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빛깔
색상
색채
색깔
컬러
칼라
색조
d라이브러리
"
색
"(으)로 총 2,754건 검색되었습니다.
울릉도와 독도
과학동아
l
1986년 08호
울릉도와 일본의 북해도에만 나는 아름다운 백합과의 화초식물이다. 붉은 노랑
색
의 꽃 6~7개가 줄기 끝에 붙어 숲속에서 눈에 잘 띈다.해조류의 번식지, 독도한편 울릉도에서 동남쪽으로 92㎞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 독도는 행정구역상으로도 울릉도의 도동에 속할 뿐 아니라 그 생성과정과 특징도 ... ...
시간과 공간을 뛰어넘는 잠과 꿈의 세계-그 현대적 풀이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당신의 바지 앞문이 열려있다'는 뜻이 된다고 해석하였다. 또 꾸러미로 묶여져있는 검은
색
의 채소는 아스파라거스와 검은 무우를 의미하는데 이것들은 남자의 성기를 상징한다고 보았다.이 것이 소위 프로이드가 말하는 '꿈의정신분석학' 이라는 것이다. 그냥 웃어넘겨야 할까 아니면 프로이드의 ... ...
뇌발달의 시각화 성공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아기의 뇌이다. 눈 위치의 단면에서 활동이 왕성한 부위가 붉은
색
, 저조한 부위가 푸른
색
으로 나타나 있다. 왼쪽 끝 생후 5일의 갓난아기의사진에서 붉은 두개의 반점은 시상(視床)이다. 이것은 단순한 운동을 조절하거나 촉각 등의 감각을 지배하는 부위로서 활발히 활동한다. 아래쪽에 있는 시각 ... ...
한반도의 위성사진은 어떻게 만들어지나
과학동아
l
1986년 07호
리모트 센싱(원격탐사)의 원리와 실제리모트 센싱이란?앞서 살펴본 한반도의 위성사진은 어떤 원리와 과정을 거쳐서 얻어졌을까? 이를 한마디로 말한다면 리모트 ... 5를 적, 밴드 7 을 청으로 하면 반대로 산림이 붉은
색
, 도시지역이 푸른
색
갈로 나타나는 위
색
(僞色, false color)사진이 된다 ... ...
종양수술의 새로운 가능성
과학동아
l
1986년 06호
그는 임상에서 폐의 종양덩어리를 X선으로 투시할 때 종종 그 둘레에서 달무리같은 밝은
색
의 줄무늬가 빛나는 것을 보고 호기심을 느꼈다. 그러나 이 달무리 현상은 어느 종양에서나 나타나는 것도 아니고 같은 종양에서도 한번은 나타났다가 다음번 X선에서는 사라지곤 했다. 그는 이 수수께끼같은 ... ...
화산 지진 태풍의 섬나라-필리핀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푸른
색
가까운 점 정도로 나타나 있다.또 마닐라시의 오른쪽에는 타르호가 어두운
색
으로 나타나 있고 그 한가운데에는 작은 섬이 보인다. 이것이 함몰된 활화산의 크레이터이다.환태평양화산대의 바로 서쪽에 있어 화산활동이 활발하다는 것을 잘 보여준다. 또 하나의 휴화산 마크이링산은 ... ...
21세기는 레이저로 밝힌다
과학동아
l
1986년 04호
간섭을 일으킬 수 있는데 반해 태양광선이나 다른 빛은 주파수나 위상이 가지각
색
이기 때문에 좀처럼 간섭을 일으키지 못한다.에너지를 극도로 집중시킬 수 있다는 것은 레이저의 중요한 특성이다. 햇빛을 렌즈로 모아도 겨우 종이나 나무를 그슬릴수 있는데 비해 레이저광은 에너지 밀도가 높기 ... ...
동토(凍土)의 생명력 시베리아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장식하는 네온사인과 같은 광채가 생긴다. 이것이 오로라이며 청 적 황 록 등 각가지
색
으로 물들인 장막이 수십∼수백 ㎞로 펼쳐진다. 시베리아의 독특한 자연에서 빼어놓을 수 없는 또 한가지는 바이칼호이다. 바이칼호는 지구상에서 가장 오래된 3만㎢의 호수다. 함수량은 지구상에서 두번째 큰 ... ...
컴퓨터의 활용─CAD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녹
색
, 청
색
의 빛의 삼원
색
을 조합하여 1천6백만가지의
색
을 만들 수 있고 또 순간순간 채
색
을 달리할 수 있으므로 수 없이 많은 대안들을 비교할 수 있으며 광원을 조정하는 기능을 이용하면 야경까지도 나타낼 수 있다. 건축설계를 행하는 과정에는 조그마한 모형들을 만들어 봄으로써 그 느낌을 ... ...
외계인은 존재할까
과학동아
l
1986년 03호
周波數帯幅)이 얼마나 넓고, 신호의 형태, 그리고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은 어느 별을 탐
색
하느냐 하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들을 정확히 추측하기란 쉬운 일은 아니지만 그렇다고 아주 불가능한 것도 아니다. 전파천문학에서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은 여러가지 전파잡음을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