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chemistry
화학기계
기계
화학물리학
물리학
자연 과학
d라이브러리
"
화학
"(으)로 총 5,446건 검색되었습니다.
유럽의 콜럼버스, 우주로 간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계속 낼 수 있는 시간을 초로 나타낸 것이다 비추력이 높을수록 추진력이 좋다 현재의
화학
로켓엔진으로는 5백초 이상을 내기 어렵다프톨레마이오스의 천문학적 업적은 천문학의 가장 중요한 보조과학인 수학과, 측량학의 도움으로 가능했다 천구의는 두개의 원륜을 서로 직각으로 고정한 것으로 ... ...
주방이 '실험실'인 분자요리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에르베 티스가 ‘분자요리’(Molecular Gastronomy)라는 용어를 제안하자 니콜라스 쿠르티는
화학
냄새만 난다며 ‘분자물리요리’라고 부르자고 했다. 티스는 거기에 따랐지만 1998년 쿠르티가 사망하자 다시 ‘분자요리’로 바꿨고 사람들은 간명한 이 용어를 더 선호했다.분자요리의 창시자 에르베 ... ...
'반 고흐전'의 한국행 비밀을 벗겨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원본을 질소를 충전한 상자에 넣어 지하 깊은 곳에 안전히 보관 중이다. 다른 원소와
화학
반응을 거의 일으키지 않는 헬륨, 아르곤 같은 비활성기체를 사용할 수도 있지만 가격이 질소보다 비싸 경제성이 떨어진다.전시회를 위해 한국의 기후조건도 미리 공부했다. 서울은 겨울철 평균기온이 1~2℃, ... ...
tRNA 결정에서 풀어낸 입체 구조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때문입니다.” 21세기 들어 리보솜 구조 밝혀져tRNA 구조를 밝힌 뒤 버클리 캘리포니아대
화학
과로 자리를 옮긴 김 교수는 관심을 RNA에서 단백질로 옮겨 1988년 암을 일으키는데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단백질의 하나인 라스(Ras)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밝혀 또 한 번 세상을 놀라게 했다. 김 교수는 199 ... ...
'좀비 바퀴벌레' 만드는 방법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때문이라고 추측했다. 그 물질을 찾기 위해 신경전달물질과 똑같은 기능을 하는
화학
물질을 몇 종류 만든 뒤, 말벌의 침을 맞고 좀비가 된 바퀴벌레에 차례대로 주입하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옥토파민이라는 신경전달물질을 주입했을 때 좀비 상태이던 바퀴벌레가 정상으로 돌아온다는 걸 ... ...
이산화탄소 배출 주범은 주요 산업국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발생하는 미세한 유독성 분진산화알루미늄과 산화규소 화합물 형태의 광물로 그
화학
성분은 3Al₂O₃·2SiO₂이다 물(mul) 섬의 현무암이 고열 변성 작용을 거친 포획암에서 처음 발견돼 이 이름이 유래됐다 일반적으로 알루미늄이 풍부한 화성암이 고온·고압의 작용을 받아 형성된다 천연적으로는 ... ...
intro 21세기 다시 쓰는 '종의 기원'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조립할 뿐이라고 비판하며, 세포막이나 세포질 같은 세포의 모든 구성 요소까지 모두
화학
적인 방법으로 합성하는 ‘아래에서 위로’(bottom-up) 접근법을 따른다. 그는 1995년 이미 리포솜으로 만든 인공세포막 안에서 DNA를 합성하는데 성공한 뒤 꾸준히 연구성과를 내고 있다.합성생물학은 2004년에 ... ...
다시 보면 고마운 '키다리 아저씨' 혐기성 미생물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생균제 사료는 장 속 미생물의 균형을 맞춰 장 건강을 지킨다”며 “생균제 사료는
화학
약품이 안 들어있어 내성도 안 생긴다”고 말했다.혐기성 미생물은 산소를 사용하지 않고 질소산화물로 에너지를 만든다. 질소산화물은 산소에 비하면 에너지대사 효율이 극히 낮지만, 아직 혐기성 미생물이 ... ...
올 겨울 유성우 전망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반응방향족 화합물(芳香族化合物)에 포르밀기(基)를 도입하는 방법 1890년 독일의
화학
자 L 가터만에 의해 발견되었다 직류의 제어전류를 써서 교류전류의 크기를 변화시키는 장치 트랜스덕터라고도 한다 사각형의 포화특성을 가진 고리 모양의 자심(磁心)에 두 개의 권선(捲線)을 감아 자심의 ... ...
초미세 생체현상 속에 답이 있다
과학동아
l
2008년 01호
정확합니다.”성냥에 불이 붙는
화학
반응이 절반만 진행될 수는 없듯 생체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 역시 ‘모 아니면 도’식의 간결하고 정확한 디지털시스템을 따른다.차가운 반도체에서 태동한 MEMS 기술은 이제 나노미터 규모까지 정교해졌고 생체현상을 모방하면서 훨씬 인간적이고 따뜻해졌다.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