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57건 검색되었습니다.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산소 일부가 대장에 도달해 생존환경이 나빠졌다는 해석이 있다. 반면 비만
억제
와 관련해 잘 알려져 있는 로제부리아(Roseburia)라는 박테리아는 극적으로 늘어나 있었다. ‘네이처’ 5월 8일자에는 쥐를 대상으로 위소매절제술을 했을 때 위장의 생리 변화를 규명한 논문이 실렸다. 즉 수술을 받은 ... ...
간·신장 훼손 안 시키는 면역
억제
제 후보물질 개발
2014.10.29
박찬영 울산과기대 생명과학부 교수 - UNIST 생명과학부 제공 간이나 신장이 손상되는 부작용의 염려 없이 장기간 복용할 수 있는 면역
억제
제를 개 ... 효율은 20% 이상 높으면서도 세포독성과 부작용이 적다”며 “추후 연구를 통해 면역
억제
제 신약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요즘 아이들은 왜 이렇게 클까?
2014.10.27
장내미생물의 몫이다. 따라서 지속적인 저용량 항생제 복용으로 장내미생물 숫자를
억제
할 경우 그 에너지가 숙주의 성장에 쓰인다는 것. 또 장내미생물은 숙주의 호르몬 역할을 하는 다양한 생체분자를 만들어내 숙주의 생리반응을 조절하기도 하는데 항생제는 여기에도 영향을 미친다. ... ...
스튜어디스 직업병은 유방암?
2014.10.20
돌아갔다. 제3의 조명 시대를 연 청색LED는 그러나 일주리듬 교란과 멜라토닌 합성
억제
등 인류의 건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더 크다. - 위키피디아 제공 그런데 스몰렌스키 교수는 서평에서 LED의 등장으로 세계 보건에 ‘적색등’이 켜졌다고 경고하고 있다. 즉 에너지 효율이 높은 ... ...
비글 뼈, 5주 만에 재생 완료
2014.10.14
조절하는 것으로 알려진 성장인자(BMP7, DKK1)를 생체 내에 전달해 암 세포의 이동을
억제
하는 효능도 확인했다. 김희진 교수는 “이 방식을 활용하면 지금까지 생체 내에 전달하기 어려웠던 성장인자를 다양하게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며 “안면기형이나 만성신장질환 같은 질환을 치료하는 ... ...
뇌 염증
억제
하는 새로운 물질 발굴
2014.10.13
연구팀이 개발한 ICM 화합물은 염증 반응을 유도하는 HMGB에 결합해 염증 반응을
억제
한다. - 한국연구재단 제공 연구팀이 뇌에 염증이 있는 쥐에 이 화합물을 투여하자 실제로 뇌의 염증이 줄어들고, 염증으로 생긴 뇌손상이 회복됐다. 또 뇌손상으로 인한 마비증상 역시 완화됐다. 박승범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셈이다. 멜로니 교수는 “제논 가스는 뇌 신경세포 안에 있는 NMDA라는 특수한 단백질을
억제
하는 기능이 있다”면서 “NMDA는 공포 기억을 형성하고 재현하는 역할을 한다”고 말했다. 도네가와 스스무 미국 매사추세츠공대(MIT) 교수팀은 뇌를 조작해 감정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 ...
사과 다이어트 효과는 프리바이오틱스 작용 때문
2014.10.06
사과추출물을 더할 경우 어떤 미생물은 더 잘 자라게 하고 어떤 미생물은 생장을
억제
하는데 그 결과가 날씬한 쥐 대변의 미생물 조성과 비슷해지는 것. 예를 들어 날씬한 쥐나 사람에서 많이 존재하는 것으로 알려진 비피도박테리아나 엔테로코쿠스, 대장균(무해한 균주)의 비율이 늘어났다. ... ...
폐암 발생 막는 ‘유전체 지킴이’ 단백질 발견
2014.10.06
권종범 이화여대 생명과학과 교수 - 미래창조과학부 제공 BAP1 단백질은 그동안 암을
억제
한다고 알려져 있었다. 하지만 이 단백질이 정확히 어떻게 작용하는지는 알 수 없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를 통해 BAP1 단백질이 INO80 단백질에 직접 결합해, 이 단백질의 분해를 막는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 ...
생물자원전쟁, 한국이 중재한다
과학동아
l
2014.10.05
잘 죽인다. 이 곰팡이는 선충의 알무리에 있다가 부화한 애벌레에 기생해 성장을
억제
한다. 두 곰팡이를 찾은 김창무 국립생물자원관 미생물자원과 박사는 “해외 생물자원을 대체할 수 있는 국내 자생생물자원을 발견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며 “올해부터는 우리 땅에서 찾은 신종 생물을 ... ...
이전
272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