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크기"(으)로 총 7,9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도전! 수학자 수, 그림으로 말해요!수학동아 l2014년 02호
- 가지는 경우의 수다. 여기서는 자식노드는 점, 단말로드는 나뭇잎으로 표시했다.➌ 크기가 n인 계단을 직사각형 n개로 분할하는 방법의 수가로·세로의 길이가 n인 계단을 직사각형 n개로 분할하는 경우의 수를 구하면 카탈란 수가 구해진다. 가로·세로 길이가 1인 계단은 그 자체가 직사각형 1개이기 ... ...
- 달에서 찍은 영화, 8분이면 지구로 “슝”과학동아 l2014년 02호
- 보내도 넓은 지역으로 퍼지지 않아 정보를 집약적으로 담을 수 있다. 수신기의 안테나 크기도 줄일 수 있고, 보안성도 높다. 남상욱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는 “퍼지는 성질이 적으면 중간에 가로채기가 어렵다”고 말했다.레이저를 이용한 우주 광통신이 이번에 처음 개발된 것은 아니다. ... ...
- 오래된 나무가 지구를 지킨다과학동아 l2014년 02호
- 사실도 새롭게 밝혀졌다. 대형 고목 한 그루가 1년간 흡수해 고정하는 탄소의 양이 중간크기 나무 수백 그루가 이룬 숲과 유사할 정도라는 것. 연구팀은 “거목이 대기 중의 탄소를 줄이는 데 막대한 영향력을 가진 만큼 인간의 탄소배출 때문에 일어나는 지구온난화를 최소화하기 위해선 거목을 ... ...
- 거울보며 단장하는 조류계의 영장류 까치과학동아 l2014년 02호
- 관심이 없다는 듯이 여기저기를 돌아다녔다. 15분쯤 지났을까. 아까와 똑같은 재질과 크기의 호일공을 다시 만들어서 줘봤다. 그랬더니 이번에는 호일공을 물지 않고, 아까 호일공을 숨겨뒀던 창가로 가서 신문지 밑에 숨겨둔 호일공을 입에 물고는 날아오는 것이었다!이 사건은 까치가 공을 숨긴 ... ...
- 생물처럼 말랑말랑한 ‘소프트 로봇’ 나온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생물처럼 부드럽고 유연해질 것”이라며 “유글레나가 움직이는 원리를 적용하면 세포 크기만큼 작으면서도 적은 에너지로도 자유롭게 혈액 속을 헤엄치는 마이크로 의료 로봇을 만들 수 있다”고 말했다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사용하고 있는 가속기)에서 나오는 빛보다 세기가 100억 배나 강하기 때문에 관측 크기가 수 나노미터(1nm=10억분의 1m) 밖에 안 돼도 구조를 해석할 수 있다. 아직은 가설을 확인하는 단계지만 성공한다면 수많은 학자들이 단백질 결정을 목메고 기다리는 지금과 같은 상황을 해결할 수 있을 것이다 ... ...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기술적으로 어려운 부분은 무수히 많다. 300~400m나 되는 거대한 가속기 전체에서 부품의 크기 오차가 0.15mm보다 작아야 하고, 빔이 지나는 곳은 1000억 분의 1기압 정도의 초고진공을 유지해야 한다. 영하 269~271℃의 극저온은 기본이다. 하지만 정작 연구팀이 가장 어려운 부분으로 꼽은 부품은 이런 ... ...
- 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없어요. 그러니 초기우주 같은 조건만 만들어 주면 쉽게 찾을 겁니다.”관건은 에너지의 크기다. “작년 유럽입자물리연구소(CERN) LHC의 양성자 빔 출력이 8TeV였습니다. 그런데 제가 자기홀극의 이론적인 질량을 계산해 보니 5~7TeV/c2이 나왔어요. 자기홀극은 하나의 극을 갖는 대신 두 개가 한 쌍씩 ... ...
- [화보] 찰나의 순간, 수학을 포착하다!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끝이 없다.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MIT) 응용수학과 존 부시 교수 연구팀은 아주 작은 크기를 가진 물방울의 특성을 연구한다. 연구팀은 물방울과 표면이 만나 이루는 각도가 90° 이하일 때는 표면이 물을 흡수하지만, 접촉 각도가 90° 이상일 때는 표면이 물을 흡수하는 성질이 없다고 설명한다.한편, ... ...
- 아리스토텔레스의 시간여행 0을 찾아서!수학동아 l2014년 01호
- 먼저 떠오르는 종교는 힌두교다. 그런데 힌두교에서는 우주가 무(無)에서 생겨났고, 그 크기가 무한하다고 믿는다. 따라서 인도인들은 무와 무한을 성스러운 것으로 여겼다. 특히 힌두교의 주요 신 중 하나인 시바신을 무(無) 자체로 여겨, 만물의 창조와 파괴가 모두 가능한 존재라고 믿었다. 결국 ... ...
이전27227327427527627727827928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