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케줄
계획
예정
예정표
프로그램
스케쥴
진행표
d라이브러리
"
일정
"(으)로 총 4,651건 검색되었습니다.
대형유인원 화석 및 진화 지도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이온, 또는 원자가 배위하여 생긴 화합물 컴퓨터로 처리하는 데이터를
일정
시간 또는
일정
량에 달하기까지 축적했다가 일괄해서 연속적으로 처리하는 방식 반응에 필요한 원료를 일괄해서 반응기(反應器)에 넣고 반응이 끝난 다음에 생성물을 꺼내는 제조과정 주기율표 8족에 속하는 루테늄 Ru, ... ...
500층에 도전하는 초고층 빌딩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시뮬레이션만으로 바람의 영향을 측정하기가 어려워졌다. 요즘에는 초고층 건물을
일정
비율로 축소한 뒤 인공 바람을 일으켜 건물의 반응을 평가하는 풍동실험을 자주 이용한다.2001년 뉴욕 세계 무역센터가 비행기테러로 무너진 뒤 초고층 건물에서 안전의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건물이 ... ...
3. 손의 비대칭은 인류 진화의 원동력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오른손잡이가 유리하다면 왜 이토록 오랜 시간이 지나는 동안 왼손잡이는 도태되지 않고
일정
한 비율로 살아남았을까.헷갈리는 통계 오른손잡이와 왼손잡이의 가계를 조사해보면 여기에 유전적 요소가 있다는 사실을 부인하기 어렵다. 그런데 통계를 자세히 보면 오른손잡이는 우성, 왼손잡이는 ... ...
고전물리학 고집한 현대물리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만들기 시작했다. 바로 이 과정에서 그는 현대물리학의 장을 열었다. 에너지를 작지만
일정
한 크기로 나누면 계산상 편리하다는 것을 발견했다. 이를 위해 그는 ‘작용양자’라는 개념을 도입했다. 고전물리학에서는 생각할 수 없었던 불연속적인 에너지 개념이 등장했다. 플랑크는 자신의 복사 ... ...
우주인 '체질' 따로 있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동식물이 자랄 수 있는가 하는 것. 당장 인간이 우주에 나가 연구를 하더라도 우주에서
일정
기간 머물 수 있는 여건이 갖춰져야 하기 때문이다. 한국은 이 2가지 연구와 함께 약품이나 치료제 개발 등 산업적 응용이 가능한 연구에 대한 기대도 갖고 있다.그렇다면 이공계 전공자, 그 중에서도 ... ...
사이언스와 미 과학재단 선정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이미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이 중 40%는 세포 내부에, 30%는 세포 외부에 존재한다. 우리 몸이 세포 내·외부에 이렇게
일정
한 양의 물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 물이 세포막을 어떻게 자유롭개 통과하는 것일까. 이 물음은 오랫동안 미스터리였다. 2003년 노벨화학상을 수상한 미 존스홉킨스의대 피터 아그레 교수가 1988년 이 문제를 ... ...
4. DNA로 나노벽돌 찍어낸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결정을 만드는데 성공했다고 2003년 2월 21일자 ‘사이언스’ 에 보고했다. 즉 유리판 위에
일정
한 간격으로 마이크로기둥을 붙인 뒤 그 주위에 방해석 결정이 자라게 한 것. 그 뒤 기둥을 녹여내자 10㎛ 간격으로 구멍이 뚫린 단일 결정이 얻어졌다. 만일 먼저 결정을 만들고 구멍을 뚫는 하향식 방법을 ...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책임연구원 문대원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표면의 수nm 아래에 있는 원자와의 반응으로 이뤄지기 때문이다.당구대 위에 당구공들이
일정
한 간격을 두고 여러줄 놓여있다고 하자. 여기에 다른 당구공을 치면 어디선가 맞고 튕겨나온다. 마찬가지로 물체 표면을 구성하는 여러층의 원자에 수소원자를 충돌시키면 튕겨나온다. 이때 어느 층에 ... ...
금성과 목성의 랑데부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움직임을 보인다. 매일 일찍 일어나 같은 시각에 두 행성을 살펴보자. 금성은 비교적
일정
한 고도에 머물지만 목성은 날이 갈수록 고도가 점차 높아진다. 목성이 점차 금성에 가까워지는 것이다.찬란한 빛을 발하는 두 행성이 가장 가까워지는 시기는 11월 5일이다. 이날 두 행성은 달의 시직경과 ... ...
RNA로 유전병 고친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miRNA는 생명체내에서 발현돼 생성되는 반면 siRNA는 생명체내에서 발현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
한 목적에 따라 표적 유전자의 발현을 억제하기 위해 인위적으로 합성해 주입하거나 세포 안에서 발현되도록 조작한 것이기 때문이다.국내에서도 RNA 간섭에 관한 연구가 한창이다. 서울대 생명과학부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