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학문
대회
학식
국제올림픽위원회
국제
올림픽
위원회
뉴스
"
학술
"(으)로 총 14,465건 검색되었습니다.
음악이 감정을 강렬하게 자극하는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자극하고 이를 기반으로 특정한 감정이 촉발된다는 연구결과를 4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i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음악의 다양한 특징 중 특히 불확실성과 놀라움이 감각 및 감정에 큰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았다. 우선 불확실성과 놀라움의 강도를 다양하게 변형시킨 화음 진행 9 ... ...
욱한 마음 누르는 뇌 원리 찾았다…'감정 조절' 치료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일어나는 ‘감정 생성’과 ‘감정 조절’을 분리해 살핀 연구결과를 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뉴로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피츠버그대의 기능성자기공명영상(fMRI) 데이터를 활용해 뇌의 신경활동을 조사했다. 이 데이터는 연구참여자들이 피투성이 장면이나 무서운 동물이 ... ...
'비건 가죽' 스스로 염색하는 박테리아…독한 화학공정 없앤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공정 없이 색을 변화시키는 식물성 가죽을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 바이올로지'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유전자를 교정한 박테리아는 식물성 가죽의 재료인 셀룰로오스 섬유를 검게 염색했다. 섬유에서 성장한 박테리아가 검은색 색소인 유멜라닌을 생산하도록 ... ...
냄새로 '거울 테스트' 통과한 뱀
동아사이언스
l
2024.04.05
자신을 구별할 수 있다는 증거를 처음으로 발견하고 연구결과를 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영국왕립학회보 B'에 발표했다. 자신과 다른 개체를 구별하고 자신의 은신처나 영역을 인식하거나 자신과 동족을 구별하는 능력은 동물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큰 이점을 준다. 동물의 자기 인식 능력을 ... ...
'25년 만의 최대 규모' 대만 지진…과학자들 "추가 지진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대규모 지진이 발생하자 과학자들은 추가 지진 가능성을 경고했다. 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 58분(현지시간) 대만 화롄시 남쪽 18km 떨어진 바다 밑에서 발생한 규모 7.4 강진에 대해 과학자들이 추가 지진 가능성을 경고했다. 이번 지진은 비교적 얕은 지하 35km ... ...
[과기원NOW] DGIST, 다비오와 항공·위성 영상 분석하는 인공 신경망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관여하는 특정 단백질을 분리하고 분석하는 전략을 개발해 연구결과를 지난 2월 국제
학술
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에 발표했다고 3일 밝혔다. 연구팀은 세포에서 발전소 역할을 하는 미토콘드리아와 세포내 물질을 저장하고 운송하는 소포체의 접점에 주목했다. 소통을 매개하는 단백질이 ... ...
당뇨병 치료제, 파킨슨병 발병 늦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상실 증상을 지연시키는 효과가 확인됐다. 연구 결과를 담은 논문은 3일(현지시간) 국제
학술
지 '뉴잉글랜드저널오브메디신(NEJM)에 게재됐다. 연구를 이끈 올리비에 라스콜 틀루즈대 연구원은 "이러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수년에 걸친 최초의 다기관 임상시험이 이뤄졌다"고 설명했다. 그간 ... ...
"국산 신품종 '대홍산사' 장질환 개선 효과 20% 높아"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박기선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이같은 내용을 담은 연구 결과를 지난달 12일 국제
학술
지 ‘안티옥시던츠’에 발표했다고 4일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산사는 고기 섭취가 많은 현대인의 장질환 개선을위한 약용 작물로 관심이 높았다. 산사 중에서도 한국이 개발한 신품종인 대홍산사는 일반 ... ...
뉴로모픽 컴퓨팅 구현?…디램·낸드 장점 합친 상변화 메모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교수 연구팀이 초저전력 차세대 상변화 메모리 소자를 개발해 연구 결과를 국제
학술
지 '네이처'에 게재했다고 4일 밝혔다. 상변화 메모리는 열을 조절해 물질 상태를 결정질 또는 비정질로 변화시킬 때 저항 상태를 활용해 정보를 저장하거나 처리하는 메모리 소자다. 현재 널리 사용되는 메모리인 ... ...
바이러스 진단용 항체, 식물 이용해 생산…민감도 100배
동아사이언스
l
2024.04.04
왼쪽부터 김상직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합성생물학연구센터 선임·책임기술원, 조혜선 식물시스템공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 박현지 연구원(제 ... 분자생물학 등 다양한 기초연구에서 활용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
지 ‘플랜트 바이오테크놀로지’ 1월호에 게재됐다 ... ...
이전
273
274
275
276
277
278
279
280
281
다음
공지사항