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정
선발
채택
발탁
취사
발췌
채용
d라이브러리
"
선택
"(으)로 총 4,50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하철은 훌륭한 이동 연구실'-임지순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어려움도 많았답니다. 중요한 것은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고 생각해요. 뭔가 한 가지를
선택
하면 무엇인가 될 때까지 파고들어야 뭐가 나오지 않겠어요? 당장 결과가 안 나온다고 해서 다른 것으로 돌린다면 이룰 수 있는 것은 아무것도 없답니다.”물리학에 뛰어들어 한 길을 걸어온 지 30년이 ... ...
중국최고의만두 요리사 만둥찐땅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3호
행운이 따를지 알아보자해. 여기에 사다리형 퍼즐이 있다해. 다음 중 한 개의 문을
선택
해서 길을 따라가 보라해. 만약 제자임명장 있는 곳으로 도착하면 당신을 내 제자로 삼겠다해! 하지만 기회는 단 한 번뿐이라해~!”만두찐당의 마지막 문제는 사다리형 퍼즐이었다. 다음에 있는 여섯 개의 문들 ... ...
밤하늘에 새긴 화려한 색깔, 불꽃
어린이과학동아
l
2004년 21호
할 때는 어떤 색깔의 불꽃을 만들 것인지 미리 생각해서 그 색깔에 맞는 재료를
선택
한답니다.그런데 불꽃놀이를 할 때 보면 한 가지 색깔이 아니라 색깔이 여러 가지로 바뀌는 불꽃이 있어요. 이것은 다른 성분의 원소가 들어 있는 물질을 몇 개의 층으로 만들어 각각의 원소들이 순서대로 ... ...
2. 심장 왼쪽에 치우친 이유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다. 외부 구조의 대칭, 비대칭은 서식하는 환경에 따른
선택
사항이다.우리가 횟감으로 즐겨 찾는 광어, 즉 넙치가 대표적인 예다. 넙치의 입을 보면 세로로 길쭉한 보통의 물고기가 90° 옆으로 누워있는 형상인데 두 눈은 한쪽에 쏠려 있다. 보통 물고기는 등쪽이 짙은 색이고 ... ...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수가 있다악성종양의 방사선 요법에 사용되는 약제로서 종양의 방사선 감수성을
선택
적으로 증강시켜 방사선 치료효과를 높이는 약물 제품으로는 브록크스울리신의 주사제가 있다이 약은 DNA의 구성성분인 티미딘(thymidine)과 화학구조가 유사하기 때문에 세포증식 과정에서 DNA 안에 티미딘 대신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방향을 택했더라면 오늘날 시계반대방향이 시계방향으로 불릴 것이다. 이처럼 반반의
선택
확률에서 한쪽을 택할 경우 모두 그쪽으로 쏠려 원칙처럼 자리잡는 현상을 ‘냅킨 딜레마’라고 부른다.원형 식탁에 둘러앉은 사람들 앞에는 포크와 나이프가 나란히 놓여있다. 그런데 집주인은 무심코 ... ...
패스트푸드, 비만의 주범?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영양학자들이 동의하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영양표시를 통해 소비자에게 음식을
선택
할 수 있는 권리를 줘야 한다는 것.패스트푸드를 선호하다 보면 ‘지방짱’이 되는 것은 시간문제다. 스펄록 감독과 윤광용 간사가 몸소 보여준 것처럼 말이다. 이들의 시도는 영양학적으로는 편식이며,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수많은 단백질 중 죽음의 키스를 받는 단백질을 누가 어떻게
선택
하는가? E3 효소가
선택
권을 갖는다고 알려져 있으나 극히 일부분만 밝혀진 상태다. 또 죽음의 키스를 받은 단백질을 누가 어떻게 프로테아좀으로 운반하는가? 분해돼야 할 단백질이 죽기 싫다고 버티면 어떻게 될까? 이 경우 세포 ... ...
숨 못 쉬는 조산아 살릴 수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성공했다. 10년 후 사람에게 적용 가능그런데 연구팀은 많은 실험동물 중 왜 하필 염소를
선택
했을까. 염소는 보통 임신한지 1백50일이면 새끼를 낳는데, 실험에는 임신한지 1백20-1백30일 된 염소를 사용했다. 이 시기의 염소 태자가 사람 조산아와 크기가 비슷하기 때문이다. 또 정상 출산한 염소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갖고 있지만 그만큼 이해하기가 어렵다. 그럼에도 최근 과학자들은 적절한 아미노산을
선택
해 흥미로운 구조를 만들고 있다.미국 메사추세츠공대(MIT) 슈광 쟝 교수의 분자자기조립연구팀은 세포막을 이루는 인지질 분자를 모방한 펩티드를 만들어 펩티드 나노튜브를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2002년 4월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