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운문
읍
도시
미문
가집
한시
타임
d라이브러리
"
시
"(으)로 총 4,773건 검색되었습니다.
롭해즈 200일간의 작전기록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수년전 군과 경찰에서 사용하고 있는 상용화된 정식 군수품. 이에 반해 롭해즈는 아직
시
제품이라는 차이가 있다. 파병 기간 동안 롭해즈는 자이툰 부대 내 육군 EOD에, 안드로스는 공군 EOD에 각각 배치됐다.현재 KIST 지능로봇연구센터에서는 롭해즈 파병 결과에 대한 분석이 한창이다. 강 박사는 ... ...
남북극점 지나 세계일주 도전하는 거스 매클라우드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경험으로 이미 알고 있다.미국의 전설적인 조종사 로스코 터너는 내 영웅이다. 어린
시
절 그와 함께 비행한 후 그는 내게 비행의 세 가지 규칙을 얘기했다. 비행기와 사랑에 빠지지 말 것, 충돌을 피하지 말고 조종기술을 믿을 것 그리고 준비가 완벽하지 않으면 절대 비행하지 말 것. 5개월 이상 ... ...
아폴로 vs 챌린저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챌린저호 사고 후 17년만인 2003년 컬럼비아호가 지구로 귀환하던 도중 폭발해 NASA는 또다
시
우주왕복선 폭발이라는 망신을 당했다. 챌린저호의 교훈으로 부족했던 것일까 ... ...
물리가 세계를 비추다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위성 인터넷을 통해 독도에 전달됐고, 독저 주변에 대기하던 오징어잡이 배들은 동
시
에 불을 밝혀 독도가 한국 영토임을 세계에 알렸다. 종착지 서울에 머물던 빛은 오후 9
시
정각 중국 베이징으로 떠났다.빛의 축제 운영위원장으로 태평양을 건너 온 빛을 제일 먼저 받은 부산대 물리학과 한창길 ... ...
매의 눈으로 세상을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하고 발전해야 합니다.”사라질 위험이 가장 큰 전통 문화. 특히 산업의 발달과 도
시
화로 인해 더 이상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 없는 현실이 안타까운 박용순 응사는 사람들이 매사냥에 대해서 좀 더 관심을 가져 주기를 바라고 있습니다. 온통 빌딩과 아스팔트로 가득한 도심의 생활이 지루하다면 ... ...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세계는 지금 소리 없는 종자전쟁의 한가운데에 서 있기 때문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
시
려면?첨단식물의 르네상스 01 참살이 약품 찍어내는 식물공장 02 지구 치료할 녹색 처방전 03 세계는 종자전쟁 중04 식물에서 연료 뽑는다 05 푸른 향기 가득한 ... ...
67
시
간의 논스톱 세계일주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모험을 즐기는 만큼 위험도 많아 1997년 열기구로 세계 일주에 도전했을 때는 러
시
아에 불
시
착했고 이듬해 도전에서는 폭풍을 만나 호주 해안에 떨어지는 사고를 당했다. 이런 위험에도 포셋은 “모험을 계속할 것”이라고 밝히고 있다. 그의 옆에는 늘 첨단과학이 든든한 도우미로 자리잡고 있을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무
시
된
시
야에 제
시
된 정보들이 행동에 영향을 준다. 가령 무
시
증 환자에게 무
시
되는
시
야 쪽에 화재가 일어나고 있는 주택 그림을 보여주고 그림에 이상이 있는지를 물어보면 이상이 없다고 대답한다. 화재가 나고 있는 장면을 의식적으로 알지 못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그림과 불이 나지 않은 ...
반가운 소식을 전하는 새, 까치
어린이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강한 집착이라고 할까요? 그래서 자기 영역에 들어온 다른 동물들에게 경고를 하느라
시
끄럽게 울어 댄답니다. 손님이 찾아온 것을 알려주는 것은 사실 자기 영역을 침범하지 말라는 경고의 의미지요. 그러니까 너무 미워하기만 하면 안 되겠죠? 까치도 소중한 지구의 생명체잖아요 ... ...
해가 바뀌면 자리를 옮기는 목성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작년 사자자리에 있었던 목성이 일년만에 처녀자리로 옮겨온 것이다. 일년은 너무 긴
시
간이라 하루 이틀만의 관측으로 행성의 움직임을 느끼긴 물론 어렵다.칠판이나 책에서 목성의 움직임을 그려보는 것보다 밤하늘에서 그 움직임을 한번 그려보는 것이 훨씬 더 이해하기 쉽고 효과가 크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