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저녁
나이트
야간
마롱
BAM
d라이브러리
"
밤
"(으)로 총 3,245건 검색되었습니다.
PC통신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지역이나 특별한 취미를 가진 동호인들이 BBS를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대개 운영시간은
밤
8시부터 새벽 6시까지로 BBS의 전화번호를 알아 접속하면 가입 및 접속방법을 가르쳐준다. 무료개방이 대부분이지만 개중에는 월회비를 받는 곳도 있다.PC통신을 하려면 컴퓨터와 모뎀 그리고 ... ...
사자자리 은하트리오 산책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6 M65(NGC3623) NGC3628이 놓여 있다. M66은 8분×2.5분의 크기를 갖고 있다. 투명도가 좋은 어두운
밤
하늘에서 파인더 망원경으로 볼 수 있어서, 작은 솜털 조각과 같은 모습으로 보여진다. 좀 더 커다란 망원경으로 보게되면 희미한 헤일로속에서 회색의 성운기를 가진 밝고 가느다란 지역을 볼 수 있다. 1 ... ...
아마추어 과학모임 총정보
과학동아
l
1993년 04호
다르다. 과학에 대한 소질이 없어도 흥미를 느낄 수 있는 과학활동은 얼마든지 있다.
밤
하늘에 반짝이는 별을 따고 싶다거나 창공을 훨훨 날고 싶은 것은 인간에게 과학 이전의 본능에 속한다. 이러한 꿈은 천문관측모임이나 모형비행기 동호회에 나가면 손쉽게 실현할 수 있다.이전에 과학취미는 ... ...
박쥐, '해로운 동물' 오해로 멸종위기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미국텍사스주의 고사리동굴(Bracken cave)에서 사는 4천만마리의 멕시코똥박쥐들은 매일
밤
2백50t의 벌레를 먹어치우는데, 만약 이들이 사라진다고 하면 그 결과는 해충인구의 폭발적 증가로 나타날 것이다.또 박쥐는 야생식물의 수분(授粉)에도 커다란 기여를 하고 있다."이처럼 박쥐가 우리 ... ...
③ 보이지 않은 우주의 소리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빛은 거의 내지 않는 대신 전파를 주로 내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인간이 보고 있는
밤
하늘은 전체 우주 모습의 일부에 불과하다. 우주의 반쪽을 찾아서1932년 미국 벨연구소의 잔스키(Jansky)에 의해 처음으로 우주에서 방출되는 전파가 관측되었을 때만 해도 그 결과는 천문학자들의 관심거리가 ... ...
탐조활동은 자연보호운동이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깃 모으기운동은 새의 깃이 담긴 배지 목걸이 마스코트 T셔츠 등을 팔아 그 이익금으로
밤
섬을 지키는 것을 말한다. 그밖에 새의 사진을 담은 그림엽서와 연하장을 만들기도 한다.이 모임은 앞으로 생태계 잡지를 만들어 조류 곤충 식물 자연환경에 대한 관찰사항을 게재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 ...
③ 말은 마음의 구조 밝히는 열쇠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학문의 출발점이었다.철학자들에게 궁금한 것은 물론 인간의 마음만이 아니었다. 낮과
밤
이 왜 있는지, 하늘에는 별이 왜 있는지, 사람들은 밥을 굶으면 왜 죽는지 등 부지기수였다. 이 모든 질문을 철학자가 모두 감당하기에는 너무나 벅찼다. 따라서 수많은 칠문들을 적절히 나누어 탐구할 ... ...
우주탐색 전선24시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고개를 들면
밤
하늘에는 별들이 반짝인다.● 일반인들이 별을 바라보기란 이렇게 쉬운 일이다.● 하지만 천문학자들이 천체를 관측하는 일은 그렇게 간단하지 않다.● 왜냐하면 무엇보다 먼저 '어떤 종류의 빛'으로 관측할 것인지부터 결정해야 하기 때문이다.● 우리나라 천문학의 현황을 ... ...
② 거인의 눈으로 천체를 살핀다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열적평형을 이루는데 많은 시간이 걸린다. 아무리 잘 연마된 광학면이라도 낮과
밤
의 기온차에 따른 팽창 수축이 일어나 반사경의 정밀도를 떨어뜨린다.이런 한계에도 불구하고 90년대에 들면서 5,6m의 장벽을 넘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시도되고 있다. 엷은 초생달 모양의 반사경을 만들기도 하며 ... ...
국내배출 '천문학 박사 1호' 박홍서 천문대장
과학동아
l
1993년 03호
란 표현에서 설명이 길어진다. 천문현상은 학문적 지식이 없는 사람도 관심이 많다.
밤
하늘의 반짝이는 별은 천문학자들의 독점물이 아니다. 어린 학생들이 청백색의 시리우스를 보고 과학자의 꿈을 키울 수도 있고, 젊은 처녀 총각이 앉아 견우별과 직녀별에 얽힌 사랑이야기를 나눌 수 있다. 나이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