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동등
동일
매한가지
피차일반
매일반
피장파장
d라이브러리
"
마찬가지
"(으)로 총 4,619건 검색되었습니다.
3 단백질 네트워크의 총괄 책임자 허브 분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생긴 모형 미끼 속에 숨겨진 낚시 바늘을 이용해 물 속의 물고기를 낚아 올린다. 이와
마찬가지
로 특정 구조를 갖는 단백질(낚시 바늘)을 세포 속에 던져 낚시 바늘과 결합하는 단백질만 골라내는 원리다.하지만 이 방법에는 단점이 있다. 단백질 결합은 공간적으로 서로 들어맞는 특이적 결합에 의해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동일할지 모르지만 생물학적으로는 절대로 동일할 수 없다. 복제인간의 경우도
마찬가지
다.유전자 복제보다 우리가 더 심각하게 고민해야 할 것은 유전자 조작의 문제이다. 복제인간은 한둘 만들어보다 시들하게 느낄 가능성이 크다. 한번도 우승을 해보지 못한 미국프로농구 구단주가 마이클 ... ...
과학 속의 십이지 띠 동물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바라는 대로 유도하는 데 성공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양과 인류의 오랜 인연은 양과
마찬가지
로 소목(目) 소과(科)에 속하는 염소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2001년 8월 프랑스 조셉 푸리에대의 연구팀은 모계를 통해서만 전달되는 미토콘드리아 DNA를 분석했다. 그 결과 선사시대에 지금의 이라크와 ... ...
한국형 인간게놈프로젝트의 오케스트라 지휘자 - 유향숙
과학동아
l
2003년 01호
생물 같은 과학 분야에 있다면 과학적 호기심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유 박사의 경우도
마찬가지
였다고 한다. 과학을 시작했던 이유가 단지 국가에 대한 의무감 때문만은 아니었던 셈이다. 특히 생물 분야에 대해서는 단순한 관심을 넘어서 과학적인 호기심이 왕성했다. 그녀에게 생물학은 알고 ... ...
상식에 어긋나는 흑맥주 기포의 추락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그 튜브에는 액체가 지나다닌다. 이곳에 기포가 생기면 액체의 흐름을 막을 수 있다.
마찬가지
로 중앙열공급 시스템에서 기포가 액체가 이동하는 관을 막는다면 어떻게 될까.기포의 횡포는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우주실험에서 가장 큰 골칫덩어리이기도 하다. 항공우주연구원의 최기혁 박사는 ... ...
겸손한 과학이 만든 인간과 자연 공동체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아니라, 인간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필요한 환경의 질로서 평가한다.과학기술 또한
마찬가지
다. 과학기술의 발전이 인간의 삶을 얼마나 풍요롭게 하는가 하는 문제는 결국 인간과 자연이 더불어 사는 삶에 과학기술이 얼마나 기여했는가로 평가돼야 할 것이다. 그런 점에서 ‘꾸리찌바’는 ... ...
1. 지능 높은 로봇비행기가 몰려온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헬리콥터가 이와 유사한 사례다. 여러 기종이 개발돼 있으나, 일본의 농업용 헬리콥터와
마찬가지
로 낮은 고도를 유지한 채 원격조종사의 가시권 내에서 비행한다. 이런 이유 때문에 이들은 엄밀한 의미에서 무인기(UAV)는 아니다. 비행선이냐, 큰 날개 형태냐무인기가 민수용으로 크게 경제성을 ... ...
2. 복잡한 생명현상 파헤친다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비슷하다. 우리가 모르는 것을 찾을 때 검색어와 관련된 정보들이 이해에 도움을 준다.
마찬가지
로 유사한 염기서열은 비슷한 기능을 가질 수 있기 때문에, 기능을 이해하는 단서를 제공해 시간을 단축시킨다. 현재 상동성 검색 프로그램으로는 BLAST, FASTA, SW(Smith-Waterman)-search가 개발돼 있다. BLAST는 ... ...
벽 뚫고 지나가는 공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보였다가 안 보였다 한다. 노트북 화면도 편광인 것이다. 전자시계, 계산기, 액정화면도
마찬가지
다. 또 책상 위에 전등을 켜고 책상면에서 반사된 빛을 한장의 편광판으로 돌리면서 보면 이때도 빛의 세기가 밝았다 어두웠다 한다. 즉 반사된 빛도 이미 편광이란 점을 알 수 있다 ... ...
한치의 오차 없는 우편 배달 시스템
과학동아
l
2002년 12호
모두 방문하는 가장 짧은 길을 찾는 문제다. 얼른 생각하기에는 쉬워 보이지만 K씨와
마찬가지
로 들러야 할 도시의 수가 10개만 되도 10!(3백62만8천8백)의 경우의 수를 모두 계산해야 하는 매우 복잡한 문제다. 이 때문에 수학의 대표적 난제로 꼽히고 있다. 1천5백 도시를 여행하는 모든 경우의 수를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