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리"(으)로 총 14,892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생충을 사랑한 과학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돼지고기를 통해 감염되는 기생충이다. 그런데 1980년대 후반, 충북대학교 엄기선 교수는 우리나라 국민의 소고기와 돼지고기 소비량이 비슷함에도 민촌충의 감염 비율이 5배나 높게 기록된 것을 발견했다. 그는 돼지의 간에 민촌충과 생김새가 비슷한 다른 기생충이 있어서 통계에 착오가 생긴 ... ...
- 이모지(Emoji)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많을 거야. 일본에서 태어난 우리는 지금은 미국에서도, 한국에서도 흔히 볼 수 있지. 우리가 널리 쓰인 지도 벌써 20년! 그동안 어떤 일이 있었을까?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지금은 인터넷은 그림문자 시대?! Part1. 인싸들은 다 이모지를 쓴다고?Part2. 이모지, 어떻게 만들어질까?Part3. 점점 ... ...
- 점점 더 진화하는 이모지!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힘든 거죠.언어는 아니지만 이모지는 스마트 기기를 통한 의사 소통을 돕는 역할을 해요. 우리가 대화를 하면 실제로는 언어 말고 몸짓, 표정으로 많은 의미가 전달돼요. 이를 ‘비언어적 의사 소통’이라고 하지요. 그런데 스마트 기기에서는 대화의 대부분이 글로만 전달되어, 상대방의 의도를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승부차기 게임, 이강인선수처럼 멋지게 골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있죠.두 조이콘에서 AND 노드로 입력된 명령이 조건에 맞을 때에만 소리가 난답니다.우리는 토이콘 창고에서 AND 노드를 썼지만, 프로그래머들은 AND 말고도 ‘OR’, ‘NAND’, ‘NOR’ 등 다양한 종류의 논리 연산을 사용해요. 논리 연산은 프로그래밍이나 디지털 회로를 만들 때 필수적으로 사용된답니다 ... ...
- [통합과학 교과서] 수상한 침입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넓히기 : 심장 재생은 좀비에게 맡겨라!세포 중에도 좀비가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우리 몸을 이루는 세포는 노화하면 제 기능을 잃고 죽어 사라져요. 그 빈자리는 다른 세포가 분열하며 만든 새로운 세포로 채워지지요. 그런데 어떤 세포는 분열 능력을 잃을 정도로 늙었는데도 죽지 않아요. ... ...
- 기생충이 지구에서 사라진다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혹시 우리 기생충이 숙주를 이용하는 모습을 보고 ‘기생충 없어졌으면!’ 이런 생각하는 건 아니겠죠? 그런 생각은 하지 말아요. 우린 생태계에 반드시 필요한 존재랍니다. 기생충을 주인공으로 환경 영화를 만든다면 대상을 받을 걸요? 무슨 말이냐고요? 기생충은 생태계를 지키기도 해요. 한 예로 ... ...
- [과학용어 따라잡기] 픽토그램 ·적혈구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물로 구성돼 있어요. 나트륨, 칼륨과 같은 전해질, 그리고 당분, 지방질과 같은 영양분을 우리 몸 전체로 운반하고 체온도 조절하지요.한편 혈구는 다시 백혈구, 혈소판, 적혈구로 나뉘어요. 이중 백혈구는 외부에서 침입한 세균을 잡아먹고, 혈소판은 상처가 났을 때 피가 멎도록 돕지요. 또, ... ...
- [통합과학교과서] 용궁이 위험해?!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수 있는데….” 꿀록이 울먹이자 개코 조수가 심각한 표정으로 말했어요. “누군가 우리의 초대장을 이용해 용궁에 들어가려는 걸지도 몰라요. 용왕님이 위험해요!” 스토리 따라잡기 : 별주부의 도움으로 용궁에 입장하다 “어서 오세요. 초대장을 보여주세요.”꿀록과 개코가 서둘러 용궁에 ... ...
- 150만 년 전 지구의 기록 빙하코어에서 찾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그때는 낙타를 이용할 수 있어서 그나마 괜찮았다고.중국과 몽골에서 시추한 빙하코어는 우리나라와 직간접적으로 관련된 기후 현상들을 자세히 들여다보는 데 큰 도움이 됐다. 허 책임연구원은 당시 빙하코어를 분석해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의 열대 계절풍인 몬순 기후와 황사 기록, 그리고 ... ...
- 굿바이 2019과학동아 l2019년 12호
- 블랙홀을 처음으로 관측했고, 인간이 만든 달 탐사선이 마침내 달의 뒷면에 착륙했다. 우리의 삶을 획기적으로 바꿀 양자컴퓨터용 칩은 양자우월성(양자우위)을 처음으로 달성했다. '디자이너 베이비'는 유전자 교정 기술에 대한 논란을 불러왔고, 죽은 돼지의 뇌세포 부활은 삶과 죽음에 대한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