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눈으로 세상을 제패한 빛의 지배자 - 삼엽충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더 민감하게 반응한 생
물
들이 자연선택 돼 캄브리아기 폭발을 일으켰다면 어땠을까. 생
물
체와 생태계는 지금과 전혀 다른 방향으로 진화하지 않았을까. 말이 없는 삼엽충 화석을 들여다 보며 다시 한번 상상의 나래를 펼쳐본다 ... ...
Part ➌ 한국의 수학 세계를 놀라게 하다!
수학동아
l
2014년 08호
비로소 수학이 정상적인 발전의 길에 들어서게 된다. 광복 이듬해인 1946년에는 ‘조선 수
물
학회’가 창립되었고, 1949년에는 우리나라의 수학자가 최초로 미국수학회에 논문을 발표하는 역사적인 일이 일어났다. 그 주인공은 수학자 ‘이임학’이다.당시 청년 수학자였던 이임학은 1940년대 남대문 ... ...
PART2 - 군집로봇 뇌 속엔 무엇이 들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위치를 정밀하게 인식할 수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자동차 내비게이션이 종종 건
물
이나 산을 뚫고(!) 가라고 오작동하는 걸 보면, 위 치를 인식한다는 게 얼마나 어려운 일인지 알 수 있다. 고층 빌딩 사이에서는 GPS신호조차 이용하기 어렵다. 그래서 필자는 제한된 정보만으로 스스로 군집을 이루 ... ...
벌집 아이스크림엔 진짜 벌집이 들어 있을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쉽게 부서진다. 숟가락이나 포크로 갈 수 있을 정도로 무르다. 단점은 우유의 어는점이
물
보다 낮다는 것. 이 때문에 우유 빙수를 만드는 기계는 영하 30℃까지 온도를 떨어뜨린다. 만약 우유가 없다면 콜로이드성 액체인 주스를 섞어도 된다.시중에 나와있는 제품 중에는 이 콜로이드 상태를 응용한 ... ...
장기 괴담, 모조리 씹어먹어 줄게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장기를 빼앗길지도 모른다는 걱정은 일단 한쪽 구석으로 밀어놓아도 될 것 같습니다.
물
론 장기 적출 때문은 아니더라도 여행할 때 모르는 사람이 주는 음료수는 안 마시는 게 좋겠지만요 ... ...
카시니호가 보여 주는 가장 아름다운 천체 토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1610년 망원경으로 처음 발견했지만 고리인지 위성인지 잘 몰랐어요. 1655년 네덜란드의
물
리학자 크리스찬 호이겐스가 토성을 둘러싸는 원반이라고 처음 밝혔지요.신기한 육각형 구름토성의 북극에는 육각형으로 회전하는 구름이 있어요. ‘육각형 구름’ 또는 ‘육각형 제트류’라 부르는데, ... ...
긴급! 변비 환자 둘 중 하나는 어린이거나 노인!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비료가 돼요. 제가 내뿜는 메탄가스를 이용해 전기를 만들거나, 코끼리 같은 초식동
물
의 똥에서 섬유질을 뽑아내 종이를 만들기도 하지요. 커피열매를 먹은 사향고양이의 똥에서 독특한 향을 내는 커피도 얻을 수 있답니다 ... ...
꿀꺽~ ‘나노주스’로 내시경하세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내부를 살피는 ‘광음향단층촬영(PAT)’을 이용해 소장 내부의 움직임을 관찰해보니 음식
물
이 소화되는 과정 등 지금까지 보지 못하던 모습을 선명하게 볼 수 있었다.연구팀은 “이제까지의 방법은 텅 빈 장기의 모습을 볼 수 있었을 뿐”이라며 “나노주스를 이용하면 소장의 실시간 이미지를 얻어 ... ...
큰빗이끼벌레, 너 정말 억울하니?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큰빗이끼벌레가 용존산소를 낮추고 점액성
물
질을 분비해 수서곤충과 수서동
물
을 죽인다고 밝히고 있다. 하지만 환경부와 수자원공사에서는 공식적으로 이를 부인하고 있다. 큰빗이끼벌레는 가을에 수온이 내려가면 씨앗처럼 흩어졌다가 15℃ 이상으로 높아지면 다시 출현한다. 내년 여름, 그리고 ... ...
다시 읽는 난중일기 거북선 정말 철갑선이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14년 08호
장군이랍니다. 어릴 때부터 호기심이 많았던 나대용은
물
위에서 재빠르게 헤엄치는
물
방개에 영감을 받아 빠르고 강한 천하무적 배를 만드는 꿈을 갖게 되죠. 10년 간의 연구 끝에 거북선 설계도를 만들었고 이 설계도에 관심을 가진 이순신 장군의 지휘 아래 1년 만에 거북선이 탄생하게 되었답니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