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줄
끈
현
라인
행렬
띠
끄나풀
d라이브러리
"
열
"(으)로 총 4,727건 검색되었습니다.
북극과 남극에 뭔가 특별한 것이 있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아문센은 1905년 마침내 북극으로 가는 항로를 찾아내서 후대의 탐험가들에게 길을
열
어 주었지요. 1909년 미국의 탐험가 피어리가 북극점을 정복하자 방향을 돌려 남극으로 향한 아문센. 결국 그는 개썰매를 타고 남극점을 밟는 데 성공했고, 영국의 스콧과 벌인 남극점을 향한 경쟁은 전설로 ... ...
120억년 전 별빛을 잡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년간 학계를 지배한 여러 논란을 잠재울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팀은 오는 3월 칠레에서
열
리는 구상성단 국제학술대회에 참가해 새 연구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봄에는 ‘천체물리학 저널’ 특별호에도 논문 40여 편을 게재할 예정이다.연구팀은 갈렉스 연구 실적을 바탕으로 지난 2004년 NASA의 ... ...
금도 잘 다뤄야 아름다워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01호
하지만 삼국 시대의 장인들은 특유의 용광로와 송풍 장치를 개발해 내고 높은 온도의
열
을 내는 숯을 씀으로써 금을 손쉽게 녹일 수 있었답니다. 거기에다 민족 특유의 뛰어난 예술 감각이 더해져 세계인들이 감탄하는 금 공예품을 만들 수 있었던 것이죠. 이렇게 뛰어난 실력은 현대에까지도 ... ...
겨울철 불청객 감기
과학동아
l
2006년 01호
치료에 자주 이용됐다. 도라지는 기침을 멎게 하고 가래를 없애며 항염증, 진정, 진통, 해
열
, 면역 기능 항진 작용을 한다고 알려져 있다.감기가 오래가 목이 계속 불편하다면 도라지를 썰어서 꿀에 재어 먹거나 도라지 나물을 식탁에 올려보는 것도 좋겠다 ... ...
갓 지은 쌀밥보다 맛난 것은 없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빠른 속도로 뜨거워집니다. 그리고 옆면의 두께를 바닥에 비해 절반 정도로 얇게 만들어
열
이 고루 전달되게 하였습니다. 만약 두께가 다 똑같다면 직접 화력을 받는 바닥에 비해 위쪽은 덜 뜨거워지니까요. 그리고 전체 무게의 3분의 1을 차지할 만큼 무거운 뚜껑은 공기나 수증기가 새나가지 않게 ... ...
과학을 알면 나는야 겨울 스포츠 선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4호
내려 올 때 느끼는 속도감은 정말 짜릿하답니다. 4년마다
열
리는 동계 올림픽에서 우
열
을 가리는 가장 큰 기준이 속도일 만큼‘얼마나 빠른 속도를 내느냐’는 겨울 스포츠에서 아주 중요하답니다. 그렇다면 빠른 속도를 내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그 해법은 ‘힘과가속도’에 대해 공부하고 나면 ... ...
아바타 학교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3호
없을걸? 아바타 학교에서 아이들이 진짜로 만나게 되는 건 일 년에 한두 번뿐이니까.
열
살 이후에 우리 반에서 나리를 실제로 만난 아이는 아마 나뿐일 거야. 나리 엄마가 우리 엄마 친구라서 어렸을 때부터 나리와 잘 알고 지냈거든. 나리의 쌍꺼풀이랑 속눈썹은 물론, 투명한 피부랑 부드러운 ... ...
추운 계절에는 온돌방이 최고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만들어서 갑자기 방이 뜨거워는 것을 막아 주지요. 적당히 달궈진 구들장은 저장한
열
을 바로 위의 방바닥을 통해 방출하면서 방바닥을 고루 따뜻하게 해 주고 불을 꺼도 오랫동안 온기가 유지되게 해 줍니다.이에 반해 서양의 대표적인 난방 기구인 난로는 공기를 데워서 온기를 얻는 대류 ... ...
얼음 속에 갇힌 설인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2호
바람을 불어 주면 주변의 차가운 공기가 다른 곳으로 이동하고 얼음이 흡수할 수 있는
열
에너지를 가진 따듯한 공기를 만날 수 있게 되어 얼음이 더 잘 녹는 것이랍니다. 하지만 바람의 온도가 얼음보다 더 차가울 경우에는 얼음이 녹기는커녕 더 꽁꽁 얼어 버린답니다. 바람이 분다고 얼음이 항상 ... ...
용수철과 탄성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21호
안을 자세히 들여다 본 적 있나요? 없다면 지금이라도 스테이플러의 뚜껑을
열
고 무엇이 들어있는지 자세히 관찰해 보세요. 스테이플러는 용수철이 교묘히 감춰져있는 도구랍니다. 스테이플러를 누르면 철침이 나와 종이를 뚫고 들어가는데 이 때 철침을 앞으로 밀어 주고, 사용이 끝난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