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이후"(으)로 총 7,68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비주얼 과학교과서] 비밀과학집단의 정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4호
- 있는 코로나 방전기를 작동시켜요. 그럼 전자를 잃은 바이러스가 (+)전하를 띠게 되지요. 이후 바이러스는 아래쪽에 (-)전하를 띠는 원판 전극으로 끌려가게 돼요. 서로 다른 전하끼리 붙으려는 힘인 ‘인력’이 작용하기 때문이에요.이 농축기는 진공청소기처럼 공기를 빨아들여 그 속에 있는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지원군 선배의 고백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영국군은 적군의 눈에 쉽게 띄는 흰색 군복에 흙먼지를 묻혀 위장하기 시작했어요. 이후 ‘카키’색은 전세계적으로 가장 많이 쓰이는 군복 색깔이 되었답니다. 카키색은 탁한 황갈색을 뜻하며, 페르시아어로 흙먼지란 뜻인 힌디어 ‘카키’에서 유래했어요.최근 미국, 영국 등에서는 영화 ... ...
- 과학마녀 일리의 한자 과학풀이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과 ‘창 수(殳)’가 있는 모양이에요. ‘손에 있는 화살을 활로 쏘다’라는 뜻이지요. 이후 ‘쏘다’라는 뜻이 점점 확대돼 ‘떠나다’, ‘드러내다’, ‘피다’라는 뜻을 갖게 됐답니다.암석은 ‘바위 암(巖)’과 ‘돌 석(石)’이 합쳐져 지각을 구성하고 있는 단단한 물질을 뜻해요. 화산활동으로 ... ...
- [과학뉴스] X자 모양의 붉은 거미 성운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태양도 수명이 다하면 행성상 성운이 될 거라고 예측하고 있어요. 행성상 성운 이후에는 질량이 모여 중심온도가 수십만℃에 이르는 백색왜성이 돼요. 백색왜성은 별들의 종착지인 셈이랍니다.붉은 거미 성운 역시 같은 원리로 만들어졌어요. 붉은 거미 성운의 중심에도 백색왜성이 있는데, 여기서 ... ...
- Part 1. 착륙 1분 전 사라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지구와의 교신이 끊겼어요. 그 직전까지 스키아파렐리의 낙하산은 정상적으로 펼쳐졌고, 이후 카메라와 레이더 장치도 잘 작동됐어요. 또 대기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화성의 전기장을 측정하여 궤도선인 TGO로 전송하는 데 성공한 상태였지요. 그러나 그 직후 갑자기 연락이 두절됐어요.이후 10월 21일 ... ...
- Part 2. 착륙 실패는 낙하산 때문?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3호
- 착륙할 수 있지요.그런데 착륙 과정에서 낙하산이 일찍 펴졌다는 사실이 확인됐어요. 이후 30초 동안 작동해야 할 역추진 엔진이 3초 만에 멈추면서 화성 표면에 그대로 떨어진 거예요. 과학자들은 이 원인을 낙하산의 오작동으로 보고 있어요.착륙 과정은 과학자들이 미리 설정한 프로그램에 의해 ... ...
- Part 2. 지구의 마법같은 진화 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이루어진 가장 단순한 형태의 ‘단세포 생물’이 등장하기 시작했어요. 하지만 그 이후 30억 여 년 동안, 생물의 진화는 크게 일어나지 못했어요.여러 개의 세포가 모인 다세포 생물은 6억 년 전인 선캄브리아 시기 후반에서야 겨우 등장했답니다. 그 후 약 5억 4000만 년 전부터 단단한 외골격과 커다란 ... ...
- Part 3. 폭발적인 진화의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7억 5000만 년 전부터 약 6억 3500만 년 전까지 이어진 지구 전체 규모의 빙하기를 말해요. 이후 빙하들이 녹아내린 시점부터 생물 폭발이 일어나요. 얼어붙어 있던 바다가 갑자기 따뜻하고 밝아지면서 산소 농도가 높아지고, 생물들이 번성하기 쉬워진 거예요.‘눈’의 진화도 이유 중 하나로 꼽혀요. ...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2016 대전 사이언스페스티벌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일단 색연필을 이용해 종이 속 우주인과 우주선, 대전 한빛탑을 알록달록 꾸몄어요. 이후 스마트 기기로 ‘크레용팡’ 앱을 실행시켜 그림을 비추자, 내가 색칠한 우주인과 우주선이 움직이기 시작했답니다. 이 프로그램은 그림을 3차원의 가상 이미지로 바꿔 보여 주는 ‘증강현실’을 이용한 ... ...
- Part 5. 머글 세계의 뉴트 스캐맨더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22호
- 넓히는 방법이기도 해요. 2014년 10월 평창에서 열린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이후 발효된 ‘나고야 의정서’는 생물종을 각 나라의 자원으로 인정하고 있어요. 이제는 생물다양성이 바로 국가의 재산이 되는 시대가 된 거예요. 결국 신비한 동물은 학문적인 의미뿐만 아니라 금전적인 가치도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