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2. 세계 최초의 로켓과 세계 최강 군함과학동아 l2018년 09호
- 화살에 길이 14.7cm, 지름 2.2cm의 약통이 달려있고 폭탄은 달려있지 않다. 사정거리는 150m 정도다. 소신기전과 중신기전은 문종 때 화차가 개발되면서 한 번에 100발씩 발사할 수 있도록 개량됐다.소신기전을 제외한 중신기전, 대신기전, 산화신기전은 당시로서는 폭탄인 발화통을 멀리 날려 폭발시킬 수 ... ...
- [Culture] 과학으로 들여다본 서른이지만 열일곱입니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여주인공 우서리는 촉망받던 천재 바이올리니스트로 17세의 나이에 독일 음대에 합격할 정도로 뛰어난 기량을 자랑했다. 하지만 오랫동안 방치돼 망가져 버린 자신의 바이올린처럼, 13년이 지난 현재 그는 간단한 시범 연주 하나 제대로 못하는 상태가 돼버렸다. 이렇게 오랜 기간 혼수상태에 있는 ... ...
- 바다 위 8층 빌딩 이사부호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이사부호의 내부 구조와 연구 성과를 설명해 줄 때는 ‘배 안에 있다’는 사실을 잊을 정도였다.이사부호에서는 층을 ‘1층’ ‘2층’ 등으로 부르지 않고 ‘데크’라고 표현한다. 이사부호는 메인 데크(Main deck) 위로 A부터 E까지 5개의 데크가 더 있고, 아래로는 2개의 데크가 있다. 쉽게 말해 지상 ... ...
- [Origin] 일본이 다시 한반도의 품으로? 동해 지각판이 심상치 않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깊은 곳에서 대규모의 역단층 구조들을 발견했다. 탄성파 반사 기술(음파가 되돌아오는 정도로 지각 내부 구조를 알아내는 기술)로 동해 남동부 지각을 조사한 결과, 한반도와 동해의 지각 경계를 따라 100km가 넘는 대규모 역단층이 현재도 운동 중이라는 사실을 알아냈다. 또한 동해 울릉분지 ... ...
- [Issue] 중국을 창업 대국으로 이끈 다섯 '엔젤'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시작했을 때 한국 기업이 100억 원의 가치로 평가받는다면 중국 기업은 1000억 원 정도로 평가된다는 뜻이다.이런 가치 평가의 기반은 시장 규모의 차이에서 발생한다. 중국 기업들은 내수를 목표로 상품을 개발하면 되지만 시장 규모가 작은 한국은 초기부터 세계 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을 만들지 ... ...
- [Career] 찌르면 ‘아야!’ 통증 내뱉는 전자피부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인공지능이 활용됐다. 사람이 천, 가죽, 유리, 돌 등을 직접 만지며 부드럽고 거친 정도를 수치화해 데이터를 얻은 뒤 이를 전자피부에 학습시켰다. 이후 전자피부에 물체가 닿으면 이 데이터와 비교해 부드러운지 거친지 판단한다. 장 교수는 “전자피부에 더 많은 데이터를 학습시킨 뒤 이를 ... ...
- 중앙대 과학논술 대비 전략의 핵심과학동아 l2018년 09호
- 기출문제 하나로 최소 3회 연습논술은 사고력을 평가하는 시험이다. 수능도 어느 정도 사고력을 평가하지만, 사고력을 명확하게 드러내는 방법에 있어서는 논술에 비할 수 없다. 논술은 결론을 얻는 과정을 표현한다. 과정을 표현하는 데서 사고력을 읽을 수 있다. 따라서 자신이 사고한 바를 ... ...
- [엔씨소프트와 함께하는 수학동아 게임카페] 슈퍼마리오를 내 손으로수학동아 l2018년 09호
- 만들 수 없을까, 재미있는 비밀을 숨겨둘 수는 없을까 고민하느라 1분 1초가 아까워 보일 정도였죠. 이번에 만든 게임은 선생님이 가르쳐주신 것만 완성하면 끝이 아니라 얼마든지 자기가 생각해서 더 추가하고 자유롭게 바꿀 수 있었거든요. 플랫폼 게임에 도전!일일 게임 프로그래머들의 눈을 ... ...
- [Culture] 신과 함께? CG와 함께! 지옥과 현실을 잇는 컴퓨터그래픽과학동아 l2018년 09호
- 만 가닥에 이르는 털의 움직임을 사실적으로 표현했다”며 “이런 동물 CG 작업은 3개월 정도 걸린다”고 말했다. 나무하나로산표현,스캐터링툴‘신과함께’ 1편의 백미는 지옥이다. 7가지 죄악에 따라 불, 물, 모래, 바위, 거울, 칼, 얼음 등으로 표현된 지옥은 관객들의 눈을 사로잡았다. ... ...
- [Future] 운전자여, 잠에서 깨어나라과학동아 l2018년 09호
- 졸릴 때 나타나는 현상이 다르기 때문이다. 졸린 상태를 눈 깜빡임 횟수, 눈의 열림 정도, 심장박동수 등 하나의 기준으로 정해 놓으면 데이터가 아무리 정확해도 운전자가 바뀌면 잘못된 결과를 내놓을 수 있다. 그렇다고 운전자마다 모든 데이터를 입력해놓기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여기에 ... ...
이전27127227327427527627727827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