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정주
거즈
뉴스
"
안정하기
"(으)로 총 5,417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장관회의]인구감소·신산업 출현 대비해 해외서 우수연구자 데려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를 주재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해외 연구자 유치를 위해 비자 제도를 개선하고 가족들의 국내 취업을 허용하는 등 적극적인 방안을 마련하기 ... ...
[과기장관회의]민간 R&D 수요·시장 눈높이 맞춘 R&D 투자시스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7
최기영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이 1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본관 영상회의실에서 열린 '제14회 과학기술관계장관회의' 를 주재 하고 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제공 정부가 기술 수준과 규모가 모두 커진 민간의 연구개발(R&D) 수요에 부응하고 높은 시장의 눈높이에 맞춘 기술을 성숙시 ... ...
페로브스카이트 성능과 안정성 모두 잡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조길원 포스텍 화학공학과 교수와 송성원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페로브스카이트 결정에 ‘유기스페이서’라는 유기물을 첨가해 수분 저항성을 늘리면서도 결정 결함은 낮춰 성능도 높고 안정성도 커진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를 구현했다. 포스텍 제공 태양전지에 활용되는 페로브스카이트에 유 ... ...
KT, 장애·해킹에도 서비스 중단 없는 양자암호기술 첫 개발
연합뉴스
l
2020.11.16
KT, 장애·해킹에도 서비스 중단 없는 양자암호기술 첫 개발 KT는 16일 끊김 없는 양자암호 통신 서비스를 가능하게 하는 '양자 채널 자동 절체 복구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 기술은 양자 전달 채널을 이중화함으로써 장애 발생이나 해킹 시도를 인지하는 즉시 기존 회선 대신 ... ...
새로운 코로나19 치료제 '나노 단백질'에 주목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16
미국 피츠버그대 연구팀이 개발한 나노바디(보라색)가 코로나19 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흰색)에 붙은 모습을 3차원(3D) 프린팅 모형으로 제작해 손에 들어 보이고 있다. 피츠버그대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이 처음 발생한 것으로 추정되는 시기부터 11개월이 지났다. 인류는 ... ...
브릭완구, MRI 품질평가에도, 양자컴퓨터에도 사용된다
과학동아
l
2020.11.14
브릭은 원하는 모양으로 쉽게 조립하거나 해체할 수 있다.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는 이런 특성을 이용해 모든 MRI 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변형 가능한 팬텀을 개발했다. 일러스트 유두호 레고(LEGO)로 대표되는 블록완구의 가장 큰 장점은 설계도만 있으면 무엇이든 조립할 수 있다는 점이다. 또 조 ... ...
지열발전이 촉발한 포항지진 3년...국제 시추 연구 논의 본격화
동아사이언스
l
2020.11.13
2017년 11월 발생한 포항지진으로 건물이 무너진 모습. 연합뉴스. 2017년 11월 15일 경북 포항에서 발생한 규모 5.5. 지진은 지열 발전을 위한 물 주입으로 발생했다는 최종 결론이 나왔다. 이런 가운데 포항지진처럼 시추과정에서 발생하는 이른바 '유발지진' 원인을 막을 국제 연구를 포항에서 진행하 ... ...
[뉴스페이스 업리프트] 한국과 싱가포르 우주스타트업 대표 4인이 말하는 '나의 경쟁력'
2020.11.12
박주흠 다비오 대표가 이달 12일 서울 용산구 블루스퀘어에서 열린 '뉴스페이스 코리아 업리프트'의 스타트업 발표대회 '셀렉션커미티'에서 발표하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국내외 우주 기업과 관련 전문가들이 모여 새로운 우주 산업 모델을 논의하는 국제 포럼인 ‘뉴스페이스 코리아 ... ...
울산과기원, 파킨슨병 증상 완화 새 치료 단서 제시
연합뉴스
l
2020.11.12
김재인 교수팀, 오글루넥당화 활성화로 운동 이상 증상 완화 [울산과기원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세포 내 단백질 변형 과정 중 하나를 조절해 파킨슨병 증상을 완화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고 12일 밝혔다. 김재익 생명과학과 교수팀은 도파민 신경세포에 ... ...
[한 토막 과학상식]열을 전기로 바꾸는 '하프호이즐러 합금'
동아사이언스
l
2020.11.11
최벽파 KAIST 신소재공학과 교수(왼쪽) 연구팀은 이승훈 경북대 교수와 공동으로 하프 호이즐러 열전재료의 나노구조를 제어하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다. KAIST 제공 열전소자는 열전소재를 이용해 열에너지를 전기로 변환하는 소자다. 소자 양끝에 온도차가 생기면 내부 전하가 이동하면서 전기를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