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분할
격리
이탈
분열
절단
구분
분립
d라이브러리
"
분리
"(으)로 총 2,783건 검색되었습니다.
다기능 웍스테이션 파워5800 개발
과학동아
l
1986년 10호
특징. POWER 5800은 OA시리즈로 작성한 데이타와 문서를 별도로 프로그래밍 없이 자유롭게
분리
결합할 수 있는 OA-MGR을 지원한다. 또한 온라인처리와 코볼정형처리 등 4가지를 동시 처리 가능한 멀티태스크(Multi Task) 듀얼잡(Dual Job) 기능을 보유하고 있다. 이밖에도 POWER5800은 다양한 통신프로토콜을 ... ...
수소 에너지 시대가 온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그러나 이러한 방법으로 수소를
분리
및 정화하는 경우 불순개스에 의한 재료자체의
분리
능력저하를 어떻게 방치하느냐에 그 실용성이 판가름나게 된다. 고순도수소는 특히 반도체 제조공정에서 필수불가결하게 다량으로 요구되고 있으나 현재 다른 방법으로 제조된 고가의 수소를 사용하고 ... ...
아인슈타인 이후의 상대론 천재의 예언은 들어 맞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기다리고 있다. 웨버는 초전도 양자 간섭계를 측정기로 썼으나 최근에는 3개의
분리
된 거울과 레이저 간섭계를 이용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보통 수십m 떨어진 상태에서 측정하나 이를 약 3백m 정도 늘이면 ${10}^{-21}$의 민감한 정도까지 측정이 가능하여 조만간에는 중력파의 검출이 실현되리라 ... ...
진화하는 색채감각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스탠퍼드' 대학의 '제레미 네이던즈' 박사팀은 인간의 색채감각 유전자의
분리
에 성공하여 지금까지 간접적으로 지적되어 온 색채감각의 구조를 생화학적으로 증명했다. 망막에는 6백만개의 감광세포가 있다. 정상인 사람은 각각의 세포에 빨강 파랑 초록의 어느 한가지 색을 느끼는 감광 색소가 ... ...
진화론의 새학설 유전자 진화론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것은 생성하고 있는 유기체를 일정한 수의 '부분'으로 나눈다. 이러한 뚜렷하게 서로
분리
되는 형성 부분들은 이번에는 두 번째의 유사 유전자의 지휘 아래 있게 된다. 그 부분 유전자(Segment-Gene)는 그구역 내에서 처음에는 상당히 같은 모양의 세포들을 계속적으로 분화시킨다. 둘로 나누어져 ... ...
기념관 건축 「졸속은 금물이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독립된 관계로서 해방되어지는 것이 가능했을 때 부터이다. 자립된 인간이 물질과
분리
되어 상호독립하는 대응관계는 근대와 더불어 시작되었다. 이는 바로 인간이 물질과의 신비적관계에서 해방되고 역으로 그것을 인식하는 인간이 사회적인 계획성을 가지고 조직화하는 결과를 낳게된다. 흔히 ... ...
휘발유가 증기로 되어 생기는 엔진의 일사병을 조심하자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공급되지 않으면 연료펌프에서 기화기로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파이프를 기화기쪽에서
분리
한 후, 점화스위치를 돌려 엔진을 크랭킹시켜 연료파이프에서 연료가 나오는가를 확인한 후 원래대로 장착한다. 그러나 기화기내 연료가 없을 경우는 증기밀폐현상이 유발된 경우이므로 응급처리를 해야 ... ...
대기권이 파괴되고 있다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개스분자는 태양의 에너지가 풍부한 자외선에 의해 파괴되어 단계적으로 염소원자가
분리
된다. 여기에서 생성된 염소원자는 후속반응으로 생긴 일산화염소기(ClO)와 함께 오존분해의 촉매 역할을 한다.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여 오존분해 사이클에서 떨어져 나가기 전에, 단 하나의 염소 원자가 ... ...
약물 복용 검사 어떻게 하나
과학동아
l
1986년 09호
실시한다. 기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되는 시료는 기체화되어 각 약물 성분별로
분리
되는데, 열에 약한 약물은 액체 상태에서 고속액체크로마토그래프로 분석된다. 약물복용이 확인된 시료는 질량분석기를 통하여 재확인·정량된다. 최종확인용으로 사용되는 질량분석기는 한대의 가격만도 ... ...
이공계 대학원 교육에 대해 말한다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생각한다. 또한 중요한 것으로 석사과정과 박사과정의
분리
운영을 들 수 있다. 이
분리
는 연구의 단절을 유발하고, 석사논문제출 박사입학시험 등 또다른 부담만 준다. 외국의 경우에 거의 대부분의 대학이 석·박사과정을 통합 운영하고 있다. 전술한 여러가지문제는 행정적 편의만을 위해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