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진찰
검사
시험
셤
판단
조사
검역
뉴스
"
진단
"(으)로 총 4,81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터뷰] 코로나19 변종 초강력 전염성 첫 연구한 재미 최혜련 교수
연합뉴스
l
2020.06.16
융합연구단은 이날 대전 화학연 디딤돌플라자 2층 대회의실에서 코로나19 백신·치료제·
진단
분야 기술을 국내 바이오기업에 이전하는 협약식을 열었다. 2020.6.9 jyoung@yna.co.kr -- 연구를 끝낸 소감은. ▲ 저와 함께 연구한 3~4명의 연구진이 실험실에서 밤낮으로 연구했다. 4월 중순부터 연구를 ... ...
[의학게시판] 삼성서울병원, 메니에르병 AI
진단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정원호∙조영상 이비인후과 교수와 조백환 인공지능(AI)연구센터 교수팀이 메니에르병 AI
진단
기술을 개발했다고 15일 밝혔다. 메니에르병은 심한 어지럼증과 청력 소실, 이명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질환이다. 정확한 발병 이유는 밝혀지지 않았다. 내림프액 순환 문제로 발생할 것으로 추정한다. ... ...
코로나19 세포 침투력 강해졌다지만 실제 감염력 차이 아직 모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중이며 보다 많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라고 말했다. 이혁민 대한
진단
검사의학회 감염관리이사(연세대 의대 교수)도 “바이러스 감염에는 스파이크 단백질의 변이도 중요하지만 이를 받아들이는 TMPRSS2 발현 등 인체세포의 수용체도 중요하다”며 “바이러스 변이가 일정 ... ...
"광주·충남 코로나19 위양성, 검체 다루는 과정에서 오염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의료기관을 대상으로 공동 현장점검을 시행하기로 했다. 이 교수는 “점검은 대한
진단
검사의학회에서 그동안 했던 여러 인증심사 매뉴얼에 따라 진행될 예정”이라며 “검사량을 감당할 충분한 인력 구조와 교육이 되는지와 오류를 찾아낼 수 있는 프로세스와 자료를 가졌는지를 중점적으로 ... ...
인체 침투력 강한 코로나19 따로 있다?…당국 "추가 연구 필요"
연합뉴스
l
2020.06.15
바이러스의 병원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혁민 대한
진단
검사의학회 감염관리이사도 이날 브리핑에서 "일부에서는 바이러스가 변이하면서 병독성이 약해졌다는 보고도 있고, 또 전염력이 강해졌다는 보고도 있는데 이런 것들은 아직 일부 사례"라면서 "아직 ... ...
입법조사처 "메르스 이후 신종 감염병 충분한 대비 못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본인의 자발적이고 충실한 신고가 중요하며 검역 업무 수행시 정보화기기 등 활용,
진단
검사자 자격조회시스템 등 능동적이고 적극적인 대응이 필요해졌다”고 밝혔다. ... ...
리치웨이발 코로나19 교회·사업장·학원으로 확산中…감염자 하루새 37명 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이용하는 PC방, 노래방 등 다중이용시설 점검을 강화하기로 했다. 한편 질본과 대한
진단
검사의학회는 최근 코로나19 의심환자로 분류된 광주 유덕중 1학년생과 대광여고 2학년생, 충남 논산 70대 1명 등 양성 판정을 받았던 3건 사례가 위양성 가능성이 크다는 판단을 14일 내놨다. 세 건 사례 모두 ... ...
코로나19, 당뇨병도 유발(?)
연합뉴스
l
2020.06.15
사실을 알게 된 경우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코로나19 치료 중 당뇨병으로
진단
되는 사람들의 비율이 일반 병원 진료에서 모르고 있던 당뇨병을 알게 되는 사람의 비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고 이 프로젝트에 참가한 영국 킹스 칼리지 런던(KCL)의 당뇨병 전문의 프란체스코 로비노 교수는 ... ...
수도권 n차감염 확산에 고령-깜깜이 환자 증가까지…방역 삼중고
연합뉴스
l
2020.06.15
있고 (당국의) 추적 속도가 확산 추이를 충분히 따라잡지 못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진단
하면서 수도권 주민과 다중이용시설 운영자들에게 생활방역 수칙을 철저히 준수해 줄 것을 요청했다. ... ...
“감염병·미세먼지 등 국가과제 연구 지속할 조직 갖춰야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6.15
대형 연구과제보다는 소규모 연구를 효율적으로 하는 체계로 바뀌었다는 게 염 부의장의
진단
이다. 대형 연구사업을 추진할 수 있는 구조와 리더십이 없다는 것이다. 염 부의장은 “예를 들어 감염병 관련 정부 연구개발을 한다고 치면 감염병이라는 키워드로 연구할 수 있는 사람을 모아서 하고 ... ...
이전
271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