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하루
일일
일일간
낮
주간
날씨
일기
d라이브러리
"
날
"(으)로 총 6,527건 검색되었습니다.
구름vs안개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안개라고 불러요. 수증기가 높은 데까지 올라가 얼어붙는 구름과 달리, 안개는 아주 맑은
날
밤새 땅이 차가워지면 수증기가 물방울로 엉겨 붙어서 생겨요. 그래서 하얀 안개 속으로 들어가면 촉촉하고 차갑답니다 ... ...
종말론 뒤집은 마야달력 발견!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불렀다. 이와 같은 원리로 만들어진 마야 달력으로 마지막
날
을 계산해 보면, 그
날
짜가 2012년 12월 1일로 나온다. 그래서 종말론자들은 2012년 12월 1일에 종말이 온다고 주장한다.그런데 지난 5월 10일, 과테말라 북동부에서 다가올 7000년 이후의 미래를 상형 문자로 기록한 마야 달력이 발견됐다. ... ...
컴퓨터과학의 아버지, 알란 튜링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2년 06호
합니다. 튜링의 꿈 또한 뇌와 같은 컴퓨터를 만드는 것이었습니다. 아마 튜링이 오늘
날
살아 있다면 뇌를 연구했을 겁니다.천재 수학자의 비극적인 최후튜링은 뛰어난 수학자가 모인 블레츨리 파크에서도 눈에 띌 정도로 특출났습니다. 동료들이 튜링을 ‘교수님’이라고 부를 정도였지요. 하지만 ... ...
생각만으로 로봇을 조종한다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나는 걷는다, 나는 걷는다.’ 소년은 그저 ‘걷는다’는 생각만으로 머릿속을 가득 채웠다.그러자 80m 크기의 거대한 로봇이 발걸음을 옮기기 시작했다.SF 애니메이션 ... 환자가 있다. 신체마비 환자들이 보호자 도움 없이 스스로 움직이는 평범한 행복을 누릴
날
이 오기를 기대해 본다 ... ...
암흑광자를 사냥하라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독자가 지금 이 글을 읽을 수 있는 까닭은 빛이 있기 때문이다.빛은 초속 30만km의 빠르기로 움직이는 ‘광자’라는 작은 입자로 이뤄져 있다.이 작은 입자의 질량 ... 배 높여 암흑광자 사냥을 계속할 예정이다. 암흑광자를 발견했다는 소식을 독자들에게 소개할 수 있는
날
을 기다려 본다 ... ...
과학사에 등장한 4대 악마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옳다면 여름
날
에어컨이 없이도 방 안이 저절로 시원해질 수 있다(70쪽 박스기사 참고). 훗
날
테이트와 맥스웰의 선배이자 저명한 영국 물리학자 윌리엄 톰슨은 이 ‘작은 존재’에게 ‘악마’라는 이름을 붙였다.맥스웰은 48세로 요절하기 전까지 이 작은 악마를 끝내 퇴치하지 못했다. 그러나 마의 ... ...
스마트폰의 역습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일부 지역의 3G 네트워크 기지국을 마비시켜 군 지휘체계 교란도 가능하다. 일어
날
것 같지 않지만 마음만 먹으면 가능하다. 현재까지 심각한 수준의 스마트폰 보안 사고가 없었기 때문에 안일하게 여기는 것뿐이다. 눈뜨고 있는데도 코 베어가는 악성코드“휴대전화에 악성코드가 감염되면 해커는 ... ...
"나는 초신성 박씨"
과학동아
l
2012년 06호
젊은 별은 초기우주가 만든 수소와 헬륨 등 극히 단순한 원소 외에는 갖지 못한 채 태어
날
것이다. 태양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면 태양계에선 생명이 탄생할 수 없었을 것이다. 우주는 무기물 우주가 된다. 우주가 시작하고 팽창하고, 별과 행성이 만들어지고, 은하가 탄생하고... 하지만 평화로워 ... ...
마음대로 접을 수 있는 ‘종이 태양전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거의 바닥난 자동차에 휘발유를 넣는 대신 스티커 한 장을 붙이는
날
이 올지도 몰라요. 종이처럼 마음대로 구부리거나 접을 수 있고 떼었다 붙일 수 있는 태양전지가 나왔거든요.이 놀라운 태양전지를 만든 주인공은 바로 우리나라 과학자들이랍니다. 한국전기연구원의 이동윤, 차승일 박사팀은 ... ...
오징어는 하늘을 나는 게 더 쉽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2년 06호
몸에 물을 가뒀다가 내뿜는 힘으로 앞으로 쭉 나아가는 오징어는 마치 우주로 솟구치는 로켓처럼 빠르게 헤엄쳐요. 작용과 반작용의 원리로 한 번에 먼 거리를 갈 ... 1000km가 넘는 긴 거리를 여행해요. 오도르 박사는 오징어가 저항을 줄이기 위해 물에서 뛰어올라
날
아간다고 설명했어요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