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우주"(으)로 총 6,895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코리아늄' 찾는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의외로 ‘핵’에 대해 모른다”며 “셀레늄 등 우리 몸을 이루고 있는 무거운 원소가 우주에서 어떻게 만들어졌는지조차 모르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김 단장은 “초신성이 폭발해 만들어진 중성자별에서 중성자를 얻어 생겼다는 가설이 있는데, 지금껏 관찰은 물론 실험조차 할 수 없어 검증된 ... ...
- ‘우주 최초의 빛’이 틀렸다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제기했다. 플랑크는 전체 우주에서 날아오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9개)의 전파를 관측해 우주배경복사를 측정했는데, 유독 217GHz 대역의 자료만 이상했다. 연구팀이 이 대역을 제거한 뒤에 다시 계산해 보니, 기존 데이터와 비슷해졌다. 이 연구 결과는 12월 10일 미국 텍사스주 댈러스에서 열린 ... ...
- 인생 몰라요~ 점쟁이도 몰라요~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내에서 태양계의 위치도 고려하라고 하지요. 국부은하군 내에서 우리은하의 위치라든가. 우주의 기운을 받는다면 그런 것도 다 고려해야 하지 않겠습니까?인생 모르는 겁니다. 쓸데없이 점쟁이에게 갖다 줄 돈 있으면 저축을 하든지 책이나 사서 보는 게 100만 배 낫습니다. 아니면, 친구에게 ... ...
- 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무엇을 상상하든 그 이상을 보게 되리라는 점은 확실하다. 인간의 상상력은 광대한 이 우주의 상상력에 비하면 너무나 보잘것없으니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스터리 입자 헌터Part 1. 힉스에서 새로운 물리학까지Bridge. 입자물리학 119년의 역사Part 2. 한국인이 제안한 미스터 입자3Part 3 ... ...
- 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겨울잠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위한 비법이 무엇일지 눈여겨보자.▼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 ...
- 목성 위성 유로파에 높이 200km 분수가?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가장 큰 곳이다.이번 물기둥은 미국 남서부연구소(SWRI) 로렌츠 로스 박사팀이 허블 우주망원경으로 촬영한 유로파의 자외선 방출 패턴을 분석해 찾아냈다. 물기둥이 중요한 이유는 표면의 두꺼운 얼음층을 뚫고 나오기 때문이다. 얼음층이 깨지면서 산소를 비롯한 화학물질이 바다로 유입돼 초기 ... ...
- 2014년 놓치지 말아야할 우주쇼는?과학동아 l2014년 01호
- 한국천문연구원은 9월에는 토성엄폐, 10월에는 개기월식이 일어난다고 발표했다. 토성엄폐는 토성이 달 뒤로 숨는 현상. 토성과 달이 일직선에 놓이기 때문에 일어나는 현상으로 9월 28일 정오에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지며, 약 한 시간 뒤인 오후 1시 07분 다시 나온다. 천체망원경을 이용하면 관측 가 ... ...
- 일본 로봇, 허세 떤 미국 로봇을 꺾다과학동아 l2014년 01호
- 조작을 담당하던 상반신 로봇 ‘로보너츠’에 하반신을 만들어 붙인 것이다.NASA 존슨우주센터는 행사 시작 며칠 전에 화성탐사용 로봇으로 활용할 수 있다며 대대적으로 발키리를 공개하기도 했다.의외였던 점은 발키리는 겉으로 보기에도 대단한 고급형 로봇이란 느낌이 강했다. 흰색의 몸체에 ... ...
- 미지의 물질을 보는 창 결정과학동아 l2014년 01호
- 데 많은 시간을 할애해야 했다.이것이 바뀌게 된 것은 1950년대 들어서였다. 미국에서는 우주 개발과 결정 구조 해석을 목적으로 컴퓨터를 발전시켰고, 인간보다 수백, 수천 배나 계산 속도가 빠른 컴퓨터는 결정 구조 하나를 알아내는 데 십수 년이 걸렸던 시간을 단숨에 수년으로 단축시켰다. 198 ... ...
- 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과학동아 l2014년 01호
- 곰형과 가장 비슷할 것이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겨울잠 스위치 켜고 우주여행 떠나자PART1. 단언컨대 사람도 겨울잠 잘 수 있다PART2. 화성여행의 비결은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