
크기
에 따라 나열하니 8번째 원소마다 비슷한 성질이 반복된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뉴랜즈는‘도레미파솔라시도’음계에서 영감을 얻어 이를‘옥타브의 법칙’이라고 불렀다.비활성기체가 발견되지 않았던 ... ...
까칠까칠 황사 탐험
어린이과학동아
l
200706
일으키는 먼지 알갱이들은 지름이 1~10㎛(1㎛=10-6m)로, 머리카락 굵기의 10분의 1정도
크기
예요. 보통 20㎛보다 큰 입자는 바람을 타고 조금 올라가다 다시 아래로 떨어지지만, 이보다 작은 알갱이는 쉽게 떠올라 바람을 타게 되지요. 이렇게 중국 대륙에서 떠오른 먼지 알갱이들은 편서풍을 타고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