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예"(으)로 총 9,61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가장 번성한 동물 사회의 비결은?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8호
- 기록해요. 그러다가 다음에 내가 받은 만큼 또는 당한 만큼 그대로 되돌려 주는 거예요.한편 호혜 이타주의에 어긋나는 행동을 하는 개체는 처벌을 받을 수 있어요. 인간을 비롯한 많은 동물들이 복수의 형태로 처벌을 하고 있지요. 복수는 보통 억제의 효과가 있어요. 내게 해를 끼친 당사자에게 ... ...
- 곤충으로 삼시세끼? 미래식량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세균이면서도 풍부한 단백질과 다양한 비타민, 미네랄까지 골고루 포함하고 있다는 거예요. 덕분에 ‘슈퍼푸드’라는 별명까지 얻었지요. 그래서 유엔 국제식량기구(FAO)에서 약 40년 전인 1974년에 스피루리나를 미래 식량으로 지정했답니다.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건강식품으로 스피루리나 가루나 ... ...
- 국립수목원과 함께한 여름 숲캠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활동은 활발히 진행돼요. 9월에는 꿀벌, 10월에는 귀화식물 현장교육이 차례차례 이어질 예정이에요. 앞으로도 지사탐 대원들의 활동을 많이 기대해 주세요~ ... ...
- 인공광합성에서 초강력 레이저까지! 빛의 무한도전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7호
- 입자가속기를 작게 만들 수 있어요. 입자가속기는 전자나 양성자를 빠르게 가속하는 장치예요. 물질의 근본을 탐구하기 위해 꼭 필요하지요.그런데 지금은 입자를 가속하기 위해서 아주 긴 터널과 같은 시설이 필요해요. 실제로 유럽에 있는 가속기는 길이가 약 27km나 돼요. 하지만 펨토초 단위의 ... ...
- 이런 변이 있나! 똥의 화려한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위해 똥통에 올라섰다가 실수로 빠졌거든요. 그런데 똥에서 별로 냄새가 안 나는 거예요. 정화조가 제대로 작동해 똥이 잘 분해 되고 있다는 의미지요. 제가 개발한 정화조가 잘 작동하고 있다고 생각하니 참 기뻤답니다.Q 가족들이 싫어하진 않았나요?생각보다 집에서 싫어하지 않았어요. 고마운 ... ...
- 서민 교수님이 들려주는 기생충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당연히 기생충을 연구할 사람도 많이 필요하겠죠? 그런데 요즘 초등학생들은 대부분 연예인, 공무원을 꿈꾸더라고요. 또 지나치게 기생충을 두려워해서 기생충 연구를 하려고 하지 않죠. 하지만 계속 말했듯, 기생충은 활용가치가 높은 생물이에요. 앞으로 어린이들이 착한 기생충들에게 관심을 ... ...
- 나방과 박쥐의 끝없는 생존경쟁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6호
- 스텔스 박쥐의 초음파 소나를 들었을 때는 이미 박쥐가 나방 가까이에 접근해 있는 상태예요. 그럼 나방은 방어법을 사용해 보지도 못하고 박쥐에게 잡아먹히고 말지요.나방과 박쥐의 경쟁은 지금 이 순간에도 계속되고 있어요. 아직 우리가 모르는 박쥐의 공격법과 나방의 방어법이 있을 수 도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경유에 비해 1.5~2배 비싸지만, 플랑크톤을 이용한다면 곧 일반 경유와 가격과 비슷해질 거예요.# 어때? 알고 보니 플랑크톤은 인간의 삶까지 좌우하고 있는 대단한 생물이지? 내 5년의 항해 덕분에 플랑크톤에 대해 알릴 수 있게 되서 정말 기뻐. ‘타라’의 여행은 끝났지만, 또 다른 탐험선이 계속 ... ...
- 풍선으로 띄우고, 우주로 보내고~ 새로운 인터넷이 온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5호
- 때를 1, 꺼졌을 때를 0으로 정하고 정보에 맞춰 깜빡이는 횟수나 강약을 조절하는 거예요. 컴퓨터에서 사용하는 정보가 1과 0, 두 가지 숫자로만 이루어졌다는 사실을 이용한 거죠.ETRI의 강태규 LED연구실장은 “LED 전구가 정보를 담은 작은 컴퓨터 역할을 하는 셈”이라며, “LED 전구끼리 빛을 ... ...
- 세계 최고의 재난대응로봇 휴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14호
- 뽕뽕 뚫린 구멍이 보이죠? 모터가 과열되는 걸 막기 위해 고효율 공기 냉각장치를 단 거예요. 하지만 이런 로봇은 구멍 사이로 물이 들어가기 때문에 비가 오는 날에는 밖에서 쓸 수 없겠지요.또한 휴보가 안정적으로 잘 걷긴 하지만, 사람하고는 차이가 커요. 사람이라면 1m 남짓한 콘크리트 더미는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