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닥터
의사
의원
천문박사
천문
천문지리
지리
d라이브러리
"
박사
"(으)로 총 6,064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인구달
박사
의 키다리아저씨는 누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0806
박사
가 없었다면 오늘날 유인원 연구와 보호는 한참 늦어졌을지도 몰라요. 반대로 리키
박사
와 같은 키다리아저씨가 더 많았다면 어땠을까요? 아마 더 빨리, 더 많은 연구와 보호가 이뤄졌겠죠?누군가가 진정한 꿈을 찾아 열심히 노력할 수 있도록 도와 주는 일, 그게 바로 키다리아저씨의 ... ...
비틀린 목성 고리, 비밀은 태양빛
과학동아
l
200806
더글러스 해밀턴 교수와 독일 막스플랑크연구소 태양계연구소 헤럴드 크루거
박사
팀은 목성의 그림자 안에 있는 고리가 심하게 뒤틀린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2003년 목성탐사선 갈릴레오가 고리를 통과할 때 분석한 먼지 입자의 성질을 바탕으로 태양빛이 목성 고리의 모양에 큰 영향을 ... ...
충남 보령 바닷물 범람 사고미스터리
과학동아
l
200806
때문에 고유진동 주기가 나타날 수 없다는 설명이다.하지만 한국해양연구원 박광순
박사
는 “파도의 회절과 반사, 중첩 같은 파동의 성질이 복합적으로 일어난 결과”라며 “일직선의 방조제 바로 앞에 있는 섬의 지형적 특징이 원인일 것”이라고 말했다. 보통 파도는 완만한 경사를 이루는 ... ...
스무 살 성인 된 V3
과학동아
l
200806
존경하는 인물 _ 안철수 1988 WED 06. 01세상의 빛을 보다오늘은 내가 태어난 날. 의대
박사
과정에 다니던 학생 안철수가 나를 만들었다. 그는 나의 탄생 스토리를 이렇게 기억했다.“요즘 브레인 바이러스가 말썽이다. 집에 와서 내 컴퓨터를 뒤져보니, 아니나 다를까 디스켓 2장에 이 녀석이 들어있다. ... ...
우리 바다 지키는 '포세이돈'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806
배출하는 이산화탄소량에 따라 분담해야 할 금액이 더 커질 수도 있음을 뜻한다.김
박사
는 “연구결과를 발표할 때마다 미래를 점치는 점술가라도 된 기분”이라며 “미래에 닥칠 가능성을 알려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주는 것도 중요한 임무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연구팀이 예측한 미래 ... ...
수십만 고유종의 '멋진 신세계' 마다가스카르
과학동아
l
200806
마다가스카르 섬에 살다가 멸종한 동물의 대표적인 예다. 영국의 동물학자 머빈 브라운
박사
의 1978년 논문에 따르면 코끼리 새는 알의 무게만 10kg이 넘어 그걸로 150인분의 오믈렛을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고 한다. 하지 만 그 큰 몸집의 새는 현재 지구상에 없다.코끼리 새 뿐만 아니라 자이언트 ... ...
PART2 우리는 누구나 시인
과학동아
l
200806
한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흥미로운 실험이 있다. 캐나다 맥마스터대 다프네 마우어
박사
팀은 깜깜한 곳에서 생후 두세 달 된 아기에게 공을 줘 만지게 했다. 공을 회수하고 불을 켠 뒤 한 손에는 공을, 다른 손에는 정육면체를 잡고 보여줬다. 이때 아이는 좀 전에 갖고 놀았던 공을 바라보는 시간이 더 ... ...
PART1 인간광우병 환자 프리온이 MM형인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떨어져 나온다고 가정했다.영국 런던 유니버시티칼리지 신경학연구소 사라 타브리지
박사
팀은 프리온 조각의 세포독성은 세포내 프로테아좀의 작용을 방해한 결과라는 연구결과를 2007년 4월 27일자 ‘몰리큘러 셀’에 발표했다. 세포는 소포체에서 만들어진 단백질 가운데 잘못된 것을 제거하기 ... ...
곤충계 스타, 북쪽으로 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806
높아지면 한지성 나비가 북쪽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최근 국립산림과학원 권태성
박사
와 나비학자 김성수 선생은 과거 자료가 있는 광릉(1950년대)과 파주 고령산(1970년대)의 나비를 조사해 이런 경향을 확인했다. 즉 과거에 비해 종별 밀도가 가장 많이 증가한 5종 가운데 남방계는 3종이 포함된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06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질소성분이 담긴 비료를 적당량 살포하도록 하는 것. 김이열
박사
는 “현재 우리나라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토양 1kg당 22g 수준”이라며 “아직까지는 토양이 우리 저녁상에 맛있는 쌀밥을 올려주는 능력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토양은 자신이 가진 물리적 특성과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