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콘트롤
컨트롤
조정
관리
제어
규제
d라이브러리
"
조절
"(으)로 총 3,603건 검색되었습니다.
성모 마리아가 토끼를 발로 밟는 이유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단 8주만에 전체 토끼의 80-90%가 죽었다고 한다. 그러나 이 바이러스로 토끼의 숫자
조절
에 성공할 수 있을지는 아직 모른다. 점액종에 면역된 것처럼 저항성을 지니게 될지도 모르기 때문이다.이렇듯 맹렬한 토끼의 번식력 때문에 서양에서는 토끼가 사랑스럽고 신성한 존재가 아니라 매우 천하고 ... ...
꿈을 표현하는 디스플레이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자리에 액정화면을 집어넣었다고 생각하면 된다. 액정화면은 입사된 빛의 투과량을
조절
해 영상정보를 나타내므로 움직이는 필름이다. 광원에서 나온 빛은 색분리계에서 적색, 청색, 녹색으로 분리돼 각각의 액정에 입사된다. 액정에서는 입사광을 제어해 영상을 만들고, 이 빛은 다시 색합성계를 ... ...
우리들의 겨울나기
과학동아
l
1999년 01호
바닥에서 결정이 생겨 버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때는 랩 같은 것을 덮어서 증발의 속도를
조절
하면 된다.② 정전기로 형광등 켜기추운 겨울이면 어김없이 '찌릿' 하며 찾아오는 정전기. 이 정전기를 붙잡아 놓을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 또 정전기로 형광등을 켜보는 것이 어떨까.■왜 그럴까?서로 ... ...
③ 잠을 흉내내는 기술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이제 겨우 1시간을 넘긴 인공동면 기술. 자유자재로 대사를
조절
할 수 있는 날은 먼 미래일 것이다.인체냉동 - 자면서 우주여행?영화 '데몰리션 맨'은 1990년대 냉동인간으로 보존된 한 경찰(실베스타 스탤론)이 2032년에 생환해 활약하는 모습을 그리고 있다. 또 '로스트 인 ... ...
① 잠은 꼭 자야 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잠에서 깨어나게 만드는 신경회로들이 있어서 수면과 각성 상태는 뇌에 의해 잘
조절
된다. 쉽게 말하면, 뇌는 스스로 잠에 빠졌다가 또 스스로 잠에서 깨어나는 주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이를 이용하면 미래에는 심각한 불면증 환자의 뇌에 미세한 전극을 심어놓고 리모컨으로 전기자극을 주어 ... ...
삶의 지혜 듬뿍 담긴 주방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함으로써 내부압력을 증가시킨다. 그렇다고 무한정 압력이 증가되는 것 은 아니다. 압력
조절
장치를 달아 일정 압력 이상이 되면 압력밥솥 내부의 기체가 빠져나오 도록 해 일정한 압력을 유지한다. 보통의 압력솥은 2기압 정도의 압력을 유지해 물의 끓는 점을 약 1백20℃까지 올린다. 이런 경우 높은 ... ...
④ 동물들의 잠버릇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포유류나 조류가 곤충과 다른 점 이다. 곤충들은 앞서도 본 바와 같이 자신의 체온을
조절
할 수 없어서 체온이 내려가면 불활동 상 태에 들어갔다가 외부 세계의 온도가 올라가야 다시 활동상태로 돌아올 수 있다.한편 겨울잠을 자지는 않지만 에너지를 보존하는 잠의 기능을 십분 활용하는 동물이 ... ...
유전자 조작 식품 먹어도 되나
과학동아
l
1998년 12호
발생한 것이 아니라 사회경제적 모순에 의한 것이다. 식 량 문제는 식생활 개선, 인구의
조절
등으로 해결될 수 있다. 생명공학의 국제적 경쟁논리에 빠져 들지 말아야 한다."결국 배심원들은 피고 '유전자 조작 식품'에 대해 유죄인지 무죄인지 판결을 내리지 못했다. 그렇 다고 유전자 조작 식품이 ... ...
유전자 추적해 '부모중 누구 닮았나'규명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2명이 연구에 임하고 있다. 실험 대상은 생쥐. 유전자의 구조와 유전 현상에서의
조절
양상이 사람과 매우 비슷하기 때문에 사람을 포함한 고등 유전현상 연구의 주요한 모델로 애용되는 동물이다.연구원들은 현재까지 밝혀지지 않은 새로운 각인 유전자를 찾는데 매진하고 있다. 사람의 경우 각인된 ... ...
3. 생명현상
조절
하는 생체전지
과학동아
l
1998년 11호
이용해 신경세포의 회로망 구성을
조절
함으로써 우리의 몸속에서 일어나는 정보 전달을
조절
할 수 있는 시대가 올 수도 있다. 갈바니의 ‘동물전기’세포내 전위차를 발견한 것은 아니지만 살아있는 세포 조직이 전기에 대해 반응을 일으키는 현상을 이탈리아 볼로냐 대학의 해부학 교수였던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