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표적
대상
과녁
대상물
제목
문제
d라이브러리
"
목표
"(으)로 총 3,75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페이스 셔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생각한 것이다. 완전 재사용 우주선은 1파운드를 쏘아올리는데 1천달러 정도 드는게
목표
다.현재 미국이 개발하는 재사용 우주선은 2가지. 마하 8(1만km/시)의 속도를 지닌 X-34는 엔터프라이즈호나 러시아의 부란(러시아어로 ‘폭풍설’이란 뜻. 1988년 단 한번 무인시험비행)처럼 비행기에 실어 ... ...
간편하고 안전한 라식수술의 원리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각막을 갈아낼 수 있다. 때문에 다른 외과적 수술에 비해 매우 안전하고, 정확히
목표
시력을 회복할 수 있다.엑시머 수술법과 라식 수술을 비교해보면 우선 레이저를 쓰는 것은 공통적이다. 모두 각막의 조직에 레이저를 쪼여 각막을 연마해 시력을 교정하는 것은 같으나 각막 조직을 노출시키는 ... ...
교과서 실험 이의 있습니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1학기 용해단원에 등장하는 '소금을 물과 아세톤에 녹였을 때의 변화'이다. 이 실험의
목표
는 물과 아세톤에서 소금의 용해성을 비교하는 것이다. 헝겊이나 찻봉지에 소금을 넣고 액체에 담갔을 때 관찰되는 아지랑이 현상으로 용해여부를 비교하도록 돼 있다.문제는 소금 속의 수분일반적으로 ... ...
암세포를 정상으로 되돌리는 약품 개발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암세포의 유전자 복제를 억제해 무한 분열을 차단시키는게 핵심이다.기존 항암제의
목표
는 암세포 자체를 집중적으로 공략하는 것이었다. 하지만 아무래도 주변의 정상세포까지 영향을 미쳐 골치였다. 만일 경기의약센터의 연구가 성공을 거둔다면 이와 같음 부작용이 없는 항암제가 세계 최초로 ... ...
제주도에 자연과학박물관 짓는 금속공예가 이종옥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책상 위에서 자연을 연구하는 안타까운 현실을 지양하겠다는 것이 그의
목표
다. 이런
목표
를 위해 우리나라에서 제주도만큼 훌륭한 여건을 가지고 있는 곳은 없다는 것이 그의 지론이다.자연사박물관의 산 역사라고 할 수 있는 영국의 자연사박물관에 들어서면 26m 길이의 공룡인 디플로도쿠스가 ... ...
한국형 SF영화 용가리 1998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더욱 절실히 요구된다. 영구아트무비는 ‘용가리’의 후속 작품으로 내년 여름 개봉을
목표
로 ‘콘돌’과 ‘이무기’의 사전 제작작업에 이미 돌입했다고 한다. ‘용가리 1998’로 열린 한국형 SF 영화의 역사는 이제 비로소 본격적인 출발선에 서있다고 할 것이다 ... ...
3. 민주주의 앞당긴 염료의 역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귀족들만 향유할 수 있었던 염료. 합성염료의 개발이 세계의 민주주의를 앞당겼다면 과장일까. 라스코 동굴벽화에서 합성염료까지의 역사를 알아본다.현대 생활에서 색깔은 ... 생활 방식을 제시하는 수단이 되어야 한다. 그것이 바로 미래의 청정화학(green chemistry)이 추구해야 할
목표
다 ... ...
1. 미국과 러시아의 우주전쟁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우주왕복선 개발은 뒤로 미뤄질 수밖에 없었다. 케네디의 선언으로 달정복이라는 큰
목표
를 세우긴 했지만, 어떻게 달에 갈지에 대한 기술적인 측면은 백지상태였다.미국이 아폴로계획을 수립할 무렵 러시아는 블라디미르 첼로메이(1914-1984)를 중심으로 UR-500 로켓(후에 ‘프로톤’으로 불림)과 1명의 ... ...
② 변신의 명수 바이러스 퇴치 최전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작용하는 약제를 개발하는 것이 현단계 과학자들의 연구 방향이다. 가장 기본적인
목표
는 바이러스가 수행하는 여러 단계의 복제과정에서 각 단계를 차단하는 일이다.한 예를 들어보자. 우리가 피곤하거나 열병을 앓고 난 후, 입 주위에 생기는 물집은 헤르페스 바이러스에 의한 질환이다. 이 ... ...
다이옥신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호르몬처럼 혈액을 타고 돌아다닌다. 그러나 차이가 있다. 호르몬은 도달해야 할
목표
지점이 있다. 이에 비해 다이옥신은 조건에 맞는 곳이면 어디든 붙어버린다. 바로 지방 성분이다.다이옥신은 물에 녹지 않는 지용성 물질이다. 그래서 몸 안에 지방이 싸여 있는 곳에 달라붙어 차곡차곡 쌓인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