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살"(으)로 총 3,721건 검색되었습니다.
- ET vs 에어리언과학동아 l2002년 04호
- 발견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984년 남극에서 발견된 화성의 운석에서는 지구에 살고 있는 해양성 박테리아의 것과 동일한 자철광 결정이 발견됐다고 한다.그러나 외계 생명체 탐사는 신중하게 이뤄져야 한다. 신대륙의 원주민들에게 가장 심각한 피해를 줬던 것이 침략자들의 총포가 아닌 천연두 ... ...
- 생선회 가장 맛있게 즐기는 비결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일식 요리 전문점의 정문 앞에는 흔히 보란 듯 설치된 대형 수조가 있다. 내부가 훤히 들여다보이는 수조 안에서는 광어, 도미, 오징어 등 수많은 ... 생선회보다 붉은살 생선회를 먼저 먹을 경우 입 속이 기름지고 비린 향이 풍기므로 흰살 생선회가 간직한 고유의 담백한 맛을 느낄 수 없다 ... ...
- 1 개인별 맞춤약물 제조시대 개막과학동아 l2002년 04호
- 의미에서 ‘라이프 스타일 약’(lifestyle drug)이라고 불린다.하지만 개인마다 살아온 환경이 다르고, 유전자가 다르며 속한 인종이 틀리다. 따라서 어느 한 약으로 이런 질병을 일괄적으로 치유하기는 힘들다. 최근에는 약리유전체학을 이용, 개인의 조건에 맞는 라이프 스타일 약을 개발해 삶의 질을 ... ...
- 환경 친화적인 자동차 심장 개발과학동아 l2002년 04호
- 꽃이자 현대산업 문명의 중심 운송 수단인 자동차.신차가 발표되면 사람들은 자동차를 살 계획이없더라도 한번쯤 탐욕스런 눈길을 보낸다. 이때 빼놓지 않고 얘기되는 내용은 엔진 성능에 대해서다. 예를 들어 최고출력 4백20마력, 최고속력 시속 3백km에 달하고 4.2초만에 시속 1백km를 주파한다는 ... ...
- 먹을거리 논쟁과학동아 l2002년 03호
- 골고루 섭취한국인이지난1969년부터1998년까지30 여년 간 섭취한 식품량의 변화 경향을 살펴 보면 식물성 식품의 섭취 비율은 96.8%에서 82.1%로 감소한 반면, 동물성 식품 비율은 3.2%에서 17.9%로 증가했다. 하지만 아직까지 한국인은 굳이 채식을 강조하지 않아도 될만큼 대부분의 식품을 식물성 식품으로 ... ...
- 완벽한 동반자의 길을 걷다 퀴리부인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수만 없었다. 과학연구에 대한 뜨거운 열정이 아직 타오르고 있었으며, 돌보아야 할 9살, 2살의 어린 두딸이 있었다. 그녀는 곧 본연의 강인함을 되찾고, 소르본대의 강단에 섰으며 1908년 소르본대 최초의 여성교수가 됐다. 1911년 그녀는 두번째로 노벨상을 단독 수상했다. 노벨 화학상의 수상 이유는 ... ...
- 1. 인간은 고기 좋아하는 잡식성 동물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이들 사회에는 ‘고기 고프다’는 단어도 있다.따라서 사람은 고기를 전혀 먹지 않고 살기 힘들다. 진화적 측면뿐 아니라 영양소로 볼 때도 그렇다. 예를 들어 뇌와 적혈구 생성에 중요한 비타민 B12는 고기나 계란에만 있다. 또 채식만 하면 빈혈에 걸릴 가능성이 높다. 채소에서 얻을 수 있는 철분은 ... ...
- 새처럼 날개짓하는 초소형 비행기과학동아 l2002년 03호
- 비스듬히 해 아래위로 저으면 앞으로 가는 힘이 생긴다. 이때 꼬리날개를 조정해 몸을 살짝 들어주면 위로 뜨는 힘이 함께 작용해 하늘을 난다. 방향을 바꿀 때도 꼬리날개를 이용한다. 텃세 부리는 까치로부터 공격 당하기도로봇새가 워낙 진짜 새처럼 날아다니는 바람에 텃세를 부리는 까치나 ... ...
- 외계 생명체 찾으려면 깊게 파라과학동아 l2002년 03호
- 생각했다. 하지만 스코트 박사의 연구에 따르면 실제 극한 환경에서 훨씬 많은 생물이 살 수 있다는 전망을 가능케 한다. 스코트 박사는 이번 연구결과가 외계 행성에서 생물체를 찾을 때는 행성의 지표만 조사해서는 안된다는 사실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 ...
- 수소 먹고 사는 고세균 발견과학동아 l2002년 02호
- 지하 2백m인 미국 옐로스톤의 리디 온천. 햇빛, 산소, 탄소도 없는 환경에 물의 온도는 58℃. 이런 곳에 과연 생명체가 살 수 있을까. 미국지질조사회의 프 ... 실제 태양계의 화성과 목성의 위성 유로파에는 과거나 현재에 이같은 미생물이 살았거나 살지 모른다고 과학자들은 기대하고 있다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