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성과
결말
소산
효과
결실
결론
영향
d라이브러리
"
결과
"(으)로 총 16,304건 검색되었습니다.
[한장의 과학] 껌으로 복원한 5700년 전 소녀?!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교수팀이 덴마크 롤란섬에서 발견한 자작나무 껌의 잇자국에서 DNA를 추출해 분석한
결과
로 그린 그림이지요. 교수팀은 발견한 지역의 이름을 따이 소녀에게 ‘로라’라는 이름을 붙여줬어요. 하지만 교수팀은 이 소녀가 덴마크가 있는 스칸디나비아반도 사람이 아니라 유럽 본토에서 사냥하던 ... ...
[만화뉴스] 뼈가 부러졌다고? 반창고 붙이세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붙여두면 그 부위에만 아데노신이 활성화되지요. 시니 바르게스 교수는 “쥐에게 실험한
결과
반창 고 속 아데노신이 다른 기관에 작용하지 않는다는 걸 확인했다”고 말했어요 ... ...
영구동토, 온실 기체를 뿜뿜!
어린이과학동아
l
2020년 02호
방출되는지 측정했어요. 그리고 천천히 녹고 있는 영구동토 지역 5곳과 비교했지요. 그
결과
열카르스트가 만들어진 곳에서 1.25~1.9배 더 많은 탄소가 배출되고 있는 것을 확인했답니다. 한편 2018년 7월,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정수종 교수팀은 영구동토가 녹으며 탄소를 품고 있는 시간이 ... ...
[한페이지 뉴스] ‘별의 요람’ 위치는 우리은하 나선팔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것이라는 가설이 지배적이었다”며 “이런 이론은 수정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
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1월 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 10.1038/s41586-019-1874 ... ...
마블링이 전부가 아닌, 소고기 맛의 비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8을 벗어나면 아미노산이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전하를 띠며 서로 응집하게 되고, 그
결과
수분이 들어갈 수 있는 공간이 적어지거나 많아져 수분 함유량이 정상치를 벗어나게 된다”고 설명했다. 설 농업연구사는 “일반적으로 소비자들은 조직감이 곧 연도(부드러운 정도)라고 생각하는데, ... ...
태양으로 살다...과학동아 에너지 원정대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오후에는 가로축에서 태양전지판의 발전효율이 가장 커지는 것으로 시뮬레이션
결과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정 전임연구원은 이를 확인하기 위해 제로카본그린홈 옥상에 태양전지판 2개를 ㄴ자로 설치해 매일 에너지 생산 효율을 체크하고 있다. 최근에는 아예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앱)을 ... ...
암흑물질의 비밀 밝힐 액시온의 기적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여겨진 액시온의 흔적을 물질에서도 발견했다는 점에서 큰 관심을 끌었다. 이번 연구
결과
는 윌첵 교수가 언급했듯이 액시온을 가지고 있는 물질이 존재한다면, 우리가 사는 공간이라는 물질에도 액시온이 존재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추후에는 연구팀이 위상절연체로 활용한 바일 반금속 같은 ... ...
토크콘서트 세상을 바꾸는 여성엔지니어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그는 “잘못을 인정하고 재도전의 기회를 얻어 결국은 프로젝트를 성공시켰다”며 “그
결과
한층 더 성장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환경은 바뀌고 있다. 벽을 깨라”“입사 당시엔 여자인데 야근을 할 수 있겠냐는 질문을 받았습니다. 제가 일을 못하면 이후 여자는 뽑지 않겠다는 협박 아닌 ... ...
나는 과학동아 키즈
과학동아
l
2020년 02호
수많은 자료를 검토하고 실생활에서 소비자들이 어떤 불편함을 느끼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
찾아낸 분야가 바로 가상현실(VR)이었다. 당시엔 스마트폰으로 가상현실을 구현할 경우 사용자의 손 위치를 반영할 방법이 없었다. 이런 문제는 사용자의 경험을 해치는 가장 큰 요인으로 작용했다. 우리는 ... ...
[수학뉴스]거미의 사냥 실력, 비결은 수학!
수학동아
l
2020년 02호
큰 막으로 생각했습니다. 이를 토대로 새로운 수학 모형을 개발했습니다. 시뮬레이션
결과
먹이가 만드는 진동이 거미줄을 따라 옆으로 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거미가 거미줄 위 어디에 있든지 이 진동 패턴을 이용해 8개의 다리로 먹이의 위치를 알아내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