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100"(으)로 총 5,610건 검색되었습니다.
- [체험] 세상을 이끄는 수학 고수 4인방을 만나다!수학동아 l2013년 10호
- 분야에서도 많이 응용되고 있지요. 많은 수학자들이 제한된 번사이드 문제를 연구했지만 100여년 간 풀리지 않았어요. 저도 거의 2년간 이 문제와 살다시피 했고, 결국은 해낼 수 있었습니다.”그는 내년에 한국에서 열리는 세계수학자대회(ICM) 유치 결정에도 큰 힘을 보탰다. 대체 한국과 무슨 인연인 ... ...
- [생활] 명탐정 셜록 홈즈의 추리 비결은? 통계적 추정수학동아 l2013년 09호
- 이용하고 있어요. 6시그마란 불량품이 나올 확률이 정규분포에서 ±6σ 밖의 면적일 때(100만 개당 3.4개의 불량품)를 추구한다는 의미예요. 여러 가지 공정 상황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량품의 원인을 제거하는 방법이에요.6시그마 방법 중 하나로 ‘DMAIC’라는 것이 있어요. 정의, 측정, 분석, 개선, 관리 ... ...
- Part 2. 항해 : 뇌지도를 만들기 위한 4가지 전략과학동아 l2013년 09호
- 1000억은 큰 수다. 우리은하 안에 있는 별의 숫자가 대략 그 정도다. 그런데 인간은 모두 머릿속에 이 큰 수를 품고 있다. 바로 뇌 안에 들어 있는 신경세포의 수다.하지만 뇌에서 더 중요한 것은 신경세포가 아니다. 이들 사이의 연결(시냅스)이다. 대뇌의 가장 바깥 조직인 신피질에 있는 200억 개의 ... ...
- 테디베어 닮은 신종 포유류 발견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분석까지 종합한 결과 이들은 이 둘이 다른 종이라는 결론을 내렸다. 올링귀토는 무려 100년 동안이나 올링고로 오인 받아왔던 것이다.헬겐 박사팀은 안데스 산맥 서쪽에서 서식하고 있는 올링귀토를 실제로 발견했다. 이들의 서식지는 인간의 농경지 개발로 인해 압박을 받고 있었다. 헬겐 박사는 ... ...
- [hot science] 동물이 보는 세상, 들쥐 소변이 형광색으로 빛나네?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개의 취향을 고려해 만들었다고 해서 화제가 됐다. 출시 1년이 지난 현재 ‘시청견’ 100만을 돌파했다.그러나 개가 TV를 보면 프레임 수가 적은 옛날 영화를 보듯 계속 끊어져 보인다. 개의 원추세포는 80Hz까지 구분할 수 있기 때문이다. 1초에 80장의 프레임이 바뀌는 걸 구분할 수 있다는 뜻이다. TV ... ...
- 보이저 1호, 혜성의 고향까지 갈까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충격파와 비슷하다.만약 보이저 1호가 뱃머리충격파를 지나 더 멀리 항해를 하게 된다면, 100년 가까이 가설로만 존재하던 ‘오르트 구름’의 존재를 확인하게 될지도 모른다. 오르트 구름은 태양에서 5만AU(약 1광년) 떨어진 곳에 놓여있을지 모른다는 공 모양의 혜성 집합체다. 1932년, 에스토니아 ... ...
- [life & Tech] 착한야식과학동아 l2013년 09호
- 굉장합니다. 지난해 한국소비자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기름에 튀긴 후라이드 치킨은 100g당 평균 299kcal를 자랑합니다. 한 마리당 평균 열량은 2126kcal랍니다. 1일 권장 영양섭취 기준이 대략 2000kcal 전후라고 하면 1인 1닭을 하루동안 먹어야 하겠네요.피자치킨과 함께 야식의 양대 산맥은 ... ...
- 어린이 장난감 발명가, ‘애더리 시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넘지 않으면 몇 명이라도 함께 탈 수 있어요. 썰렁홈즈는 몸무게가 몇 kg이에요?”미션4 100만 볼트 리얼 전기 오락게임“이번은 정~말 흥미진진한 게임기예요. 너무 재밌어서 둘이 게임하다가 하나가 죽어도 모를 거예요….”이번 장난감은 거대한 미로 같았다. 하지만 미로 벽에는 엄청나게 센 ... ...
- 마지막 한 방울 까지 소중히 해야 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09호
- 산소 원자에붙어 있다. 이런 특이한 모양 때문에 물 분자는 녹는점(0℃)이 낮고 끓는점(100℃)이 높은 편이다. 또 대부분의 물질은 고체의 밀도가 가장 높지만, 물은 액체 상태일 때 밀도가 높다. 극성이 있어서 기름과 섞이지 않고, 다른 물질을 잘 녹이는 특성도 갖고 있다.우와~, 물은 정말 재미있고 ... ...
- 수학 모르면 괴물? 프랑켄슈타인의 비밀을 찾아라!수학동아 l2013년 09호
- 탄생에 한 걸음 다가서고 있다.나노 기술의 아버지로 불리는 에릭 드렉슬러는 나노미터(100만분의 1mm)크기의 로봇, 일명 ‘나노 로봇’을 만들어낼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 로봇은 스스로를 복제할 수 있는 기능을 갖고 있어 원하는 물건을 만들어 낼 수 있다.그의 주장에 힘을 실어 주듯, 2005년 미국 ... ...
이전27327427527627727827928028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