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뉴스
"
신호
"(으)로 총 3,482건 검색되었습니다.
100배 더 빠른 미래형 전자소자 나왔다
2016.11.28
빛을 받으면 광자를 방출하고, 이 광자들은 은 나노선을 따라 지나간다. 이렇게 생긴 광
신호
는 건너편 2차원 반도체 소자에 전달돼 같은 과정을 반복하며 정보를 전달한다. 지금까지는 광전자소자에 필수적인 ‘발광소자’ 역시 걸림돌이 됐다. 양자점이나 양자우물 등 기존 기술은 우수한 발광 ... ...
뇌 속 면역 담당한 미세아교세포의 두 얼굴
2016.11.23
보내는
신호
물질(Clq라는 단백질이 유력한 후보다)을 항원으로 하는 항체를 만들어
신호
물질을 없애면 잘못된 시냅스 가지치기가 일어나지 않을지도 모른다. 실제 이런 항체가 개발되고 있고 내년에 알츠하이머병과 헌팅턴병,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임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진행을 늦추는 약물만 ... ...
전기
신호
로 뇌 속 신경세포 자극하는 방법 찾았다
2016.11.23
그로스만 연구원팀은 두피에 전극을 붙이는 것만으로 뇌 깊은 곳의 신경
신호
를 조절할 수 있는 ‘경뇌 자극 기술(TCS)’을 개발하고 13일 열린 ‘연례신경과학회’에서 발표했다. 그로스만 연구원팀은 뇌의 신경세포가 낮은 주파수의 전기에만 잘 반응한다는 사실에 착안했다. 실험용 쥐의 양쪽 ... ...
김치유산균, oo에 탁월한 효과가!
2016.11.22
증명하기도 했다. 때문에 ‘피부유산균’ 이라는 별병이 있을 정도다. 피부건강에 적
신호
가 켜지는 계절, 아토피나 건선 등의 질환을 앓고 있다면 몹시 솔깃한 정보가 되지 않을까? 1년 365일 당신의 피부는 소중하니까! ●김치도 적당히 먹어야 좋아! 김치유산균이 인체에 유익하다고 김치를 ... ...
“살찌기 쉬운 체질이군요… 식사조절 유의하세요”
2016.11.18
촉진하는 FTO 유전자, 기름기 있는 음식을 선호하게 만드는 MC4R 유전자, 배가 부르다는
신호
가 뇌에 잘 전달되지 않게 하는 BDNF 유전자가 모두 있어 비만 위험이 80%가 넘었다. 국내에서는 에스엔피제네틱스가 유전자 검사 서비스를 최근 시작했지만 미국과 유럽에선 이미 큰 인기를 끌고 있다. 침 몇 ... ...
생각만으로 컴퓨터에 단어 입력… ‘뇌 임플란트’ 시대 오나
2016.11.18
발생한
신호
를 정확하게 해석하기 위해 인공지능 기술인 ‘머신러닝’을 이용해 뇌
신호
를 컴퓨터가 학습하고 해석하게 만들었다. 뇌수술에 따른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연구도 계속되고 있다. 2015년 4월에는 미국 국방부 산하 방위고등연구계획국(DARPA) 연구진이 수술 없이 주사를 맞듯 혈관을 ... ...
좁은 골목길 누비는 자율주행차 ‘스누버2’ 직접 타보니
2016.11.16
판단되면 사람이 길을 실제로 건너기 시작하기 전부터 기다린다. 스누버2는 교통
신호
나 도로표지판도 인식할 수 있었다. 전방에 ‘일단정지’ 표지판이 나타나자 잠시 동안 멈춰 섰다가 다시 출발했다. 내리막길에 들어서자 속도가 빨라지는 듯했지만 곧 스스로 속도를 줄였다. 서 교수는 “조금 ... ...
고통을 모르는 벌거숭이 두더지쥐
과학동아
l
2016.11.15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 주목했다. TrkA 수용체는 신경세포를 활성화시켜 뇌에 통증
신호
를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연구팀은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를 아프리카두더지쥐 등 다른 포유류 26종의 수용체와 비교했다. 그 결과 벌거숭이 두더지쥐의 TrkA 수용체에서 1~3개의 아미노산 구조 변화가 ... ...
[표지로 읽는 과학]그린란드에 살던 바이킹 후손들은 15세기 왜 갑자기 사라졌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6.11.14
모습을 확인했다. 쥐에게 시각 자극을 주면 새로 생긴 뉴런이 반응해 수상돌기에서
신호
를 만들었다. 그동안 알츠하이머병이나 파킨슨병처럼 뇌의 일부가 손상되는 질병에 걸리면 딱히 복구할 방법이 없었다. 이번 연구는 질병이나 사고로 뇌가 손상됐더라도 배아줄기세포를 이식하면 다시 ... ...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
과학동아
l
2016.11.12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공했다. 뇌에 소형 전자장치를 넣어 뇌의 전기
신호
를 컴퓨터로 전달해 기계를 작동시키는 뇌-컴퓨터 접속(BCI) 기술을 활용한 것이다. 실험에 참가한 네이선 코플랜드는 불의의 사고로 사지마비 장애를 갖고 있었다. 연구팀은 그의 뇌에서 손 동작과 감각을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