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삽입
기입
추가
간행
발행
뉴스
"
게재
"(으)로 총 3,722건 검색되었습니다.
단시간에 ‘녹조’만 골라 '킬'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한양대 연구진은 새로운 녹조제거 기술을 개발하고 경기도 용인시 기흥저수지에서 실증실험을 진행했다. 새로운 녹조제거제를 살포한 구역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점차 초록색이 옅 ... ‘생태독성학과 환경안전’과 네이처(Nature)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 최근호에도
게재
됐다. ... ...
오래써도 끄떡없는 ‘고효율 연료전지’ 개발 가능해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5
‘재료화학 A’에서 ‘주목할 논문(Hot Paper)’으로 뽑혔으며 9월 7일자 표지논문으로도
게재
될 예정이다. 9월 7일 발간될 학술지 JMCA 표지논문. JMCA 제공. ... ...
전기 없이 어디서든 열 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4
광주과기원 연구진 개발 초소형 기기부터 빌딩까지 적용 국내 연구진이 모양이 자유자재로 바뀌고 주위 다른 물체의 열을 식힐 수 있는 '유연 냉각소재'를 개발 ... 받았다.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옵티컬 머티리얼스(Advanced Optical Materials) 지난달 27일자에
게재
됐다 ... ...
밤에도 전기 생산하는 태양전지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연세대 공동 연구진이 낮에는 햇빛으로, 밤에는 진동으로 전기를 생산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빛이 없는 밤에도 전기를 ... 것”으로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나노 에너지’ 8월 17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더 안전하고 더 선명한 X선 사진 찍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9.03
적은 양의 X선으로도 선명한 영상을 낼 새로운 촬영기술이 개발됐다. - GIB 제공 방사능 피폭을 줄이는 새로운 X선 촬영 기술이 개발됐다. 종전보다 방사선 노출량을 크게 줄이면서 ... 연구의 의의를 설명했다. 이 연구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즈 8월 23일에
게재
됐다. ... ...
포스텍, 화약 노후화 원인 규명…국방비 절감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18.09.02
수 있는 방법을 찾았다고 2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게재
됐다. 화약은 높은 폭발 압력을 갖고 있지만, 제조 후 바로 폭발시키지 않기 때문에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도 초기 폭발력을 유지하는 것이 꼭 필요하다. 그러나 그동안은 알 수 없는 원인으로 화약이 ... ...
아토피 앓는 쥐에게 발라줬더니...
동아사이언스
l
2018.08.31
가톨릭대, 새로운 면역치료제 개발 면역력 높여 주는 X형 DNA 나노입자 아토피 피부염 근본 원인 ‘면역 불균형’ 해소 왼쪽은 정상 쥐이고 가운데는 아토피 피부염을 앓는 쥐다. ... 밝혔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12일자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인간의 뇌 기능 흉내낸 ‘인공 시냅스 소자’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7
인공 시냅스 소자 모식도. 대구경북과학기술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뇌 신경세포 연결고리를 모방한 인공 시냅스를 개발했다. 뇌 연구와 인공지능(AI) 개발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될 것으로 ... 머티리얼즈 & 인터페이스(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8월호 표지 논문으로도
게재
됐다. ... ...
수십 초 만에 휴대폰 완충…KAIST, 新 에너지 저장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8.08.26
국내 연구진이 기존 배터리보다 충전 속도가 100배 이상 빠르고 3만 번 반복 충전해도 성능이 유지되는 에너지 저장 소자를 개발했다. 휴대전화를 수십 초 내에 급속 충전하는 것은 물론이 ... 기대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펑셔널 머티리얼스’ 15일자에
게재
됐다 ... ...
B형 간염 치료 효과있는 신규 단백질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8.23
만성 간염의 주원인인 B형 간염바이러스(HBV)를 제거하는 단백질이 새롭게 발굴됐다. 난치성 질환인 B형 간염 치료제 개발로 이어질지 주목된다. 건국대 김균환 교수와 박은숙 교 ... 연구 성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 8월 16일 온라인판에
게재
됐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